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2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2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2-25 09:0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4.18 전일대비 -2.06
《 약세 요인
○ 주말 일시적으로 기온이 떨어졌으나 완연한 봄기운이 느껴지면서 농산물 생육이 활발해 지난 주말에
비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주초로 평일보다 소비량이 많았으나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내린 품목이 많음
- 기온에 따라 반입량 증감이 심한 열매채소류, 잎채소류 등이 내림세를 주도했고 그밖에 양념채소류,
버섯류도 약세
- 품목별로는 세러리, 시금치, 고구마, 상추 증이 많이 내림
《 강세 요인 》
○ 일시적으로 공급량이 부족한 뿌리채소류, 서양 채소류가 소폭 오름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6.32 전일대비 0.68
◇ 감자-오름세
- 지난 주말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되어 재고량이 많았던 데다 금일도 출하량이 늘어 물량부담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342톤으로 전일대비 40.2% 증가하였으며 수미는 평창(33%), 홍천(20%), 강릉(11%)

에서 대지는 전량 제주에서 출하됨
- 가격은 20kg상자 상품기준 수미 29,544원, 대지 46,72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2%, 0.3% 하락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1.74 전일대비 -1.69

◇ 배추-오름세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698톤으로 전일대비 37.3% 증가하였으며 해남 70%, 진도 26%, 신안 4%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553원으로 3.1% 하락하였으나 보통 2,560원으로 2.4% 상승함
-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상품만 소폭 내림세
- 지난 자말 반입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된 데다 주초 김치 공장 등 대형 구매처 주문량이 많았음
- 그러나 저장과 출하가 병행되면서 장기 저장이 곤란한 45-47싸이wm 물량 출하가 많아 상품성은


전반적으로 하락함

◇ 단시금치 - 오름세, 상자 · 섬초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148톤 반입되어, 전 주말보다 42.1% 증가
- 섬초 62톤, 육지초 6톤, 포항초 31톤, 4kg 상자시금치 17톤, 단시금치 32톤 가량임
- 신안 42%, 포항 21%, 포천 11%, 무안 4%, 경기일원 18%의 점유율 보임
- 봄방학으로 납품 수요도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약세 거래되고 있으며,
- 경기 일원 출하 활발한 단시금치 위주 오름세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77.4 전일대비 -4.08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2.86 전일대비 3.1
◇ 무-오름세
- 물량 증가에도 소비가 따라주어 오름세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면서 지난 주말 대비 34% 증가한 653톤이 반입되었으며 전량


제주지역에서 출하됨
- 기상여건이 호조를 보인데다 지난 주말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작업량은 늘렸음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6,145원, 보통 5,50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4%, 3.7% 상승함
- 평일보다 소비량이 많은 주초인데다 기온 상승으로 나들이 인파가 늘면서 요식업소 위주로 소비가


꾸준하였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8.64 전일대비 -6.53
◇ 생고추 - 약보합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38톤으로 전주말 보다 165% 증가
- 품종별로는 청양 56톤, 일반풋고추 43톤, 꽈리 23톤, 홍고추 8톤 가량임
- 반입량 큰 폭 증가하였으나, 지난 주말 반입량이 매우 적어 소비 활발하여 소폭 하락
- 기온 상승으로 점차 반입량 증가 추세이며,
-
소비는 3월 개학전까지 부진할 것으로 보여 내림세 전망됨
◇ 대파 - 내림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370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67% 증가
- 주 출하지는 전남 진도(66%), 신안(32%), 제주(2%) 등지임
- 주말 산지 기상 여간이 좋아 출하량 크게 증가하여 내림세 거래됨
- 신안 지역의 상품성이 좋아 상품 시세를 이끌고 있음
- 내일은 소비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산지 출하량 증가로 약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9.51 전일대비 3.99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6톤 반입되어 전 주말 보다 102% 증가
- 청피망 25톤, 홍피망 11톤이며, 진주, 광주, 나주, 화순 등에서 주로 출하
- 지난 주말 출하량 적어, 반입량 증가에도 소비 매우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 파프리카는 12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4톤, 노랑 4톤, 주황 1톤, 녹색 3톤 가량임
- 창녕 26%, 진주 18%, 화순 13%, 마산 10% 등에서 출하되며, 반입량 많지 않아 강세
◇ 양상추 - 오름세, 브로코리 - 약보합세
- 양상추는 전자경매 기준 42톤 반입되어 전 주말 보다 75% 증가
- 주 출하지는 광양 38%, 의령 27%, 하동 27%, 합천 5% 등지임
- 지난주말 반입량이 매우 적어 재고 소진된데다, 주초 매기 활발로 오름세 거래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52톤 가량 반입되어 전 주말 보다 73% 증가
- 제주산 39톤(75%), 중국 13톤(25%)의 점유율을 보임
- 반입량 큰 폭 증가하였지만, 주초 납품 및 외식 업체 주문량 활발로 소폭 하락에 그침

◈ 버섯류
가격지수 : 106.78로 전일대비 -3.8
◇ 버섯류 : 보합세
- 반입물량이 195톤으로 전일대비 106%증가함.
.

- 전일 따뜻한 날씨 때문에 산지 작업환경이 양호함.

- 전일 휴일로 소비가 활발하여 표준지수가 낮아지고 반입물량이 증가함.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12톤 전일대비 29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6.73 전일대비 -13.25

○ 강세품목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깐홍합, 홍합, 소라(피뿔고동 : 중품), 동죽살(해락), 새고막(중상품)
《 강세 요인 》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증가. 전량 북한산으로 고정수요처 수요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수요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깐홍합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오름세
- 홍합은 2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됨. 수요 증가로 하품 가격은 오름세, 중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 소라(피뿔고동, 중품)은 순천산이 주반입.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상품은 내림세
- 동죽살(해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고정수요처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새꼬막(중상품)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중(7kg)은 하품은 내림세, 중상품은 강보합세, 대(17kg)는 강보합세

○ 약세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굴, 깐바지락(1kg), 소라(피뿔고동) 상품,
《 약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상품은 부안산과 군산산 중품은 군산산과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굴은 17톤 반입 전일보다 4톤 증가. 충무, 남해, 삼천포, 마산, 여수 고흥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깐바지락(1kg)은 삼천포,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소라(피뿔고동 : 상품)는 순천산산이 주반입.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하품은 강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2.55 전일대비 +8.72

○ 강세품목 : 오만둥이, 활(산)낙지수입, 낙지수입, 쭈꾸미, 쭈꾸미수입, 물오징어, 냉오징어(연안 8kg PAN), 멍게, 문어(중)
《 강세 요인 》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되었음. 오름세
- (활)산낙지수입은 는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낙지수입은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중국산으로 가격은 강보합세.
- 물오징어는 부산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냉오징어(연안 8kg PAN)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증가에도 가격은 강보합세
- 쭈꾸미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국내산은 장항산과 군산산이 주 반입, 주초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쭈꾸미수입은 중국산이 주 반입. 주초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멍게(우렁쉥이) 순천산과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문어(소)는 포항산 중문어 및 대문어는 강보합세, 소문어 가격은 오름세,

○ 약세품목 : 갑오징어, 미덕덕
《 약세 요인 》
- 갑오징어는 일본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미덕덕은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건어류 : 물량은 104톤 반입 전일대비 48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34.80 전일대비 +1.58

○ 강세품목 : 건멸치
《 강세 요인 》
- 건멸치는 66톤 반입 전일대비 40톤 증가. 반입물량 증가에도 건대멸치 가격은 오름세, 기타 가격도 강보합세

○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변동없음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7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2톤 반입 전일대비 8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8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