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2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2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3-20 09:3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6.88 전일대비 -1.3
《 약세 요인 》
○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수요 감소한 가운데, 산지 출하량 증가한 품목 위주 하락세 형성
- 부류별로는 서류, 잎, 열매 채소류가 내림세였으며,
- 품목별로는 고구마, 상추, 가지, 취청 오이 등의 내림폭이 컸음
《 강세 요인 》
○ 최근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한 품목 위주 강세
- 날씨가 따뜻해 지면서 매운 음식 등의 수요 감소로 하락세인 고추류와 미나리가 반입량 감소로 반등
- 봄철 입맛 돋워주는 취나물 등 봄나물 위주 소비 활발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1.86 전일대비 -12.67
◇ 감자-내림세
- 남부지방 햇감자 출하가 늘면서 제주산 대지마 가격이 급락하고 있음
- 금일 감자 반입량은 183톤이었으며 수미 139톤, 대지 31톤, 수입 13톤이었음
- 전일에 비해 수미는 10%, 대지는 40%정도 감소해 대지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대지는 제주지역의 출하작업이 마무리 단계인데다 육지산 햇감자 출하로 가격 약세가 이어지자


작업량을 줄임
- 가격은 20kg상자 상품 기준 수미 35,146원, 대지 21,48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2%, 26.5%


하락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2.88 전일대비 -3.06
◇ 배추-등급간 등락이 엇갈림
-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고가품은 오름세였으나 저가품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532톤으로 전일대비 19.5% 감소하였으며 해남(87%), 무안(7%), 진도(6%)에서


출하됨
- 전일부터 시작된 저장배추가 금일은 3대 늘어나 총 6대가 반입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807원으로 6.1% 상승하였으나 보통 3,285원으로 1.1% 하락함
- 상품성이 좋은 저장배추 출하가 시작되면서 고가품은 오름세였으나 노지 끝물 출하로 저가품은



출하비중이 높아 상품성도 떨어짐
- 3월 들어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지속되면서 노지 물량의 망가지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출하


종료시기가 앞당겨 질 듯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1.66 전일대비 -2.7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3.64 전일대비 0.51
◇ 무-오름세
-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79톤으로 전일대비 15.4% 감소하였으며 서귀포 78%, 남제주 12%,


제주시 7%에서 출하됨
- 대부분 제주에서 출하된 가운데 진도에서 마대무 1대가 출하됨
- 지난주 토요일을 고비로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산지 작업이 후반기로


접어들었고 가격 약세가 이어지면서 지방시장 출하비중을 높인 것으로 봉임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6,781원, 보통 5,83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4%, 0.1% 상승함
- 출하량이 적은데다 지속적인 물량 감소로 재고가 소진된 것이 원인으로 보임
- 금일 오름세에도 표준가격 대비 80% 정도에 불과해 예년보다는 낮은 가격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3.66 전일대비 0.43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10톤으로 전일 보다 7% 감소함
- 품종별로는 청양 43톤, 일반풋고추 37톤, 꽈리 20톤, 홍고추 5톤 가량임
- 반입량 감소한 가운데, 가격 하락으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오름세
- 내일 역시 반입량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나, 주말장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 전망됨
◇ 대파 - 내림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323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6.2% 증가
- 전남 진도 57%, 신안 39%, 영광 2%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소비는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반입량 소폭 증가로 시세 하락함
- 점차 출하 막바지로 접어들고 있어 출하물량 많지 않아 오름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59.44 전일대비 -2
◇ 피망, 파프리카 - 약보합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9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9% 감소
- 청피망 30톤, 홍피망 10톤이며, 청피망은 진주, 고성, 홍피망은 광주, 나주에서 주 출하됨
- 출하량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고, 주중 소비 감소로 하락세, 홍피망은 반입량 감소로 소폭 상승
- 파프리카는 14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 감소
- 빨강 7톤, 노랑 6톤, 주황 2톤가량이고, 남해, 화성, 익산, 강진, 화순 등에서 출하됨
- 전일과 반입량 및 수요량 비슷하여 약보합세 거래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는 법인 반입 기준 50톤으로 전일보다 27% 감소
- 하동 50%, 의령 24%, 광양 22%, 합천 3%의 점유를 보이고 있음
- 계속된 반입량 증가로 시장내 재고량이 많아 매수세 약화로 내림세 지속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26톤 가량 반입되었고, 제주산 17톤(64%), 중국산 9톤(36%)임.
- 제주산 노지 물량이 출하 막바지로 접어들어 생산량 많지 않아 오름세

◈ 버섯류
가격지수 : 92.89 전일대비 0.21

◇ 버섯류 : 보합세
- 반입물량이 177톤으로 전일대비 93%물량이 출하
- 전일 약세형성으로 느타리를 제외한 버섯류 전 품목이 보합세 .
- 매기부진으로 재고누적이 많아 중.하품위주로 소폭 내림세
- 산지출하량 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재배감소로 출하량 감소 추세
- 소비현황 및 전망으로는 장세약세 형성과 매기부진으로 재고가 많아지고 소비 또한 둔화

세 전망

. 느타리버섯은 소비가 활성화되어 강보합세로 거래. 점차 거래 원활로 소비 증가

. 표고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상품의 질이 떨어져 보합세 형성.

. 새송이 및 양송이는 소비가 주춤하여 재고량 증가하였고 약보합세로 거래.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95톤 전일과 같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3.89 전일대비 +1.81

○ 조개류 강세품목 : (겉)바지락(17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깐바지락(1㎏), 해락(동죽살), 가무락(모시조개)
《 조개류 강세 요인 》
- (겉)바지락(17kg 그물망)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상품성이 우수한 국내산 안면도산 반입으로 가격은 대폭 오름세. 안면도산 (겉)바지락 17kg에 35,000-36,000원에 경매됨, 북한산은 19,000-20,000원에 경매됨.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깐바지락(1㎏)은 삼천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군산산과 목포산, 남해산이 주 반입. 가격은 군산산 상품은 강보합세, 목포와 남해산 중품은 보합세

○ 조개류 약세품목 : 새꼬막,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동죽, 굴, 홍합, 깐홍합, 소라(피뿔고동)
《 조개류 약세 요인 》
- 새꼬막은 14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과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 모두 내림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북한산으로 가격은 내림세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굴은 7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홍합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마산산이 주 반입됨. 하품 가격은 약보합세
- 깐홍합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약보합세
- 소라(피뿔고동)은 나라도산, 순천산, 군산산이 주반입. 가격은 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1.36 전일대비 +0.88

○ 연체류 강세품목 : 물(생)오징어, 대문어, 주꾸미수입, 주꾸미, 미더덕, 오징어냉동연안, 오만둥이
《 연체류 강세 요인 》
- (물)생오징어는 6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제주산 채낚기 최상품 물량은 미반입) 상품은 구룡포산이 반입되고, 중·하품은 후보, 죽변, 부산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증가에도 가격은 대폭 오름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여 6㎏상자 상품 가격은 16,000-20,000원, 중품은 14,000원, 하품은 8,000원에 경매됨
- 대문어는 포항산 대문어 가격은 보합세, 충무산 소문어 가격은 오름세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중국산 선어 패류 수입쭈구미 4㎏ 상품은 23,000-25,000원, 중품은 20,000-22,000원에 경매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5㎏ 상자에 12,000원에 경매됨
- 쭈꾸미(5㎏)는 6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 가격은 전일대비 군산산 상품은 오름세, 장항산 중품은 강보합세.
군산산 선어냉장 패류 쭈꾸미 상품은 5㎏ 24,500-26,500원, 장항산 선어냉장 패류 쭈꾸미 중품은 5㎏ 22,000원에 경매됨
- 미덕덕(상품)은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마산산과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 연체류 약세품목 : 낙지수입, 중문어
《 약세 요인 》
- 낙지수입은 7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중국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중문어는 포항산 중문어 가격은 내림세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96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 건어류 가격지수 : 128.34 전일대비 -0.5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비슷함
- 건멸치는 66톤 반입 전일대비 10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1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9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