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가락시장 청과 도매시장법인 재무분석(2020.06.23. 내용 수정)
- 담당부서기획팀
- 문의02-3435-0471
- 수정일2020-06-18 17:02
- 조회수 418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 이하 ‘공사’)는 지난 6월 8일 2019년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가락시장’) 청과부류 도매시장법인들의(이하 ‘청과법인’) 재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한국청과(주) 및 대아청과(주) 등 5개 청과법인들의 총 매출액은 1,478억 원으로 전년대비 평균 9% 감소하였다.
 
□ 그러나 5개 청과법인들의 당기순이익은 총 178억 원으로 전년대비 15% 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2018년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부과한 과징금의 영향이다. 5개 청과법인들의 2019년 평균 당기순이익률은 12%로 동종 업계(도매 및 상품중개업 2.2%)대비 5.5배 높고 일본 동경도 도매시장의 2018년도 10개 청과도매법인 평균 당기순이익률인 3.6% 대비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 가락시장 5개 청과법인들의 산지 물량 수집 노력을 보여주는 출하장려금 총 지급액은 129억 원으로 서울특별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운영 조례에서 정한 한도인(위탁수수수료 수입의 15% 내) 228억 원에 절반 밖에 지급하지 않았다.
 
□ 출하선도금 지급액은 346억원이며 거래금액 대비 1% 내외로 가락시장 직접거래 중도매인 15%, 강서 시장도매인 8% 보다 훨씬 밑도는 수준이어서 가락시장 청과법인들은 출하자 서비스 향상과 물량 수집에 더욱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한국청과(주) 및 대아청과(주) 등 5개 청과법인들의 총 매출액은 1,478억 원으로 전년대비 평균 9% 감소하였다.
 
□ 그러나 5개 청과법인들의 당기순이익은 총 178억 원으로 전년대비 15% 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2018년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부과한 과징금의 영향이다. 5개 청과법인들의 2019년 평균 당기순이익률은 12%로 동종 업계(도매 및 상품중개업 2.2%)대비 5.5배 높고 일본 동경도 도매시장의 2018년도 10개 청과도매법인 평균 당기순이익률인 3.6% 대비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 (수정전)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지급 비율을 나타내는 배당성향은 5개 청과법인이 30~430%(평균 61%)로 업종평균(23%)의 2.7배를 보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중앙청과와 대아청과(주)의 배당성향이 각각 128%, 430%에 달한다.   □ (수정후)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지급 비율을 나타내는 배당성향은 5개 청과법인이 30~237%(평균 81%)로 업종평균(23%)의 3.5배를 보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중앙청과와 동화청과(주)의 배당성향이 각각 128%, 237%에 달한다.   |
 
□ 가락시장 5개 청과법인들의 산지 물량 수집 노력을 보여주는 출하장려금 총 지급액은 129억 원으로 서울특별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운영 조례에서 정한 한도인(위탁수수수료 수입의 15% 내) 228억 원에 절반 밖에 지급하지 않았다.
 
□ 출하선도금 지급액은 346억원이며 거래금액 대비 1% 내외로 가락시장 직접거래 중도매인 15%, 강서 시장도매인 8% 보다 훨씬 밑도는 수준이어서 가락시장 청과법인들은 출하자 서비스 향상과 물량 수집에 더욱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