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2.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9.88 전일대비 -0.14
《 강세 요인 》
○ 열매, 뿌리 채소류와 서류는 주중 재고물량 확보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강세
- 취청오이, 가지, 단호박은 요식업소 및 외식업체 주문 증가하면서 시세상승
- 무는 고창, 영암지역 상품성 우수로 오름세, 고구마는 산지 출하량 감소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잎, 양념, 서양 채소류는 전일 재고증가,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증가하면서 약세
- 얼갈이배추, 미나리, 풋고추, 대파는 소매상 주문 감소, 김장철 마무리로 수요 줄어 내림세
- 비타민은 납품 주문 늘어 상승세, 신선초, 겨자잎, 아욱은 출하량 증가로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0.02 전일대비 6.02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76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3%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4%, 익산 12%, 당진 11%, 대전 10%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21,000원, 대전 2,000-16,500원,
- 호박고구마는 당진 5,000-29,500원, 서산 1,000-16,000원
- 충남 당진에서 상품성 우수한 호박·밤고구마 출하로 판매 호조
- 낮기온 상승으로 가저장품 손실 막기 위해 산지작업 활발로 물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4,815원으로 전일대비 10%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보합세
- 금일 25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7%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3%, 영암 10%, 김천 9%, 춘천 8% 등 반입
- 평창 2,000-25,000원, 영암 3,000-47,500원, 김천 3,000-48,500원.
- 강원 저장감자 출하량 감소. 전남, 경북지역 이모작감자 출하 증가
- 주중 납품업체 주문 감소, 급식수요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24,557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5.99 전일대비 -7.3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9.92 전일대비 7.71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20.94 전일대비 12.72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7.11 전일대비 -1.06
◇ 양파 - 보합세
- 금일 61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 반입량 증가.
- 무안 51%, 함평 14%, 영천 7%, 해남 6%, 신안 6%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67-850원, 함평 200-600원, 영천 306-503원 거래.
- 남부지방 기상 호전되면서 전남, 경북지역 저장양파 출하작업 활발
- 주중 중소형 마트 및 재래시장 소매상 주문 감소하면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531원으로 전일대비 1%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9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1% 반입량 증가.
- 진도 51%, 신안 34%, 영광 7%, 부안 4%, 구리 2% 등 반입
- 진도 1,200-1,450원, 신안 1,260-1,920원, 영광 1,220-1,600원
- 김장철 마무리로 양념류 시세하락 우려한 산지 출하량 증대로 물량 증가
- 음식업소(탕류 취급)주문 꾸준하나, 일반 소매상 주문 감소로 판매 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593원으로 전일대비 4%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8.75 전일대비 -0.66
◇ 피망 - 약보합세
- 전자경매 기준 청피망은 31톤, 홍피망 3톤, 노랑파프리카는 4톤 반입
- 청피망은 전라지역 37%, 경남지역 63% 등 차지. 진주, 나주, 광주 등 출하
- 남부지방 기상 호조로 작업 활발. 주중 외식업체 및 중소형마트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20,217원으로 전일대비 4%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홍피망은 전라 90%, 경남 5% 등 차지. 광주, 나주, 진주 등 출하
- 경상지역 생산량 감소. 일반 소매상 및 요식업소 주문 늘면서 매수세 증가
- 금일 10kg 중품 평균 44,822원으로 전일대비 24% 상승하면서 오름세
◈ 버섯류
가격지수 : 91.8 전일대비 1.87
◇ 버섯류 - 내림세
- 산지 출하 조절로 전일과 비슷한 178톤 반입
- 주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급식 업체 납품 감소 등으로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주중 유통업체 세일 행사 감소
- 건조한 날씨로 버섯류 상품성 다소 하락
◇ 느타리 - 강보합세
- 전일과 비슷한 35톤 반입
- 강원도 지역은 물량 감소 및 주기작업으로 인한 출하물량이 크게 감소되었음
- 충청도 지역 또한 주기작업으로 출하물량이 감소함
- 경기도 일원의 참느타리 버섯은 대형 마트의 할인행사로 출하물량 늘어남
- 전남 보성 26%, 경기 여주 25%, 충남 보령 19%, 경기 여주에서 13% 반입
- 금주 들어 느타리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면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 상품 2kg 평균 7,076원으로 8%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17.69 전일대비 -1.16
《 강세 요인 》
○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세일행사로 생물 구매량은 증가하나 가격은 약세
- 국내산조기, 대구는 수요 증가
- 주구미. ,가무락, 동백하(새우)는 수요 증가로 오름세
○ 가격이 낮은 삼치, 오징어의 급식수요 증가
《 약세 요인 》
○ 수입 및 냉동물량은 선도부진에 따른 소비부진
○ 활어류 대부분은 수요부진으로 약세
○ 연말임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영업부진으로 구매량 감소
◈ 생선류 77.55 전일대비 -1.65
《 약세 요인 》
○ 대부분 품목의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연말연시 임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영업부진에 따른 구매량 감소와 재래시장의 구매량 감소로 오른 품목이 없이 약세에 거래
- 고등어는 27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대형선망의 조업 양호로 부산산 대고등어는전일대비 보합세. 중고등어는 반입량 증가에도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의 대량 거래가 증가에도 내림세, 소고등어도 반입은 감소하였으나 재래시장의 거래량 증가로 약보합세, 수입고등어는 자반 가공업자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수입생태는 21톤 반입으로 전일수준이나 전일 가격이 높아 전문요식업소에서 구매량을 줄여 발주함에 따라 재고량 누적으로 내림세. 전문 요식업체와 백화점등 대형 유통업체가 주소비처임
- 갈치는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제주산은 체장과 선도도 양호하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일본 수입산은 반입량 증가와 전문 요식업체의 가격부담에 따른 발주량 감소로 내림세
- 삼치는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부산, 여수, 삼천포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전일 미판매 물량과 대형 유통업체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은 증가하나 미판매 물량은 누적
- 대구는 속초, 부산, 군산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반입량은 전일대비 3톤 감소한 15톤.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았고 선도와 체장이 커 대형 유통업체의 물량 확보량도 증가. 소량씩 거래가 꾸준한 일본산과 중국산도 내림세
- 참조기는 제주도산 이외에 목포, 부산이 어획량 증가로 반입량은 증가 추세이나 가격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수입산은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횟감류는 숭어류 외에 자연산의 반입은 없었고 대부분이 수입 양식으로 연말연시를 맞아 수요는 꾸준하나 가격 변동은 크게 없이 약보합세
◈ 조개류 107.03 전일대비 -0.83
《 강세 요인 》
○ 겉소라, 모시조개(국산), 동죽, 해락 강세 - 겉소라는 순천, 군산산으로 반입량 감소와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강보합세
- 가무락은 서산,목포,인천산과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좋은 국내산 흑모시는 오름세, 수입산 중간모시는 내림세
- 동죽과 해락은 서산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홍합, 모시조개(수입) 약세
- 굴은 2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잔굴은 고흥산, 중굴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으나 유통업체의 물량확보와 전문 요식업체의 구매량 증가로 거래는 꾸준하나 전일 재고 물량 누적으로 가격은 내림세.
- 바지락은 2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국내산은 부안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낮은 가격을 형성, 수입산은 북한산만 반입되었으나 전일대비 내림세. 서해안 원유 유출 여파로 안면도산의 반입은 없었고 수입산인 북한산이 거래되었으나 전문 요식업체의 영업부진과 수입산의 선도 부진으로 거래는 부진
- 새꼬막은 2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순천산으로 씨알이 굵고 선도도 양호하였으나 전일 미판매량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홍합은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7톤 감소, 마산, 여수산이 주반입되었음. 다듬이 물량은 17,000원에 고정가격에 거래되었고, 일반물량은 씨알이 잘고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였으나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는 꾸준함
◈ 연체류 91.22 전일대비 -3.90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오름세
- 수입낙지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선도가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등급간 가격차이는 작았고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문어, 미더덕, 오만둥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20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톤 감소. 동해안산 채낚기 물량이 주반입 되었고,부산산 채낚기와 트롤물량도 소량 반입되었음. 반입량은 전일수준으로 체장이 크고 상품성도 좋은 편이었으나 전반적인 매기부진으로 가격은 내림세 형성. 대형 유통업체의 대량거래가 꾸준하였음
- 주꾸미는 2톤 반입되었음. 국내산은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굵고 선도가 좋아 등급간 가격차이가 작았고, 수입산도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었으나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문어는 포항, 통영, 여수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전문 요식업소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미더덕은 냉동물량이 주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전문 요식업소의 소비량이 감소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 오만둥이는 생물로 반입량은 증가추세, 미더덕의 대체품으로의 소비가 증가하였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