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2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2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5.73 전일대비 -1.07
《 약세 요인 》
○ 최근 봄더위라 불릴만큼 기온이 상승해 작물 생육 빨라져 물량 증가로 하락세
- 주 시설 재배 품목인 잎, 서양, 열매 채소류 위주 내림세였으며,
- 품목별로는 케일, 양상추, 쑥갓, 적포기 등의 하락 폭이 컸음
《 강세 요인 》
○ 공급량 감소 및 수입 농산물 가격 상승한 품목 위주 강세
- 마늘은 정부 비축분 방출이 늦어져 공급량 부족으로 오름세이며,
- 수입 마늘쫑, 당근, 생강 등은 중국 현지 가격 상승으로 강세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4.25 전일대비 12.39
◇ 감자-오름세
- 전일 급락했던 대지가 급등세로 돌아섬
- 지속적으로 물량이 감소한데다 저가로 가격 부담이 낮아지면서 적은 소비에도 가격은
크게 오름
- 금일 반입량은 224이었으며 수미 190톤, 대지 33톤, 기타 1톤이 반입됨. 수미는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대지는 전일에 이어 30여톤에 불과한 물량이 출하됨
- 수미는 평창 21%, 인제 18%, 남원 12%, 밀양 9%에서 출하되어 햇감자의 반입비중이 절반을
넘어섬. 대지는 제주시 56%, 김제 22%, 성남 18%에서 출하됨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수미 36,163원, 대지 31,01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5%, 44.4% 상승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3.46 전일대비 -9.42
◇ 배추-오름세
- 노지작업이 끝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물량 부족으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88톤으로 전일대비 10.5%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680톤 대비 14%
적은 물량임
- 주초에 출하가 시작된 저장물량은 반입비중이 높아 금이 13대가 출하되어 전체 물량의 20%
정도를 점유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5,171원, 보통 3,43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7.6%, 4.7% 상승함
- 출하량 감소가 이어지면서 재고량이 적었고 저장물량이 출하가 늘면서 상품성도 호전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9.09 전일대비 -2.57
◇ 오이-내림세
- 기온 상승으로 출하지가 넓어지면서 반입량이 꾸준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19톤, 취청 86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6.6%, 0.3% 감소함
- 백다다기는 부여 22%, 상주 20%, 고흥 14%에서 취청은 구례 40%, 순천 27%, 강진 12%에서
출하됨
- 겨울철 주 출하지 물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봄오이 반입비중이 많이 높아짐
- 백다다기는 부여, 공주, 천안 등 충청지역이 취청은 순천, 강진 등 점남지역 반입비중이 높아짐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29,833원으로 2.8% 상승하였으나 취청 50개 14,337원으로
2.1%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8.93 전일대비 5.29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4.23 전일대비 0.57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54.61 전일대비 -4.83
◈ 버섯류
가격지수 : 91.91 전일대비 -0.98
◇ 버섯류 : 약보합세
- 반입물량이 193톤으로 전일대비 109%물량이 출하
- 전일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약세형성하였고 ,금일은 느타리를 제외한 버섯류 전 품목이
약보합세로 거래 .
- 대형할인마트에서 세일 등을 하였지만 매기부진으로 재고누적이 많아 소폭 내림세
- 소비현황 및 전망으로는 장세약세 형성 지속과 소비 또한 둔화세 전망
. 느타리버섯은 소비가 활성화되어 강보합세로 거래. 점차 거래 원활로 소비 증가
. 표고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의 질이 떨어져 보합세 형성.
. 팽이는 물량이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소폭 하락세. 팽이버섯은 당일 출하량에 따라 시세
변동이 큼.
. 새송이는 소비가 주춤하고, 시세는 약보합세를 형성. 양송이는 소비가 꾸준함.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04톤 전일대비 9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0.39 전일대비 -3.50
○ 조개류 강세품목 : 봉지바지락(5㎏),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깐바지락(1㎏), 동죽, 새꼬막(17kg), 굴
《 조개류 강세 요인 》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이 주 반입.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9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북한산으로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깐바지락(1㎏)은 삼천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새꼬막은 14톤 반입 전일과 같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과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은 중상품은 오름세 하품은 내림세
- 굴은 9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 조개류 약세품목 : 새꼬막(7kg), 깐홍합, 홍합, (겉)바지락(17kg 그물망), 소라(피뿔고동)
《 조개류 약세 요인 》
- 새꼬막은 14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 중하품 및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 모두 내림세. 7kg pp대 새꼬막 상품은 오름세
- 깐홍합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내림세,
- 홍합은 1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약보합세
- (겉)바지락(17kg 그물망)은 9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상품성이 우수한 국내산 안면도산 미반입) 서산산이 주반입 가격은 내림세. 서산산 (겉)바지락 17kg망에 30,000-33,000원에 경매됨.
- 소라(피뿔고동)은 군산산, 순천산, 나라도산이 주반입. 가격은 내림세.
◈ 연체류 가격지수 : 88.97 전일대비 +0.88
○ 연체류 강세품목 : 소문어, 미더덕(상품)
《 연체류 강세 요인 》
- 소문어는 포항산으로 소문어 가격은 내림세, 구룡포산 대문어 및 중문어 가격은 오름세
- 미덕덕(상품)은 3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마산산과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상품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연체류 약세품목 : 주꾸미, 주꾸미수입, 대문어, 물(생)오징어, 낙지수입, 오만둥이, 미더덕(중품)
《 연체류 약세 요인 》
- 쭈꾸미(5㎏)는 6톤 반입 전일과 같음. 국내산 가격은 전일대비 군산산 상품은 보합세, 중품은 내림세. 군산산 선어,패류 쭈꾸미 상품은 5㎏ 24,500-26,500원, 중품은 5㎏ 15,000원에 경매됨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중국산 선어 패류 수입쭈구미 4㎏ 상품은 23,000-24,000원, 중품은 20,000-23,000원에 경매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5㎏ 상자에 12,000원에 경매됨
- 대문어는 포항산 대문어 가격은 보합세, 충무산 소문어 가격은 오름세
- (물)생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반입물량 대폭 감소 (제주산 채낚기 최상품 물량은 및 부산산 중하품 미반입) 상품은 구룡포산이 반입되고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보합세. 구룡포산 6㎏상자 상품 가격은 21,000원에 경매됨
- 낙지수입은 7톤 반입 전일과 같음. 전량 중국산으로 가격은 보합세
- 미덕덕(상품)은 3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99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8.34 전일대비 -0.5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비슷함
- 건멸치는 64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4톤 반입 전일대비 13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 전일대비 8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