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8.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8.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8-02 08:27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0.3 전일대비 0.19
《 강세 요인 》
○ 열매, 양념, 서양 채소류는 반입량 감소와 지방 소매상 주문 증가로 오름세
- 백다다기오이, 쥬키니, 애호박은 무더위로 출하작업 부진, 반입량 줄면서 시세상승
- 꽈리고추, 쪽파, 양상추, 치커리는 전일 재고소진과 주중 소매상 주문 증가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서류, 버섯류는 본격적 여름휴가철로 판매부진, 재고증가로 내림세
- 양배추, 미나리, 무는 휴가로 인한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감자, 느타리, 양송이, 팽이버섯은 전일 재고증가와 금일 반입량 증가로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2.82 전일대비 -2.91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5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2%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8%, 익산 34%, 이천 14%, 해남 13%, 충주 1%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22,000원, 익산 1,000-22,000원,
- 이천 2,500-21,000원, 해남 4,500-18,000원, 충주 5,000-15,000원 거래
- 산지 기상호조로 작업 활발하면서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 전일 재고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6,635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302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7%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3%, 강릉 14%, 횡성 11%, 홍천 5%, 당진 5% 등 반입
- 평창 2,000-22,500원, 강릉 2,000-28,500원, 횡성 2,000-27,000원 거래.
- 여름휴가철 납품업체 주문 감소와 급식업체 수요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0,939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8.91 전일대비 -0.68
◇ 배추 - 약보합세
- 금일 57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 감소. 기상호조로 출하량 증가
- 강원 태백, 인제, 둔내 등 주산지에서 출하됨. 고온으로 상품성 저하
-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휴가철 판매부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10kg망 상품 평균 5,015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76.29 전일대비 6.54
◇ 오이백다다기 - 오름세
- 금일 22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감소. 무더위로 산지 작업부진.
- 강원지역 71%, 충청 17%, 경기 10% 반입 비중 차지함.
- 전일 시세영향으로 충청 제천, 경기 연천 지역 출하량 감소
- 중소형 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100개 상품 평균 20,459원으로 전일대비 20% 시세상승하면서 오름세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4.54 전일대비 -7.83
◇ 무 - 내림세
- 금일 50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감소.
- 강원 평창, 진부 등 고랭지 무 반입. 무더위로 짓무름 현상 발생 증가
- 여름 휴가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재고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8,623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1.06 전일대비 2.71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43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감소.
- 무안 64%, 함평 13%, 신안 7%, 함양 7%, 김천 5%, 부안 2%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68-515원, 함평 185-508원, 신안 119-248원 거래.
- 휴가철 납품업체 주문 감소, 무더위로 판매부진하여 재고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57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16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 감소.
- 경기 구리 19%, 고양 12%, 이천 11%, 평창 10%, 안성 9%, 여주 7% 등 반입
- 구리 450-670원, 고양 260-680원, 이천 520-720원, 평창 560-670원 거래
- 전일 판매부진 재고증가로 매수세 약화. 경기 73%, 강원 21%, 충청 4% 반입됨
- 납품업체 및 급식업체 여름휴가로 인해 주문 감소. 무더위 지속으로 상품성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654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1.48 전일대비 4.97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청피망은 46톤, 홍피망 4톤, 노랑파프리카는 8톤 반입
- 청피망은 강원 인제 57%, 고성 11%, 춘천 7%, 평창 7% 등 차지.
- 전일 하락세임에도 무더위로 상품성 손실 방지 차원의 출하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3,814원으로 전일대비 27%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노랑파프리카는 강원 38%, 전라 25%, 경기 13%, 경상 13% 등 차지.
- 전일 시세 영향으로 강원 및 경상지역 출하량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5kg 상품 평균 13,826원으로 전일대비 19%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버섯류
가격지수 : 59.43 전일대비 -3.55

◇ 버섯 - 내림세
- 금일 16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약 5% 감소
- 느타리버섯 전일대비 14% 증가한 32톤 출하량 증가.
- 여름휴가 본격시작으로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3,775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송이버섯은 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감소. 무더위로 전일 재고증가
- 상품 평균 8,044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2. 수산물
가격지수 : 94.06 전일대비 +1.17

○ 수산부류 중도매인 임시 휴업으로 선어류 일부 품목 외의 반입은 없었고



거래 물량 대부분은 전일 미판매 재고 물량의 거래가 많았음

○ 주말 까지는 정상 거래가 없음
◈ 생선류
가격지수 : 85.26 전일대비 2.43
《 거래동향 》
○ 강동수산 및 수협 소속중도매인들의 하계휴가 실시로 인한 휴업으로 강동수산으로 생선류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에 대한 사전 홍보로 구매 물량 감소
○ 가격 강세 품목 : 고등어, 생물오징어


가격 약세 품목 : 수입생태, 갈치, 수입낙지
- 일본산 생태는 전일대비 1톤 증가한 4톤이 반입되었음. 전일 수입물량 반입과 중도매인 보유 재고물량 처분으로 전일대비 내림세
- 고등어는 부산산 중고등어가 주반입되었고 제주산은 소량이었음. 타부류 중도매인의 휴무로 전반적인 거래는 부진하였으나 소고등어는 반입이 없어 중고등어 하품 가격이 오름세에 거래
- 갈치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생물갈치는 제주산은 조업부진으로 인한 반입 감소와 전일 재고 처리로 내림세. 일본 수입산도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수입 냉장 갈치는 인디아와 일본산이 반입되었으나 인디아산은 선도 부진으로 낮은 가격 형성
- 생물오징어는 태안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와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전일대비 오름세
- 수입낙지는 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전일 수입물량 중 미상장분과 중도매인 보유 물량 처분으로 약세에 거래

◈ 조개류 90.74 전일대비 00

- 강동수산 및 수협 소속 패류 취급 중도매인의 하계휴가로 인한 임시 휴업으로 조개류의



반입이 없어 경매 미실시

◈ 연체류 111.48 전일대비
+3.07

- 강동수산 및 수협 소속 연체류 취급 중도매인의 하계휴가로 인한 임시 휴업으로 강동수



산은 오징어와 수입냉장 낙지가 소량 반입되어 선어부에서 경매를 실시하였고 수협은 반



입물량이 없어 경매 미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