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1.2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7.41 전일대비 2.78
"《 강세 요인 》
○ 강원지역에 많은 눈이 내리 등 기상여건 악화로 출하작업이 원활하지 못해 오른 품목이 많음
- 전일 약세였던 무가 물량감소와 소비증가로 상승해 뿌리채소류의 오름세가 두드러졌고
- 피망, 칼리, 케일 등의 강세로 서양채소류도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전일 큰 폭의 오름세였던 품목은 가격부담으로 소비가 둔화되면서 내림세로 돌아섬
- 강원지역의 출하작업 부진 우려로 전일 급등했던 감자와 최근 기온 하락으로 생육이 지연되면서
물량부족으로 오름세가 지속되었던 오이, 호박 등 열매채소류도 내림세로 돌아섬"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8.84 전일대비 -5.06
◇ 감자-내림세
- 전일 급등세였던 가격이 내림세로 돌아섬
- 주산지인 강원지역에 많은 눈이 내려 공급량 부족을 우려로 가격이 많이 올랐으나 전일에 이어
금일도 평일 수준의 물량이 반입되면서 내림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188톤으로 전일대비 18.4%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197톤 대비 4%
감소하는데 그쳐 평일수준이 반입됨
- 품종별로는 수미 162톤, 대지 26톤이 반입되었으며 수미는 평창 32%, 남원 19%, 인제 15%에서
대지는 제주지역에서 출하됨
- 가격은 20kg상자 상품기준 수미 26,800원, 대지 40,611원으로 전일대비 3.8%, 12.1% 하락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7.38 전일대비 3.91
◇ 배추-내림세
- 주 중반인데다 주산지인 해남지역에 비가 내려 출하작업이 여의치 못해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527톤으로 전일대비 29.6% 감소하였으며 해남 65%, 진도 23%, 서귀포 7%에서
출하됨
- 반면 전일 출하량이 많아 재고가 일부 남아있었고 물기 묻은 물건이 출하되면서 물량감소에도
가격은 소폭 내림세
-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5,500원으로 해남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3,850원으로 전일대비
181원 하락함
◇ 시금치 - 강세
- 전자경매 기준 123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16.0% 감소
- 섬초 58톤, 육지초 3톤, 포항초 24톤, 4kg상자시금치 14톤, 단시금치 24톤 가량임
- 신안 48%, 포항 19%, 무안 2%, 경기 일원 15%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겨울철 수요 많은 노지의 섬초와 포항초 강세가 계속됐으며, 경기일원의 하우스 시금치 약세 형성
- 설 대목장을 맞아 수요 꾸준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1.85 전일대비 -3.73
◇ 오이-내림세
- 지난주까지 급등세였던 가격이 금주들어 내림세가 지속됨
- 지난 주말을 고비로 기온이 올라가면서 생육상태가 호전된데다 도매시장 가격이 좋아 지방물량이
출하지를 일부 변경한 것으로 보임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17톤, 취청 67톤으로 전일대비 23%, 52% 감소함. 그러나 전일이 주초였던
점을 감안하면 평일보다 소폭 증가한 물량임
- 백다다기는 고흥 45%, 상주 35%, 대구 6%에서 취청은 구례 38%, 보성 31%, 고흥 23%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9,318원, 취청 50개 18,67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1%, 0.3%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2.91 전일대비 22.56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1.96 전일대비 3.61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87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1.9% 감소
- 품종별로는 청양 34톤, 일반풋고추 32톤, 꽈리 14톤, 홍고추 3톤 반입
- 주 출하지는 경남 밀양, 진주, 창원, 창녕 등임.
- 산지 출하 대기 물량이 많지 않고,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가 계속되었고,
-공급량 부족이 계속되고 있는 청양고추의 오름세가 두드러짐.
- 주중 추위가 올 것으로 예보되어 반입량 증가 폭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지속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2.98 전일대비 9.83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3톤으로 전일 보다 7.1% 증가하였으며, 청피망 28톤, 홍피망 5톤 가량임.
- 청피망은 진주 61%, 광주 18%, 나주 14%, 홍피망은 광주 79%, 진주 5% 등에서 출하됨
-재고 소진과, 외식 및 중소형 마트 주문량 증가로 상승장 지속됐으나, 표준가격 보다는 낮은 수준임.
- 파프리카는 7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54.2% 감소. 빨강 4톤, 노랑 3톤, 주황 0.6톤 가량임
- 진주 66%, 화성 12%, 제주 7%, 익산 6% 등에서 출하됨
- 반입량 크게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됐고, 소비 활발하여 내일도 강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92.63 전일대비 9.12
◇ 버섯류 - 오름세
- 전일대비 7% 감소한 175톤 반입
- 버섯의 주 출하지인 충청과 경기도에 내린 눈으로 재배 작업 부진
-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버섯류 소비 꾸준히 증가추세
- 샤브샤브 음식점 등 요식업체의 구매 증가
◇ 생표고 - 오름세
- 산지 기상 여건 저하로 전일대비 27% 감소한 15톤 반입
- 충남 부여 52.6%, 서천 20%, 경북 청도 9.9%, 충남 청양에서 9.7% 반입
- 요즘엔 충남 부여군 미산농협을 중심으로 출하
- 대형유통업체 납품용인 고품질 표고는 꾸준한 강세
- 급식용인 중품은 학교 방학으로 약세 형성
- 상품 4kg 평균 31,695원으로 22%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8.35 전일대비 +1.47
《 강세 요인 》
○ 해상 기상여건 및 월멸기로 인해 어획량 부족으로 반입량이 감소로 가격상승
- 설 대비 중도매인의 재고 확보를 위한 구입 증가 및 체장이 큰 물량 반입 참조기 상승세
- 남해 및 제주 해역 풍랑 주의보로 조업부진을 보인 고등어, 아귀 강세
《 약세 요인 》
○ 전일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 및 반입량 증가로 중매인의 매수세가 적어 거래량 감소
및 소비자 수요 감소로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50 전일대비 +0.37
《 강세 요인 》
○ 지난주 대비 수요량이 증가하였고 월명기 및 남해 파랑주의보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줄었고 설 대비 중도매인의 매수세가 증가 추세를 보임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
- 참조기는 국내산, 수입산 모두 반입량이 전일 대비 늘었으나 설 대비하여 체장이 큰 물량위주의
출하되어 가격이 상승
- 아귀는 전일대비 대형아귀 물량이 줄었고 선도가 뛰어난 제주산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상승세
- 고등어는 대고등어 위주로 반입물랴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성 좋은 중고등어의 반입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보임
《 약세 요인 》
○ 국내산 생물 반입이 증가, 냉동 물량은 재고량이 충분하여 가격변동이 크게없음
- 병어는 부산산 반입이 감소하여 보령 삼천포 등 물량이 반입되어 가격이 내림세
- 갈치는 국내산, 수입산 물량이 모두 증가 중도매인의 전일 재고량에 대한 부담으로 가격 하락세
- 활어는 강추위이후로 구매자의 소비심리가 나아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반입량이 수요보다 많아
시장내 재고량이 많아 가격이 하락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조개류
가격지수 : 84.58 전일대비 +2.93
《 강세 요인 》
○ 소라, 굴, 바지락, 홍합 강세
- 소라(피뿔고동)는 고흥·순천산이 반입으로 가격은 오름세. 씨알이 굵고 상품성 양호로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가 주소비처였음
- 굴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고흥, 남해, 충무산이 주반입됨. 상품성이 양호한 특등품을 중심으로 강보합세, 주수요처는 전문요식업소였음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반입량감소로 가격은 상등품은 오름세 중하등품은 약보합세. 주소비처는 전문요식업소였음.1㎏ 국내산 깐바지락은 삼천포·서산산이 반입되어 오름세, 20㎏그물망 수입바지락은 상등품은 오름세 하등품은 약보합세, 5㎏ 북한산봉지바지락은 약보합세.
- 홍합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마산·여수산이 주반입 되었음. 전문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은 다듬이 물량은 14,000원 고정가격에 거래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였음
《 약세 요인 》: 새꼬막, 동죽과 해락
- 새꼬막은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순천산이 주반입되었고, 반입량감소에도 전일반입량 미판매분 누적으로 가격은 약보합세, 가정 수요증가와 대형유통업체의 세일 행사품목으로 소비는 증가
- 동죽과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고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3.44 전일대비 +5.39
《강세 요인 》
○ 물오징어, 수입낙지, 쭈꾸미, 수입쭈구미, 오만둥이 강세
- 물오징어는 3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울산(방어진), 울진(후포), 경주(감포), 부산산이 대량 반입되었으나, 백화점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행사 및 전문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가격은 오름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감소. 전량 중국산으로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수입냉동낙지는 보합세
- 쭈꾸미는 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감소. 국내산은 군산산과 장항산이 반입되었고 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상등품은 오름세, 하등품은 보합세
- 수입쭈꾸미는 중국산이 반입되어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가격은 보합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및 여수산 생물이 주반입되었음. 가격은 상등품은 오름세, 중등품은 보합세
《 약세 요인 》
○ 냉오징어, 미더덕 약세
- 냉동오징어는 4톤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약보합세
- 미덕덕은 마산산 1톤 반입 전일과 반입량은 비슷하나, 가격은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