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8.1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8.1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8-17 02:2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8.08 전일대비 -2.15
약세 요인 》
○ 모처럼 햇볕이 드는 날씨로 산지 출하작업 활발하였으나 주말임에도 소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함

- 그동안 출하량이 적어 강세였던 품목이 가격부담이 높은데다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로 반전
- 금주 내내 오름세였던 서류, 열매채소류 등이 내림세 주도

《 강세 요인 》
○ 주말 요식업소 소비가 많은 품목 소비 증가로 오름세
- 서양채소류, 버섯류가 주문량이 늘면서 오름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5 전일대비 -28.22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3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1%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43%, 익산 42%, 이천 11%, 해남 2%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21,000원, 익산 3,000-20,000원,
- 이천 2,000-19,000원, 해남 3,000-8,000원 거래
- 약 1톤이 거래된 호박고구마는 서산 2,000-14,000원에 거래
- 주말 앞두고 무더위로 재고회피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일부 매매참가인 경매 불참으로 중하품 위주로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4,246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
◇ 감자 - 내림세
- 금일 29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3%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3%, 강릉 15%, 횡성 12%, 고성 7%, 등 반입
- 평창 2,000-21,000원, 강릉 1,000-18,000원, 횡성 2,000-20,000원.
- 기상호조로 강원지역 출하량 증대. 재고회피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서류 취급 매매참가인 경매 불참으로 일부 도매법인 거래가격 미형성
- 금일 상품 평균 15,139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6.28 전일대비 -0.6

◇ 상추 - 내림세
- 반입물량이 많지 않아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일은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51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2.7% 증가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충남 논산 등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30톤, 청상추 13톤, 적상추 5톤가량임.
- 적포기는 이천 23%, 논산 9%, 광주 16%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 적포기 평균가는 26,150원으로 전일보다 23% 하락함
- 청상추는 이천 32%, 광주 24%, 용인 8%에서 출하되며
- 청상추 평균가는 14,950원으로 전일보다 31% 하락함
- 당분간 상추는 반입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9.89 전일대비 -4.19
◇ 오이-내림세
- 날씨가 좋아져 반입량 증가하고, 소비는 주춤하여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52톤, 취청 75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2%, 40% 증가함
- 백다다기는 홍천 36%, 춘천 19%, 철원 6%에서 취청은 천안 46%, 춘천 10%, 화천 8%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전체 평균 23,070원으로 전일보다 7.8% 하락하였고
- 취청은 10kg상자 전체 평균 13,010원으로 전일대비 9.6% 하락함
- 백다다기는 철원, 취청은 천안지역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비교적 높게 거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5.03 전일대비 -6.31
◇ 무-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446톤으로 전일대비 7% 감소하였으며 평창 65%, 양구 18%, 정선 7%에서 출하됨
- 전일 재고가 맣아 시세는 하락하였으며,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평균 6,720원으로 4.4% 하락하였으며
- 산지 출하대기 물량은 많아 가격 상승에 어려움이 예상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6.69 전일대비 -2.07
◇ 일반 풋고추 - 내림세, 청양·꽈리고추 - 오름세
- 청양은 낮은 시세에 대한 반등으로 오름세, 일반 풋고추는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28.7% 증가한 226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63톤, 일반풋고추 72톤, 꽈리 23톤, 홍고추 57톤 반입
- 청양 고추는 강원 인제(52%), 춘천(13%), 홍천(10%), 양구(6%)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3,787원으로 전일보다 20.6% 상승
- 일반 풋고추는 홍천(27%), 춘천(23%), 인제(13%), 양구(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7,265원으로 전일보다 24% 하락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52%), 예산(29%), 홍천(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0,770원으로 전일보다 1.8% 상승
- 익일 생고추는 주말 수요 상승으로 전반적으로 강보합세가 전망됨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6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증가.
- 무안 46%, 함평 25%, 해남 6%, 창녕 4%, 산청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33-654원, 함평 167-571원, 해남 204-519원 거래.
- 주말 판매수요 기대로 산지 출하량 증대.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439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18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4% 증가.
- 강원 평창 28%, 정선 10%, 경기 이천 15%, 안성 10%, 여주 9% 등 반입
- 평창 750-1,080원, 이천 700-1,150원, 안성 660-1,150원, 정선 820-1,080원
- 경기 및 강원지역 기상호조로 출하작업 늘면서 반입량 증가. 무더위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025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6.34 전일대비 0.6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강원도 출하량이 증가하여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3% 증가한 41톤 반입
- 청피망 35톤, 홍피망 6톤이며 강원 인제(47%), 춘천(9%), 평창(11%), 홍천(3%)에서 출하됨
- 청피망은 반입량이 많아 하락한 반면,
-
홍피망은 상품성 저하로 좋은 물량이 많지 않아 상품 위주 강세를 보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9,320원, 홍피망 23,170원으로 전일보다 각각 6.5%, 7.4%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14.7% 감소한 14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7톤, 노랑 5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강원 춘천(17%), 횡성(11%), 경기 화성(15%), 경남 함양(10%)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8,140원, 노랑 13,030원, 주황 10,900원으로 전일보다 상승
- 파프리카는 최근 반입량이 많지 않아 익일에도 강세가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70.39 전일대비 1.48

◇ 버섯류 - 강보합세
- 전일대비 3% 증가한 164톤 반입
- 주말을 앞두고 요식업체의 구매 증가로 전체적으로 강보합세 형성
- 우기철로 인해 전반적으로 상품성이 좋지 않은 품목 증가 추세
- 금일 표고의 작황이 크게 좋아지면서 표고 반입량은 전일대비 55% 증가한 25톤 반입
◇ 양송이 - 오름세
- 주기현상으로 생산량 감소하면서 작업량이 줄면서 전일대비 14% 감소한 10톤 반입
- 부여 39%, 보령 34%, 논산 9% 등 충남지역의 출하비중이 높았고, 경기 평택, 포천에서도 출하가 이뤄짐
- 반입량 감소 및 주말 요식업체 및 대형마트 수요 증가로 소폭 오름세 형성
- 2kg 상품 평균 8,222원으로 전일대비 3%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8.74 전일대비 +0.47
《 강세 요인 》
○ 주말을 앞두고 비가 그치면서 소비증가 기대로 소폭의 오름세
- 산지 소비량 증가 기대로 출하량 감소한 물오징어 강세에 거래
- 상품성 우수한 냉동고등어, 가무락, 반입량 감소한 삼치 오름세
《 약세 요인 》
○ 체장이 작은 수입낙지, 고등어, 시장내 재고 누적된 새꼬막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4.66 전일대비 +0.21
《 강세 요인 》
○ 냉동고등어, 삼치, 병어 강세
- 냉동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대체 수요가 증가하였고 주말을 앞두고 대형어 주문량도 늘어 강세에 거래
- 삼치는 여수, 구룡포산이 거래되었으나 조업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줄어들었고 생물 반입량 감소는 상당이 커 강세에 거래
- 병어는 주말을 앞두고 가정용 소비 증가 기대감으로 소매상 주문량이 늘어 목포, 충무산이 강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숭어류 내림세
- 생물 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전일 수준을 보였으나 체장이 작고 냉동고등어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양호로 매수세가 분산되어 내림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3톤 감소하였으나 선도가 떨어지고 주초 가격상승 여파로 시장내 재고량이 충분하여 하락세
- 갈치는 일본지역 연휴로 일본산 출하량이 줄어 반입량은 전일대비 1톤 감소하였으나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과 중∙소형어 위주 거래로 내림세
- 숭어류는 기상여건이 개선되면서 어제에 이어 금일에도 서산, 군산산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내림세에 거래

◈ 조개류 88.25 전일대비 -7.94
《 강세 요인 》
○ 홍합, 새꼬막(대포장) 강세
- 홍합은 8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았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포장마차 등 요식업체가 주소비처이며 다듬이 물량은 15.000-16,000원대에 가격변동 없이 거래되었고, 일반 물량은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소포장). 동죽, 해락, 겉소라 약세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충무)산이며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어획량은 감소.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약세
- 바지락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안면도산이 주반입되었고 수입산의 반입은 없었음. 겉망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에도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였고, 거래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등급간 가격차이가 작았으나 기온이 높아지면서 대량거래 감소로 약세에 거래
- 새꼬막은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주출하지역은 순천으로 고온의 날씨로 주소비처인 급식업체와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소포장은 내림세, 대포장은 반입이 적어 오름세
- 동죽과 해락은 서산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타조개류 가격하락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약세
- 겉소라는 서천산이나 산지 폭염과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어획부진으로 반입은 감소,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에 거래

◈ 연체류 139.86 전일대비
+7.55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낙지, 미더덕, 산낙지, 오만둥이, 문어 강세
- 생물오징어는 10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8톤 감소. 목포산과 울진(죽변), 삼척산이 주반입되었고 그외지역의 반입은 없었음. 선도와 체장은 작은 편이나 반입이 줄고 타수산물의 대체 수요품목이 없어 오름세에 거래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었고 중국산만 거래되었고 소량 반입되어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 선도양호로 냉장물량은 높은 가격 형성에 따른 대체품으로 냉동물의 반입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보합세
- 미더덕은 마산산으로 반입량이 줄고 주수요처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산낙지는 고흥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오름세였으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오만둥이는 반입 감소로 오름세였으나 매기는 부진하였음
- 문어는 포항산 중문어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전문 요식업체의 구매량 증가로 강세
《 약세 요인 》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