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1(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1(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32.61 전일대비 1
《 강세 요인 》
○ 잎, 열매, 뿌리, 서양 채소류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하면서 강세
- 얼갈이배추, 시금치, 열무는 경기지역 출하량 줄었고 당근은 강원산 햇품 출하로 오름세
- 백다다기오이, 애호박은 날씨영향으로 생산량이 줄고 주중 매수세 증가하면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양념 채소류와 서류는 재고증가와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감소로 약세
- 풋고추, 붉은고추, 깐쪽파는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늘면서 매수세 약화로 내림세
- 감자는 강원지역 출하량 늘고 주중 중소형마트 등 소매상 주문 감소로 시세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4.72 전일대비 -6.81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88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10%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26%, 충주 16%, 익산 16%, 대전 13%, 논산 10%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000원, 충주 1,000-13,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2,000-15,000원, 익산 2,000-14,5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논산지역 출하량 감소. 호박고구마 상품성 저하로 시세하락
- 밤고구마 주중 판매부진으로 재고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2,411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5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8%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9%, 강릉 14%, 홍천 14%, 인제 9% 등 반입
- 평창 2,000-26,000원, 강릉 2,000-22,000원, 홍천 2,000-21,000원.
- 전일 중부지방 우천으로 출하작업 부진. 인제, 홍천지역 출하량 감소
- 놀토(토요일 휴교) 앞두고 학교급식업체 및 소매상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8,694원으로 전일대비 4%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61.72 전일대비 4.03
◇ 배추-보합세
-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가격은 등급별로 등락이 엇갈림
- 금일 반입량은 819톤으로 전일대비 13.6% 감소하였으며 태백(25%), 평창(21%), 정선(16%)에서
출하됨
- 전일 가격 내림세로 출하를 서두르지 않았고, 강원지역 준고랭지 2기작이 출하 후반기로
수확면적이 줄어 든 것이 원인으로 보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9,500원으로 정선에서 출하되었고 상품은 4%하락하였으나
보통은 5.7% 상승하여 고가품은 내림세였으나 저가품은 오름세였음
- 기온이 떨어지면서 배추 생육이 호전되어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호전되어 저가품 수요가 늘어남
- 지역별로는 정선, 횡성 등지의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2.09 전일대비 5.79
◇ 오이-오름세
- 주초부터 이어졌던 가격 내림세가 다소 진정됨
- 최근 기상여건 호조로 반입량이 많아 내림세가 이어졌으나, 금일은 저가로 가격 부담이 낮아지고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이 줄면서 오름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65톤, 취청 140톤으로 전일 대비 24.9%, 16.7% 적었고 최근 일주일 평균
반입량에 비해서도 각각 18% 적은 물량임
- 가격은 백다다기는 8% 정도 상승하였으나 취청은 10% 정도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67.84 전일대비 8.99
◇ 무-보합세
- 전일 재고가 다수 남아있고 반입량이 증가했음에도 가격은 소폭 오름로 거래됨
- 산지 포전 거래 가격 상승으로 확보된 물량이 적은 김치공장, 할인점 등 다량 소비처에서 도매시장
구매량을 늘리면서 수요가 활발하였음
- 금일 반입량은 626톤으로 전일대비 10.5% 증가하였으며 홍천(46%), 평창(15%), 강릉(14%),
인제(7%) 등지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전일에 비해 홍천과 평창은 감소하였고 평창과 강릉은 증가함
- 가격은 18kg기준 최고가 20,300원으로 홍천에서 출하되었고 등급별로 2-3% 가량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5.57 전일대비 -3.43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3.1% 증가한 174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7톤, 일반풋고추 60톤, 꽈리 23톤, 홍고추 21톤 반입
- 출하지 이동시기로 강원도 물량 감소, 전라도 광주, 영암, 나주 지역 증가 추세임
- 아직까지 전라도 지역 물량이 많지 않아 반입량 증가세는 주춤한 상태임
- 기상여건이 좋아져 점차 반입량 증가 추세이며,
-전일 고가로 인한 판매 부진으로 중도매인들 재고량 증가하여 하락세로 돌아섬
- 금일 소비 원활하지 못해 익일 역시 약세를 보일 전망임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3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감소.
- 무안 54%, 함평 15%, 해남 14%, 함양 4%, 익산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83-730원, 함평 292-482원, 해남 105-50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해남, 신안 지역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 증가.
- 주말 앞두고 급식업체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하면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35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강보합세
- 금일 19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반입량 증가.
- 강원 평창 19%, 경기 이천 14%, 고양 12%, 연천 9% 등 반입
- 평창 1,350-2,450원, 이천 1,600-2,170원, 고양 1,530-2,100원
- 강원지역 출하량이 점차 줄면서 경기 포천, 고양산 중심으로 시세 형성
- 경기지역 또한 생육기 잦은 비로 쓰러짐 등 생육장애심하여감모율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176원으로 전일대비 5%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5.09 전일대비 2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37.8% 증가한 69톤가량 반입
- 기상여건이 좋고, 광주와 나주 등 전라도 지역 출하가 본격화되어 물량 증가한 반면
- 주중 외식업체 등 소비는 감소하여 하락세를 보임
- 광주(35%), 나주(20%), 인제(10%), 춘천(4%)에서 주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2,790원, 홍피망 32,450원으로 각각 32.6%, 21.9%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8.7% 증가한 18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8톤, 노랑 9톤, 주황 0.9톤가량이며,
- 강원도 물량 감소 추세이나, 경상도 남해 등에서는 출하 전으로 반입량 많지 않은 편임
- 역시 주중 수요 감소로 하락세를 보임.
- 강릉(11%), 춘천(10%), 화성(6%), 남원(5%), 함양(5%) 등에서 반입됨
- 익일은 주말장으로 접어들어 수요 증가로 시세는 회복할 것으로 보여 보합세 전망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 보다 7% 감소한 63톤가량 반입됨
- 강원도 지역과 중국산 수입 물량이 막바지에 접어들었고,
- 여주, 당진, 서산 지역 출하가 본격화 되지 않아 당분간 높은 시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38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13.7% 감소
- 국산 보다 중국산 수입물량 비중(63%)이 높으며,
-태풍 나리 피해로 제주 지역 출하가 늦어질 것으로 보여 당분간 높은 시세를 보일 전망임.
◈ 버섯류
가격지수 : 96.16 전일대비 0.87
◇ 버섯류 - 강보합세
- 가을 수확철을 맞아 산지 일손 부족으로 작업량이 부진하여 전일대비 13% 감소한 166톤 반입
-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버섯 시세 강보합세 형성
- 가을 나들이 수요 증가로 대형 요식업체 납품 활발
◇ 느타리 - 약보합세
- 느타리 시세 약세로 인한 산지 출하 조절로 전일대비 12% 감소한 38톤 반입
- 경기 여주 33%, 전남 보성 25%, 경기 양평 20%, 충남 보령에서 17% 반입
- 강원도와 충청지역의 물량이 산지 작황부진으로 감소하였고, 경기도 지역의 참느타리의 반입은 증가함
- 추석이후 전반적으로 느타리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급식업체 납품은 꾸준함
- 대형마트 세일행사로 인해 참느타리 납품 활발
- 고품질 물량이 감소하면서 특품위주로 강보합세 형성
- 상품 2kg 상자 평균 6,663원으로 전일과 비슷한 가격대 형성
◈ 조개류 85.48 전일대비 -2.41
《 강세 요인 》
○ 굴, 홍합, 새꼬막 오름세
- 굴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증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고 사천, 마산산도 소량 반입되었음. 통영 굴 수협의 초매식이 오늘로 예정되어 개인 보유 물량의 반입이 증가. 상품성이 좋고 수요처 증가로 오름세. 사천산 잔굴도 소량 반입되어 Kg당 8000원대에 거래
- 홍합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의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가격은 강보합세, 일반 물량도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거래가 늘어 오름세
- 새꼬막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순천산이며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업체였음
《 약세 요인 》
○ 바지락, 겉소라, 동죽, 가무락(모시조개) 약세
- 바지락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망바지락은 산지에 따라 가격차이가 컸고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재고량이 늘어 내림세
- 겉소라는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컸고 수요처 한정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내림세
- 겉동죽과 해락(깐동죽)은 대체품목인 바지락 가격하락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순천산과 중국 수입산이 흑모시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국내산은 보합세. 수입산은 내림세
◈ 연체류 90.29 전일대비 +4.37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수입냉장낙지, 미더덕과 오만둥이 강세
- 생물오징어는 2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으로 선도와 체장이 크고 양호하였고 반입 감소 오름세.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증가 추세
- 주꾸미는 국내산만 반입되었고 선도와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가 컸고 소량 반입으로 강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고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 증가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전일에 이은 반입량 감소로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이 증가하여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문어, 산낙지 약세
- 문어는 포항산 소문어가 주반입 됨, 씨알이 잘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산낙지는 고흥 녹동산이며 반입이 소량이나 수입 냉장 낙지의 대체수요 증가로 약세
※ 활 꽃게 :12톤 반입으로 서산, 인천산은 그물망, 목포산은 3kg 톱밥포장으로 반입 됨.
최근들어 각종 매스콤을 통한 풍어 보도로 반입량이 늘면서 거래량도 증가 추세,
가격도 전년 동기 및 전주대비상품기준 1-2,000원 정도 하락한 암꽃게는 11,000- 13,000원, 숫꽃게는 8,000-9,000원 선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