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및해명자료

가락시장 수산부류 연간 거래물량 전년대비 1.7% 증가, 금액 13.1% 증가
  • 담당부서기획팀
  • 문의0234350471
  • 수정일2018-03-02 16:21
  • 조회수 573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박현출, 이하 공사’)2017년 가락시장 수산부류 거래실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거래실적 분석의 목적은 해마다 수산물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어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피시플레이션 시대에 직면하여 침체된 수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2017년 가락시장 수산부류 거래실적은 물량은 92,882톤으로 전년대비 1.7% 증가했고, 거래금액은 489,25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는데, 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가 발표한 전국 17개 도매시장법인의 전체 물량이 6.2% 감소, 거래금액이 6.3% 증가한 것과 비교했을 때 가락시장의 거래실적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특히 수도권 내 도매시장인 구리농수산물시장은 물량이 33,557톤으로 전년대비 7.8% 감소, 거래금액이 134,289백만원으로 2% 감소했고, 노량진수산시장의 경우 물량이 63,891톤으로 전년대비 8.2% 감소, 거래금액이 316,328백만원으로 4.2% 증가한 것과 비교했을 때 가락시장의 물량과 거래금액이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이는 공사가 수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각 도매시장법인을 대상으로 거래방법 개선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분기별 점검 및 업무검사를 통해 추진성과를 피드백 하는 등 거래방법 개선 노력이 수산시장 활성화와 연계되도록 유도해왔기 때문이다.

<거래 물량>

<거래 금액>

거래물량 상위 5개 품목은 건멸치, 고등어, 명태, 홍합, 바지락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홍합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은 전년대비 물량이 증가했다. 홍합 반입물량이 감소한 것은 2016년 말에 발생한 태풍 피해 여파로 홍합 작황이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거래금액 상위 5개 품목은 건멸치, , 오징어, , 고등어 순이며 전년 대비 건멸치와 김의 거래금액이 각각 20%,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의 경우 생산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태풍, 채묘부진, 고수온 등의 영향으로 주변국의 작황이 부진했고 국내산 김 수출 호조로 거래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래물량 상위 품목>

<거래금액 상위 품목>

순위

품 목

거래물량()

거래금액(백만원)

2017

2016

대비

2017

2016

대비

1

건멸치

12,442

11,886

104.7%

93,395

77,811

120.0%

2

고등어

9,669

9,594

100.8%

19,105

18,074

105.7%

3

명태

6,439

5,636

114.2%

13,315

13,092

101.7%

4

홍합

6,217

7,050

88.2%

7,826

8,853

88.4%

5

바지락

4,040

3,893

103.8%

12,386

11,979

103.4%

순위

품 목

거래물량()

거래금액(백만원)

2017

2016

대비

2017

2016

대비

1

건멸치

12,442

11,886

104.7%

93,395

77,811

120.0%

2

1,583

1,420

111.5%

32,888

25,469

129.1%

3

오징어

3,979

6,094

65.3%

22,754

21,345

106.6%

4

2,753

2,543

108.3%

19,956

19,393

102.9%

5

고등어

9,669

9,594

100.8%

19,105

18,074

105.7%

수입산 거래물량이 전체 거래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2.7% 증가(24.4%27.1%)했고, 수입산 거래금액 비중은 전년과 동일(19.7%)했다. 2017 수입산 거래물량은 25,141톤으로 13% 증가, 거래금액은 96,267백만원으로 12.9% 증가했다.


2017년 우리나라 전체 수산물 수입은 물량, 금액 모두 증가 추세이며, 상위 수입 수산물 중 코다리명태, 낙지, 꽁치, 가자미류, 아귀의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2016.4.18부터 상장예외품목(중도매인 직접거래품목)으로 지정된 코다리명태는 전년대비 물량이 88%, 금액은 78% 순증가 했다. 최근 수입수산물의 증가 원인은 한반도 연근해 고수온 현상에 따른 국내 생산량이 부진으로 수입 수산물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난류성 어종인 갈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 갈치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수입산 갈치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냉동갈치 수입은 감소했다.

<수입산 거래물량 상위 품목>

<수입산 거래금액 상위 품목>

순위

품 목

거래물량()

거래금액(백만원)

2017

2016

대비

2017

2016

대비

1

명태

4,026

3,669

109.7%

9,708

9,300

104.4%

2

코다리명태

3,538

1,878

188.4%

10,481

5,892

177.9%

3

고등어

2,892

3,049

94.9%

5,843

6,125

95.4%

4

바지락

2,394

2,336

102.5%

5,677

5,512

103.0%

5

낙지

1,665

1,403

118.7%

10,743

8,624

124.6%

6

꽁치

952

788

120.8%

1,990

1,415

140.6%

7

새우류

840

920

91.3%

7,721

8,021

96.3%

8

가자미류

798

603

132.3%

2,262

1,644

137.6%

9

아귀

733

594

123.4%

1,948

1,771

110.0%

10

갈치

641

675

95.0%

3,694

3,632

101.7%

순위

품 목

거래물량()

거래금액(백만원)

2017

2016

대비

2017

2016

대비

1

낙지

1,665

1,403

118.7%

10,743

8,624

124.6%

2

코다리명태

3,538

1,878

188.4%

10,481

5,892

177.9%

3

명태

4,026

3,669

109.7%

9,708

9,300

104.4%

4

새우류

840

920

91.3%

7,721

8,021

96.3%

5

고등어

2,892

3,049

94.9%

5,843

6,125

95.4%

6

바지락

2,394

2,336

102.5%

5,677

5,512

103.0%

7

갈치

641

675

95.0%

3,694

3,632

101.7%

8

쭈꾸미

444

547

81.2%

2,939

2,860

102.8%

9

북어채

153

126

121.4%

2,755

2,409

114.4%

10

홍어

303

209

145.0%

2,606

1,630

159.9%


김승로 공사 수산팀장은 2018년을 공정거래 정착의 원년으로 삼아 거래방법 개선계획을 통해 분기별 점검을 실시하고, 실적부진 법인을 대상으로 거래실적 촉진 및 실질적 개선을 유도하여 침체된 수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