해명자료(서울농수산公, 5년째 경영?재정건전성 악화일로)
- 담당부서기획팀
- 문의02-3435-0471
- 수정일2020-11-24 16:11
- 조회수 450
2020.11.23자 문화일보의 「서울농수산公, 5년째 경영?재정건전성 악화일로」 기사 내용이 일부 사실과 전혀 다르게 왜곡되어 있어 해명합니다.
보도 내용(1)
○ 일각에선 서울시 공무원 출신으로 2018년 9월 취임한 김경호 사장이 농수산물 유통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관 위기 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해명 내용(1)
→ 재정건전성 악화는 현 사장 취임 이전 결정된 시설현대화사업계획 변경과 생활임금 도입에 따른 용역비 인상, 기존 자산 멸실 처리 등에 따른 비용의 불가피한 증가에 기인함.
→ 오히려 현 사장 취임 이후 재정건전화를 핵심과제로 추진하여 전문기관 연구용역을 통해 중장기 재정 분석을 실시하고 9대 과제를 수립하여 2019년 11년간 동결된 주차료수입 현실화 등 40억 원 규모의 수익구조를 개선하였으며 금년에도 대행사업 원가 개선 등 44억 원 규모의 8개 중점과제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보도 내용(2)
○ 당기순이익도 2015년 흑자에서 2016년 49억900만 원 적자로 전환됐다. 2017년엔 14억2300만 원 흑자를 냈지만 2018년 9000만 원으로 줄어든 후 2019년엔 마이너스 80억3900만 원으로 큰 손실을 냈다. 이에 따라 총부채도 2015년 1884억 원에서 2019년에는 2093억 원으로 209억 원(11.1%) 늘었고 부채비율도 같은 기간 19.5%에서 21.8%로 2.3%포인트 나빠졌다.
 
?? 해명 내용(2)
→ 2016년과 2019년의 대규모 적자는 기존 건물 철거 등에 따른 회계 상 일시적 변동의 영향이며,
→ 총부채의 증가는 시설현대화사업비 조달계획에 따른 것이며, 부채비율은 지방공기업 최저수준으로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음. 그 또한 9월 보유자금을 통한 737억 원의 조기상환을 통해 2019년 21.8%에서 2020년 3분기 결산 결과 14.3%로 개선되었음.
 
○ 일각에선 서울시 공무원 출신으로 2018년 9월 취임한 김경호 사장이 농수산물 유통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관 위기 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해명 내용(1)
→ 재정건전성 악화는 현 사장 취임 이전 결정된 시설현대화사업계획 변경과 생활임금 도입에 따른 용역비 인상, 기존 자산 멸실 처리 등에 따른 비용의 불가피한 증가에 기인함.
→ 오히려 현 사장 취임 이후 재정건전화를 핵심과제로 추진하여 전문기관 연구용역을 통해 중장기 재정 분석을 실시하고 9대 과제를 수립하여 2019년 11년간 동결된 주차료수입 현실화 등 40억 원 규모의 수익구조를 개선하였으며 금년에도 대행사업 원가 개선 등 44억 원 규모의 8개 중점과제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 당기순이익도 2015년 흑자에서 2016년 49억900만 원 적자로 전환됐다. 2017년엔 14억2300만 원 흑자를 냈지만 2018년 9000만 원으로 줄어든 후 2019년엔 마이너스 80억3900만 원으로 큰 손실을 냈다. 이에 따라 총부채도 2015년 1884억 원에서 2019년에는 2093억 원으로 209억 원(11.1%) 늘었고 부채비율도 같은 기간 19.5%에서 21.8%로 2.3%포인트 나빠졌다.
 
?? 해명 내용(2)
→ 2016년과 2019년의 대규모 적자는 기존 건물 철거 등에 따른 회계 상 일시적 변동의 영향이며,
→ 총부채의 증가는 시설현대화사업비 조달계획에 따른 것이며, 부채비율은 지방공기업 최저수준으로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음. 그 또한 9월 보유자금을 통한 737억 원의 조기상환을 통해 2019년 21.8%에서 2020년 3분기 결산 결과 14.3%로 개선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