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5(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5(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7.56 전일대비 9.34
《 강세 요인 》
○ 설 휴장을 앞두고 외식 및 납품 업체 등의 재고 물량 확보 노력으로 대부분 부류 오름세
- 일반 음식점 및 중소형 마트 주문량 증가한 잎채소류의 상승 폭이 컸으며
- 고구마, 감자는 반입량 감소가 계속되면서 강세 지속
《 약세요인 》
○ 설 대목 소비량이 적거나 그동안 많이 오른 품목은 매기가 둔화되면서 내림세 거래
- 가지, 단호박 등의 내림세로 열매채소류가 약세였고 뿌리채소류도 소폭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70.74 전일대비 23.02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4.73 전일대비 30.64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4.02 전일대비 -12.5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7.29 전일대비 -3.26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9.64 전일대비 19.92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6.37 전일대비 19.93
◈ 버섯류
가격지수 : 162.55 전일대비 10
◇ 버섯류 - 오름세
- 전일대비 9% 감소한 302톤 반입
- 산지 출하량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설 대목으로 인해 지난주보다 출하물량은 많은 편임
- 설 차례상 및 전과 산적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버섯류 전반적으로 강세
- 특히 설 성수품인 고품질 느타리 위주로 소비 활발
- 설 선물로 좋은 고품질 표고 또한 강세 형성
◇ 팽이 - 오름세
- 산지 작황호전 및 출하지 확대로 전일대비 13% 증가한 63톤 반입
- 경북 청도 47.6%, 충북 괴산 15.6%, 경남 밀양 12.9%, 경남 함양에서 12.9% 반입
- 급식업체 및 외식업체 구매 감소
- 설음식에 많이 쓰여, 가정용 소비가 큰 폭 증가
- 상품 100g 평균 275원으로 전일대비 24% 상승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31톤 전일대비 22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2.12 전일대비 +0.70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06.59 전일대비 +3.42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30.27 전일대비 +0.07
◈ 조개류
《 강세 요인 》: 설날 대목 대비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 시작 및 수요증가
○ 강세품목 : 새꼬막(고막), 굴, 북한산 봉지바지락(5㎏), 해락(동죽살)
- 새꼬막(고막)은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반입.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굴은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충무, 삼천포, 남해, 고흥산 주반입. 선도가 좋은 충무산 상품성이 양호하여 특품 및 상품 오름세
- 북한산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설날 휴무 대비한 전문음식점의 수요 증가와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로 가정용 수요증가로 오름세.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설 연휴 대비 전문요식업소의수요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설날연휴 및 봄 방학으로 급식납품 수요 감소
○ 약세품목 : 깐바지락, 바지락수입, 가무락(모시조개), 홍합, 동죽, 소라(피뿔고동),
- 깐바지락(1㎏ 국내산)은 남해, 삼천포 서산산이 주로 반입되어 가격은 내림세
- 바지락수입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주말에 비해 전반적으로 주중 약보합세. (20kg 그물망) 바지락수입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량 감소로 상품은 약보합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상품성이 양호한 인천산, 남해산 반입증가로 상등품 가격은 약보합세이나, 군산산은 중품 가격은 보합세
- 홍합은 2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설날 휴무로 전문음식점의 수요 감소로 약보합세 깐홍합도 약보합세
- 동죽은 서산산이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고 매기부진으로 동죽은 약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순천산, 나라도산이 주반입. 씨알이 큰 것의 상품의 반입이 줄거나 없어 상품성이 낮은 것의 반입이 많아 등위간 가격 차이가 컸음, 상품(군산산)은 반입량이 없고, 순천산 중품은 내림세
◈ 연체류
○ 강세품목 : 물오징어, 냉오징어,미더덕, 오만둥이
《 강세 요인 》수입원가 상승에 따른 반입 물량 감소로 일부 품목은 높은 가격 형성 및 설날 수요를 대비한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거래량 증가
- 물오징어는 2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거제도, 울산, 부산, 포항, 경주(감포)산이 주로 반입되었으나, 물량감소로 가격은 대폭 오름세
- 냉오징어는 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물량감소로 가격 오름세
- 미덕덕은 마산산이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 생물이 주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약세품목 : 낙지수입, 쭈꾸미, 쭈꾸미수입,문어
《 약세 요인 》반입물량 및 재고물량 증가로 가격 약보합세
- 낙지수입은 5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중국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약보합세
- 쭈꾸미는 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국내산은 장항산이 주반입. 설날연휴로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보합세
- 쭈꾸미수입는 중국산이 반입되어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가격은 약보합세, 냉동쭈꾸미 가격도 보합세
- 문어는 설날을 앞두고 서산산 소문어가 대량반입으로 가격은 내림세,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도 오름세
□ 건어류 : 물량은 30톤 반입 전일대비 21톤 감소
◈ 건어류《 물량 및 가격동향 》
《 강보합세 요인 》: 설날을 앞두고 반입량 감소 선물용 수요 증가 기대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강보합세
- 김은 6톤 반입 전일대비 6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설 선물용 상품의 거래는 꾸준하여 가격변동은 없음 강보합세
- 건멸치는 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강보합세
《 약보합세 요인 》: 소비자기호 변화와 고정 급식업체의 수요 감소로 매기부진
- 건명태는 10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반입량 감소 가격 약보합세
- 미역은 6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약보합세□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31톤 전일대비 22톤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