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2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2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7-26 08:3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4.27 전일대비 -1.98
《 강세 요인 》
○ 열매 채소류와 서류는 전일 재고소진과 산지작업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 백다다기오이, 쥬키니호박은 무더위로 산지출하 작업 부진, 재고부족으로 매수세 증가
- 감자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강원지역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우천으로 출하지연된 물량 반입되면서 내림세
- 얼갈이배추, 양배추, 미나리, 무는 중부지방 기상호전으로 출하작업 활발하여 반입량 증가
- 대파, 청양고추, 양상추, 파프리카, 생표고버섯은 반입량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0.62 전일대비 9.4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2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2% 감소.
- 고구마는 익산 34%, 여주 32%, 김제 29%, 이천 5%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3,000-25,000원, 익산 1,500-25,000원
- 김제 2,000-22,000원, 호박고구마는 보령산 8,000-16,000원 거래
- 전북지역 우천 영향으로 출하량 감소. 더위로 판매부진하여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2,423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감자 - 오름세
- 금일 144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1%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23%, 홍천 13%, 강릉 10%, 당진 8%, 횡성 7% 등 반입
- 평창 2,000-26,000원, 홍천 2,500-25,500원, 강릉 4,500-22,500원 거래.
- 월말 대형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강원지역 출하 감자 상품성 향상으로 하품 중심의 시세상승 주도
- 금일 하품 평균 7,309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9.41 전일대비 -3.6
◇ 배추 - 내림세
- 금일 61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4% 증가. 기상호조로 출하량 증가
- 강원 정선 40%, 평창 20%, 태백 13%, 삼척 7%, 횡성 4% 등 차지함
- 장맛비 내린 후 출하된 고랭지 배추 상품성 저하. 무더위로 판매부진
- 전일 재고증가와 금일 반입량 늘면서 재고부담 회피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10kg망 상품 평균 5,609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상추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61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8.3% 감소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여주, 용인, 포천, 성남 등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41톤, 청상추 13톤, 적상추 5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7,030원이며, 이천 6,570원, 포천 6,530원, 용인 6,400원,
- 적상추 평균가는 6,300원이며, 이천 6,010원, 남양주 6,670원, 구리 6,540원
- 청상추 평균가는 3,870원이며, 이천 4,380원, 광주 4,250원, 성남 4,47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1.19 전일대비 1.09
◇ 오이 - 강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94톤, 취청 49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9.4%, 23.0% 감소함
- 백다다기는 춘천 18%, 제천 7%, 연천 6%에서 취청은 춘천 16%, 안성 4%, 여주 2%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30,194원, 보통 25,53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1%, 11.5% 상승함
- 취청은 10kg상자 기준 상품 21,285원, 보통 8,46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6%, 5.9%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0.84 전일대비 -12.12
◇ 무 - 내림세
- 금일 52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3% 증가.
- 경기 평택 22%, 강원 정선 15%, 철원 8%, 충남 당진 15% 등 차지함
- 강원지역 43%, 충청 25%, 경기 22%, 경북 6%, 전라 4%로 반입됨
- 산지 기상호조로 반입량 증가 추세. 더위로 상품성 떨어져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0,482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8.27 전일대비 -1.38
◇ 양파 - 보합세
- 금일 49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3% 감소.
- 무안 62%, 함평 10%, 함양 9%, 김천 7%, 영광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85-488원, 함평 177-462원, 함양 260-527원 거래.
- 무더위로 작업 부진한 가운데 경상지역 출하량 감소. 판매부진으로 재고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30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18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1% 증가.
- 경기 구리 17%, 여주 11%, 남양주 7%, 부안 7%, 고양 6%, 포천 6% 등 반입
- 구리 610-960원, 여주 500-870원, 남양주 450-820원, 부안 610-700원
- 전일 시세상승 영향으로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중품 평균 657원으로 전일대비 16%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7.36 전일대비 -22.58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22.3% 증가한 35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28톤, 홍피망 7톤이며,
- 출하지역은 강원 춘천(13%), 평창(12%), 홍천(12%), 횡성(8%), 전남 광주(8%) 등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7,350원이며,
-
홍천 16,300원, 춘천 17,360원, 평창 18,290원, 횡성 14,39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59.9% 증가한 34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8톤, 노랑 12톤, 주황 4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경남 김해(25%), 전북 김제(20%), 경남 함양(9%), 전남 화순(10%) 등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7,190원이며, 김해 5,120원, 함양 9,450원, 김제 3,55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5,050원, 노랑 7,850원, 주황 10,980원임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보합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66% 증가한 57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27%, 춘천 23%, 평창 17%, 여주 6%, 홍천 2%, 중국 16%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6,720원이며, 횡성 7,230원, 평창 8,410원, 중국산 6,24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72%),충북 제천(9%),평창(10%),중국(7%)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5,130원이며,횡성 15,920원,제천 16,130원,평창 16,08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2.1 전일대비 -2.89
◇ 버섯류 - 하락세
- 산지 작업 증가로 전일대비 2% 증가한 169톤 반입
- 작황호전으로 표고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 금일 반입량 전일대비 81% 증가
- 방학 및 휴가철 매기부진으로 시장 내 재고량 증가
- 개인단위의 소비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유통업체 납품 위주로 이뤄짐
◇ 느타리 - 하락세
- 전일대비 5% 증가한 37톤 반입
- 참느타리 산지 작업량 증가로 반입량 증가세, 균상느타리 감소추세
- 경기 여주 18.4%, 구리 15%, 양평 7.7%, 광주 6.5%, 안성에서 4.9% 반입
- 학교 방학으로 인해 급식업체 납품 큰 폭으로 감소
- 상품 2kg 평균 5,381원으로 전일대비 5%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2.82 전일대비 -1.59
《 강세 요인 》
○ 국내산은 어획부진에 따른 반입 감소로 강세에 거래된 품목 증가
《 약세 요인 》
○ 각급학교의 방학과 여름휴가 시작으로 급식 납품 수요 감소
○ 장마 종료에 따른 소비지 기온상승으로 수산물 수요 감소

◈ 생선류
가격지수 : 81.59 전일대비 +2.73
《 강세 요인 》
○ 고등어, 삼치, 병어, 자연산 활어류 강세
- 고등어는 2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2톤 증가하였고 중,소형 중심으로 반입량이 증가.
체장이 큰 상등품은 보합세이나 중하품은 선도가 좋아져 오름세
- 삼치는 마산산으로 반입 감소로 오름세였고 상품성도 양호하였음
- 병어5kg상자는 여수, 보령, 죽변산으로 선도도 좋은 편이나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자연산 활어류는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이 없어 강세 유지
《 약세 요인 》
○ 갈치, 대구, 도루묵, 가자미 약세
- 갈치는 제주산은 채낚기 조업 호조로 반입량이 증가하여 전일대비 내림세, 일본산 냉장갈치는 반입물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유통업체의 세일 행사 등으로 수요는 증가
- 대구는 전문 요식업체의 꾸준한 소비에도 재고분이 충분하여 약보합세 지속
- 도루묵은 보령산 출하감소로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상품성이 저조한 중?소형어 위주로 반입되어 내림세 보였고, 가자미 역시 안흥, 보령산이 체장이 작고 출하량 늘어 약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0.41 전일대비
-9.86
《 약세 요인 》
○ 굴,새꼬막,바지락,겉소라,가무락,동죽,홍합 등 전품목이 약세에 거래
- 굴은 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통영(충무)산으로 장마가 끝나면서 산지 기온상승에 따른 작업부진으로 반입량 감소와, 전일 미판매분 처리로 요식업체의 구매량이 감소하여 약세 형성
- 새꼬막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인한 산지 출하량 조절로 시장 반입량은 감소. 기온상승과 급식 납품 수요도 감소하여 내림세
- 바지락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0톤 증가. 국내산은 태안(안면도), 서산, 보성(벌교)산이었고 수입물량도 소량 반입되었음. 겉망바지락은 반입량 증가로 전일대비 내림세, 거래와 반입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수요감소로 내림세에 거래 되었으나 선도는 양호하여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았음
- 겉소라는 서산, 서천산이며 산지 등급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대체적으로
선도는 좋은 편이었음. 포장 단위가 일정치 않고 선별 상태도 부진하여 전일대비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서산, 목포, 인천산으로 소량 반입되었으나 등급, 품종에 따라 가격 차이가 컸음, 수요처 한정 매기부진하여 내림세
- 동죽은 인천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다른 조개 가격 하락으로 내림세에 거래
- 홍합은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으로 다듬이 물량 중 상등품은 산지 출하 조절로 반입량 변동이 크게 없어 보합세였으나, 일반 홍합은 선도 부진과 씨알이 잘아 내림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2.00 전일대비
-8.81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문어, 산낙지, 미더덕 강세
- 생물오징어는 1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동해안산은 비로 인해 울진(죽변)산, 서남해안산은 태안(안흥)과 목포, 완도산이 주반입되었으나 체낙기 물량은 체장이 작아 내림세였고 반입 비중이 많았던 그물오징어는 채낙기와 큰 가격차이가 없어 오름세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산낙지는 고흥산 반입으로 오름세였으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미더덕은 산지 출하 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냉동주꾸미, 오만둥이는 수요부진으로 약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일본산이 소량 반입되어 중국산 위주로 거래되었고 반입량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전문 요식업체에서 주소비되었고 선도와 상품성은 좋은 편이었음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
- 오만둥이는 생물과 냉동물이 동시 반입되었고 소비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