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청과
- 거래없었음
2. 수산물
가격지수 : 117.84 전일대비 +0.72
《 강세 요인 》
○ 산지 기상 악화와 신정 연휴에 따른 작업율 저조로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 연말연초 각종행사에 따른 재고 감소로 수입낙지, 수입주꾸미 강세
- 기상 악화로 출하량 감소한 갈치 연초 요식업체 구매 늘어난 미더덕 상승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 저조한 물오징어, 서해안 사고에 따른 소비 부진한 굴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4.34 전일대비 +1.66
《 강세 요인 》
○ 갈치, 생태, 일본산 꽁치, 아귀
- 갈치는 제주주변해역 기상악화와 신년연휴로 조업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출하량이 크게 줄었고 일본산 반입량도 감소하면서 강세에 거래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1톤 증가하였으나 기온하락에 따른 탕류소비 증가 기대감으로 오름세를 보임
- 일본산 냉장꽁치는 국내산 냉장 및 냉동꽁치 반입량 저조로 대체 수요가 증가하여 상승세에 거래되었음.
- 아귀는 조업 악화로 목포, 여수, 죽변산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와 함께 여수산 상품성 양호로 오름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고등어, 삼치, 대구, 병어
- 고등어는 일기 악화로 대형선망 조업 여건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4톤 감소하였음. 반입량 줄었으나 상품성이 다소 떨어지는 부산산 재고 물량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를 나타냄.
- 삼치는 조업부진으로 반입량이 7톤 가까이 감소하였으나 선도가 부진한 재고물량이 출하되어 내림세를 나타냄. 다만 상품은 통영산이 체장이 크고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대구는 조업 여건 악화로 보령산 출하량 크게 감소하였으나 중국산 반입증가로 총 반입량은 4톤 증가하였음. 중국산 반입 증가하고 국내산이 중국산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하락세를 나타냄. 중국산은 상품성 양호와 연초 소비지 중간 도매상 구매량 증가로 강세
- 병어는 목포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부산산은 소량 거래되었음. 체장이 큰 부산산이 반입되지 않아 내림세를 형성함.
◈조개류 98.30 전일대비 -0.45
《 강세 요인 》
○ 새꼬막, 홍합, 소라, 해락 강세
- 새꼬막은 순천산이 18톤 반입되엇으나 산지 폭설과 강풍, 기온하락으로 평소 대비 반입은 감소, 연말 미소진과 강추위로 인한 영업부진으로 소포장은 약세이나 대포장은 강보합세
- 홍합은 26톤 반입되었고 마산과 여수산이 주반입됨. 다듬이 물량은 17,000원 고정가격에 거래되었고,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은 일반물량은 반입 증가에 따른 물량 누적에도 고정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강보합세
- 소라는 순천, 군산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씨알이 굵고 상품성 양호로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해락은 서산,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굴, 가무락, 동죽 약세
- 바지락은 10톤 반입되었음. 전량 중국 수입산으로 기온하락으로 시장 직접 구매량 감소와 연초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굴은 17톤 반입되어 평소 물량수준이었고 고흥, 통영산의 반입이 많았음. 연말 미판매 물량 미소진과 강추위로 인한 시장 직접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가무락은 인천,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중간모시로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
- 동죽은 서산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
◈연체류 107.16 전일대비 -5.31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오만둥이, 문어 강세
- 수입낙지는 7톤으로 전량 중국산으로 상품성은 좋은 편이나 휴장과 연말연시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생물이 주반입되었음. 산지 기상 악화로 반입이 부진하여 오름세
- 문어는 전량 중국 수입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미더덕 약세
- 생물오징어는 13톤 반입되었고 연말대비 6톤 감소. 동해안의 강풍주의보 발효로 어획량이 줄어 반입량도 감소. 주반입 지역은 동해안의 울진, 포항, 경주(감포), 부산산으로 소량 반입된 체낚기 상품은 높은 가격이었고 그 외 등급은 내림세
- 주꾸미는 국내산은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아 낮은 가격을 형성, 중국 수입산은 1톤 반입되엇으나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미더덕은 냉동물량이 주반입되었음. 산지 기상악화에도 가격이 높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