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11(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11(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7-11 09:0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9.78 전일대비 3.35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전일 우천으로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 양배추, 미나리, 무는 장마영향으로 산지 작업부진으로 물량 줄면서 시세상승
- 셀러리, 파세리, 느타리버섯은 주중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열매 채소류와 서류는 우천영향과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하여 내림세
- 취청오이, 쥬키니호박, 애호박은 태풍 예보로 조기 출하 서둘러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경기 여주, 전북 김제 등에서 햇고구마 출하로 물량 늘어 약세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3.38 전일대비 1.96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17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54% 증가.
- 고구마는 여주 62%, 김제 27%, 완주 10%, 당진 1%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산 3,000-29,000원, 김제 2,000-26,000원
- 완주 8,000-34,000원, 호박고구마는 당진산 12,000-18,000원 거래
- 태풍예보로 산지 조기출하 작업 활발로 햇고구마 출하량 증가
- 밤고구마 상품성 향상과 요식업소 장마철 재고확보 주문 증가
- 상품 평균 25,917원으로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 감자 - 오름세
- 금일 21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6% 감소.
- 수미종 감자는 당진 17%, 홍천 16%, 평창 14%, 강릉 12%, 서산 9% 등 반입
- 당진 2,000-26,000원, 홍천 2,000-34,000원, 평창 2,500-18,500원 거래.
- 강원지역 52%, 충청 28%, 경상 7%, 경기 5%로 주출하지가 점차 이동
- 주중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3,728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7.15 전일대비 8.94
◇ 배추-오름세
- 장마철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작업량이 줄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47톤으로 전일대비 28.7% 감소하였으며 평창 40%, 정선 29%, 횡성 14%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평창은 소폭 증가하였으나 정선과 횡성은 크게 감소함
- 정선은 오후까지 비가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여건이 좋지 않았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5,373원, 보통 4,43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5%, 9.6% 상승함
-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태풍 『마니』의 북상으로 공급차질을 우려 구매량을 늘리는 모습임
- 그러나 우중에 작업되어 물기를 머금은 물량이 많아 짓무름 등으로 상품성은 여전히 좋지 않음
- 정선에서 47사이 물건이 출하되어 최고가 6,700원에 거래되었으며 정선지역이 전반적으로


상품성이 우수해 타 지역에 비해 평균가격이 10%정도 높게 형성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1.93 전일대비 -11.2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69.22 전일대비 10.4
◇ 무-오름세
- 주초부터 이어진 내림세가 마무리되고 오름세로 돌아섬
- 산지 비로 작업여건이 좋지 않아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태풍 북상의 소식으로 공급차질을 우려


수요가 활발하였음
- 금일 반입량은 426톤으로 전일대비 21% 감소하였으며 당진 28%, 무안 12%, 부안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2,872원, 보통 10,28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0.3%, 15.7% 상승함
- 최고가는 14,800원으로 무안에서 출하되었고 무안, 당진 지역이 비교적 가격이 높게 형성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8.58 전일대비 4.46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2.2% 증가한 186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63톤, 일반풋고추 51톤, 꽈리 39톤, 홍고추 17톤 반입.
- 청양은 밀양 35%, 경북 예천 33%, 전남 광주 11%, 강원 홍천 2%, 춘천 4% 가량이며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4,690원이며,
-
예천 20,680원, 광주 12,680원, 밀양 10,110원, 춘천 15,250원임
- 일반 풋고추는 홍천(27%), 춘천(16%), 공주(10%), 횡성(5%) 등에서 출하되며
- 강원도 햇물량 증가로 시세는 오름세를 보임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0,430원이며,
-
홍천 21,200원, 춘천 25,830원, 공주 19,270원, 횡성 20,66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54%), 예산(36%) 등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9,300원이며, 예산 9,690원, 당진 8,960원을 형성함.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4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 감소.
- 무안 64%, 함평 10%, 해남 8%, 함양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74-477원, 함평 240-423원, 해남 157-295원 거래.
- 남부지방 태풍예보로 피해예방을 위한 산지 조기출하 작업으로 물량 증가
- 주중 소비부진으로 소매상 주문 및 급식업체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324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금일 17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6% 감소.
- 경기 고양 24%, 구리 20%, 포천 14%, 이천 7%, 파주 7%, 남양주 6% 반입
- 고양 300-980원, 구리 500-730원, 포천 250-820원, 이천 450-780원
- 전일 우천영향으로 작업 부진하면서 중부지방 출하량 크게 감소
-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소매상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758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1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 증가.
- 쪽파는 남양주 64%, 포천 14%, 예산, 아산 14% 등 차지함
- 장마로 인해 기상악화 대비한 조기 출하 증가로 반입량 증가
- 우천으로 거래부진, 납품업체 및 요식업소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750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당진, 서천, 아산, 예산 등에서 출하됨
- 반입량 적고 중소형 유통업체 주문 증가로 중품 위주 오름세
- 금일 중품 평균 39,873원으로 전일대비 38% 시세 상승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88.56 전일대비 16.27
◇ 피망, 파프리카 - 강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24.9% 증가한 40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31톤, 홍피망 9톤이며,
- 출하지역은 강원 횡성(9%), 춘천(7%), 평창(12%), 전남 광주(13%), 나주(18%) 등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4,560원이며,
-
횡성 13,340원, 평창 13,870원, 광주 10,910원, 나주 10,96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17.8% 감소한 22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1톤, 노랑 7톤, 주황 3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전북 김제(16%), 전남 강진(14%), 경남 창원(11%) 등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10,190원이며, 김제 12,040원, 강진 11,440원, 창원 17,82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9,610원, 노랑 9,980원, 주황 13,140원임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법인 반입량 기준으로 전일보다 12.1% 증가한 66톤가량 반입됨
- 강원 춘천 28%, 횡성 26%, 평창 19%, 여주 4%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6,850원이며, 춘천 11,930원, 횡성 13,380원, 평창 18,37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횡성(65%),
제천(11%), 괴산(4%), 중국산(18%)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6,890원이며,
-
횡성 17,160원, 제천 20,220원, 괴산 13,480원, 중국 15,08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5.93 전일대비 9.47
◇ 버섯류 - 상승세
- 전일대비 16% 증가한 199톤 반입
- 산지 작황이 좋은 양송이와 새송이의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반입량 증가 견인
- 군납과 마트세일로 인해 납품량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세 형성
◇ 느타리 - 상승세
- 전일대비 1% 감소한 34톤 반입
- 경기 여주 12.7%, 광주 11.9%, 구리 10.5%, 양평 8.6%, 천안에서 7% 반입
- 고품질의 균상느타리가 원활한 소비성을 보임
- 병, 봉지 재배 느타리 중 수한계열의 느타리가 소비자 선호도 높음.
- 전일에 비해 우수품 위주로 강세형성
- 우천의 영향으로 중하품의 상품성 저하

2. 수산물
가격지수 : 99.54 전일대비 +2.39
《 강세 요인 》
○ 장마전선 북상에 따른 출하량 감소 우려로 중도매인 매수량 증가
- 반입량 감소한 갈치, 상품성 우수한 고등어, 병어 강세
- 우천으로 출하량 감소한 물오징어, 삼치, 최근 가격하락한 새꼬막 강세
《 약세 요인 》
○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한 수입낙지, 봉지바지락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90.85 전일대비 +4.42
《 강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삼치, 대구, 청어, 병어 오름세
- 고등어는 어군밀도 감소와 지속된 조업여건 악화로 생물 반입량은 줄어들었고 일본산 과 냉동물 위주로 거래되고 있음. 국내산 고등어는 체장이 크고 수요에 비해 반입량이 부족해 강세
- 갈치는 제주산 출하량이 줄었고 일본산 및 중국산 반입량도 감소하여 전일대비 5톤 감소. 국내산 갈치는 반입량 감소와 금일 및 익일 우천보도에 따른 중도매인 매수세가 활발하여 강세. 일본산 갈치 역시 상품성 양호하고 공급량 부족 우려로 오름세
- 삼치는 여수 및 나라도산 출하량 줄어 반입량은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음. 냉동삼치는 주중 식자재 업체 매수세 감소로 내림세를 보였고, 생물삼치는 출하량 감소와 상품성 양호로 강세
- 대구는 동해안산 출하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고, 청어 역시 기상악화로 반입량 줄어 오름세
- 병어는 출하량 늘어났으나 체장이 큰 삼천포산 반입으로 8kg상자가 오름세를 보였고, 5kg상자는 목포산이 주로 거래되었으며 선도 양호로 강세
《 약세 요인 》
○ 생태, 참숭어, 양식돔 내림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으며 선도가 우수한 상품은 보합세를 중품은 물량증가로 하락세를 보임
- 참숭어는 서산산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우천보도로 횟감 수요가 감소하여 약세
- 양식돔은 중국 및 일본산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주중 소비부진에 따른 시장내 재고 증가로 내림세

◈ 조개류 93.43
전일대비
+0.55
《 약세 요인 》
○ 산지 장맛비와 소비지의 매기부진으로 전 품목 가격은 약세, 품목 간 등락은 컸으나 동일 품목의 등급간 가격차이는 크지 않았음
- 굴은 4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통영(충무)산으로 계속된 장맛비에도 반입량은 꾸준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고정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수요는 한산하여 내림세
- 새꼬막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산지 장맛비로 반입량은 감소, 기온상승에 따라 매기부진하였음, 대포장은 보합세이나 소포장은 내림세
- 홍합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마산, 여수산으로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보합세, 일반 물량은 선도부진으로 내림세, 요식업소의 수요 외에 일반 수요는 한산
- 동죽은 서산,서천,인천산으로 상품성 하락과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겉망바지락은 태안(안면도),서산산으로 선도가 좋고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강세였고 수입산도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는 좋은 편이었음..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잘고 선도 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 겉소라는 군산, 서천산으로 씨알이 큰 것은 가격이 높고 선도가 양호하여 보합세였으나, 씨알이 작은 것은 약세에 거래. 주수요처는 조개구이 및 해물탕 등 전문 요식업소였음

◈ 연체류 123.17 전일대비
+7.25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미더덕, 산낙지 강세
- 생물오징어는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감소. 산지 기상악화로 동해안 산의 반입이 줄어 부산,완도산이 주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도 선도가 좋아 오름세에 거래
- 미더덕은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고 주 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산낙지는 고흥산 반입으로 오름세에 거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문어, 냉동주꾸미, 오만둥이 약세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일본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중국산과 같은 가격대에 거래되었음. 상품성이 좋고 씨알도 골고루 반입되었으나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약세에 거래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어획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등급간 가격차이도 큰 편이었음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
- 오만둥이는 반입량은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으나 등급간 가격 차이는 컸음.
- 상품 2kg 상자 평균 8,369원으로 전일대비 16%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