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19(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19(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2.17 전일대비 0.59
《 강세 요인 》
○ 전일 주초인데도 출하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되었고 각급 학교 개학을 앞두고 납품소비량이 증가하였고
졸업시즌을 맞아 요식업소 소비도 꾸준해 오름세
- 요식업소 소비가 많은 버섯류, 서양채소류가 오름세 주도
- 품목별로는 부추, 양송이, 달래, 상추 등의 오름 폭이 크게 나타남
《 약세 요인 》
○ 고단가를 유지하던 감자가 가격부담으로 내림세로 돌아섯고 혹한이 물러나고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는 열매채소류도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0.15 전일대비 -3.44
◇ 고구마-내림세
- 설 이후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보이자 가격부담이 높아진데다 주 중반으로 소비량이 적어
내림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61톤으로 전일대비 18.4% 감소하였으며 호박고구마 29톤, 밤고구마 32톤이 반입됨
- 호박고구마는 여주(33%), 익산(23%), 성남(17%)에서 밤고구마는 여주(79%), 이천(16%), 논산(6%)
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상자 상품기준 호박고구마 21,465원, 밤고구마 15,43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5%,
15% 하락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0.31 전일대비 1.39
◇ 배추-오름세
- 전일 기온이 풀리면서 산지 작업량 증가로 일부 물량이 유치되는 등 판매에 어려움을 겪자 금일은
작업량 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514톤으로 전일대비 43.3% 감소하였으며 해남 64%, 진도 24%, 제주 5%에서
출하됨
- 금주들어 진도의 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금일 제주산이 3대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931원, 보통 2,608원으로 전일대비 2.3%, 1.7% 상승함
- 재고량 증가에도 출하량이 적었고 해남지역에서 50싸이 이상의 출하비중이 높아 상품성도
전반적으로 호전되었음
- 지역별 평균가격은 해남 3,200원, 진도 2,860원으로 지역별로 상품성 차이가 많이 발생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2.07 전일대비 -5.44
◇ 오이-내림세
- 공급량 감소에도 소비침체가 지속되면서 내림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33개, 취청 76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34.8%, 54.9% 감소하였으나 전일이
주초로 이틀치 물량이 반입된 점을 감안하면 평일 수준보다 조금 많은 물량임
- 따라서 전일 재고가 상당수 누적된데다 금일도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되면서 물량 부담이
가중되였음
-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상주, 고흥, 안성에서 취청은 구례, 보성, 고흥에서 출하되어 전일과 큰
변동이 없음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27,079원으로 0.2% 상승했으나, 취청 50개 11,709원으로 6.1%
하락함
-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백다다기 상품만 소폭 오름세
- 물량부담이 많았는데다 전일부터 기온이 평년수준으로 회복되면서 향후 공급량이 꾸준할 것이라는
기대 심리도 구매를 꺼리는 요인으로 작용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2.02 전일대비 0.89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5.7 전일대비 2.66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82톤으로 전일 보다 15.3% 감소
- 품종별로는 청양 26톤, 일반풋고추 32톤, 꽈리 15톤, 홍고추 4톤 가량임
- 반입량 감소에도 소비 부진과 대보름 수요 집중으로 내림세 거래
- 단, 산지 출하량 부족이 계속되고 있는 청양고추는 오름세 보임
- 내일은 기온 상승으로 출하량 증가하고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수요 감소로 내림세 전망
◇ 대파 - 보합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338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7.6% 감소
- 주 출하지는 전남 진도(61%), 신안(38%), 제주(1.3%) 등지임
- 반입량 감소하였지만, 소비는 큰 변화없어 보합세를 보임
- 신안 지역의 상품성이 좋아 상품 시세를 이끌고 있음
- 대보름 이후에도 소비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약보합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8.98 전일대비 4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29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21톤, 홍피망 7톤 가량임.
- 피망은 진주, 광주, 나주, 화순, 화성 등에서 출하됨
- 파프리카는 7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3톤, 노랑 3톤, 주황 1톤 가량임
- 진주 23%, 남해 19%, 화성 17%, 화순 16%, 익산 11% 등에서 출하됨
- 추운 날씨로 반입량 줄어 소폭 상승 거래됨.
- 내일은 봄방학으로 납품 수요 감소 등으로 소비 부진하여 약세 전망됨
◇ 양상추, 브로코리 - 강세
- 양상추는 전자경매 기준 38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45% 가량 감소함
- 주 출하지는 의령 43%, 광양 27%, 합천 16%, 하동 14% 등지임
- 반입량 감소폭이 커, 소비 부진에도 오름세를 보임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41톤 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10.8% 증가함
- 제주 71%, 중국 2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중소형 마트 주문 증가로 오름세 거래
- 내일은 대보름 수요 집중으로 서양 채소류는 전반적으로 약세 전망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07.78 전일대비 8.86
◇ 버섯류 - 오름세
- 전일대비 5% 감소한 176톤 반입
- 시세하락으로 인한 출하조절에 따라 반입량 감소
- 또한 한파의 영향으로 생육도 다소 부진함
- 학교 봄방학으로 학교 급식업체 납품 부진 꾸준
- 졸업시즌으로 외식업체 구매 증가
◇ 양송이 - 오름세
- 격일작업과 산지 시세조절로 전일대비 31% 감소한 7톤 반입
- 충남 부여 52.6%, 충남 보령 38.4%, 충남 논산에서 8.4% 반입
- 반입량 큰 폭 감소로, 가격 상승세 형성
- 유통업체 납품 활발 및 외식업체 구매 증가
- 상품 2kg 평균 13,515원으로 전일대비 27% 상승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26톤 전일대비 16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8.64 전일대비 -6.97
○ 강세품목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홍합,
《 강세 요인 》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20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감소와 고정수요처 수요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강보합세.
- 홍합은 2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됨. 전문음식점의 수요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약세품목 : 동죽, 굴, 깐홍합, 소라(피뿔고동), 깐바지락(1kg), 새꼬막(고막), 가무락(모시조개),
《 약세 요인 》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고정수요처 수요 한정으로 가격은 대폭 내림세.
- 굴은 1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고흥, 충무, 남해, 여수, 삼천포산이 주 반입. 반입량 증가로 특품 및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은 약보합세
- 깐홍합도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내림세
- 소라(피뿔고동)는 상품은 순천산이 주반입 중품은 군산산 하품은 나라도산이 주반입. 산지 작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수요 한정으로 상품은 내림세, 중하품은 약보합세.
- 깐바지락(1kg)은 서산산과 삼천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새꼬막은 19톤 반입 전일과 같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중등품 순천산과 상등품 군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9.45 전일대비 +4.19
○ 강세품목 : 낙지수입, 냉동낙지, 문어, 멍게, 미덕덕,
《 강세 요인 》
- 낙지수입은 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중국산으로 고정 수요처의 수요가 증가로 중품 가격은 오름세 상품가격은 강보합세
- 냉동낙지(7㎏상자)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전량 중국산으로 7㎏상자 상품 가격은 오름세, 10㎏상자 상품 가격은 내림세
- 문어(중)는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은 강보합세, 포항산 소문어 가격은 내림세
- 멍게(우렁쉥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미덕덕은 1톤 반입 전일대비 5톤 감소. 마산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약세품목 : 물오징어(중,하품), 쭈꾸미, 쭈꾸미수입, 문어(중), 오만둥이
《 약세 요인 》
- 물오징어는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부산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내림세
- 쭈꾸미는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장항산, 군산산이 주 반입,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한정으로 가격은 내림세
- 쭈꾸미수입은 중국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상품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문어(중)는 포항산 중문어 가격은 내림세,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소문어 가격도 강보합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되었음. 수요 감소로 내림세
□ 건어류 : 물량은 64톤 반입 전일대비 7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38.04 전일대비 +0.0
《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31톤 반입 전일보다 8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6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7톤 반입 전일보다 5톤 증가, 가격음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