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08(금) 지수 및 가격동향
2009.05.08(금) 지수 및 가격동향
1.농산물
"《 약세 요인 》
○ 금일 전체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수준(전일대비 103%)하였고 시세는 징검다리 연휴기간이 지나 시장내재고가 많고 주요거래처 수요가 활발하지 못한 관계로 채소류 가격은 전반적인 약보합세 형성
- 양채류(서양채소류) : 최근 계속되는 수요감소와 전일대비 물량이 증가하여 시세하락을 주도하고 있음
- 대파는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시장내 재고가 쌓여 지속적 하락세 유지
- 배추는 봄배추가 마무리되고 있는 가운데 비교적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으나 품위간 상품성 차이로 가격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반적인 가격은 전일대비 10%이상 하락하였음
- 단일품목으로는 얼갈이 배추, 홍피망, 취나물, 세러리가 15% 이상의 큰폭의 시세 하락을 보였음
《 강세 요인 》
○ 대부분의 채소류는 약보합세를 유지한 가운데 고구마, 호박고구마, 호박 등 일부품목이 전일대비 물량감소로 인해 강세장을 형성함
- 배추는 전일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강세장 형성
○ 단일품목으로는 미나리, 적겨자채, 적포기, 돗나물이 15%이상의 상승세를 보였음"
◈ 과일류 ◈
과일계 100.98 전일대비 -3.15
채소과일류 98.17 전일대비 -6.68
나무과일류 103.91 전일대비 0.67
- 주말을 앞둔 오늘 나무과일류 반입량은 전일대비 19% 감소한 298톤 반입
- 반면 제철을 맞은 채소과일류는 반입량이 꾸준한 증가추세로, 전일대비 10% 증가해 1,093톤 반입
- 채소과일류는 물량 증가로 내린 품목이 많았음.
- 토마토는 부산의 대저토마토(짭짤이)의 경우는 출하 막바지를 맞아 물량이 감소하고 있음
제철을 맞은 일반토마토는 충청도와 강원도지역이 물량이 늘면서 내림세가 두드러짐.
- 나무과일류 중 사과는 주로 경북 영천, 청송지역에서 저장사과가 출하되고 있는데, 전반적인 소비부진 및 낮기온이 상승하면서 과 경도가 약해지는 등 상품성 하락으로 약보합세 형성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77톤, 전일(297톤)대비 20톤 감소(93%)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3.35 전일대비 +3.02
□ 활어 및 선어류(생선류) : 149톤 반입, 전일(143)대비 6톤 증가(104%)
◈ 활어 및 선어류 표준가격지수 : 125.49 전일대비 +8.1
○ 활어 및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대구 냉장 수입(상품), 냉태 원양(소품, 중품), 활 농어 수입(소품, 중품, 대품), 활 농어 자연(소품, 중품), 갈치 수입(상품), 대구(상품), 활 넙치 양식(소품, 중품), 활 우럭 양식(중품, 대품), 활 노래미 자연(대품), 냉동 삼치(상품), 참조기(중품), 참숭어(소품)
○ 활어 및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갈치(하품, 상품), 고등어(상품), 부세 수입(상품), 활 농어 자연(대품), 냉동 고등어(상품), 고등어 수입(상품), 갈치 냉장 수입(하품)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97톤 반입, 전일(96톤)대비 1톤 증가(102%)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42.41 전일대비 +8.95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동죽살(해락)(중품), 바지락 수입(중품), 봉지 바지락(중품), 겉홍합(하품)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새 꼬막(하품, 중품), 동죽(상품), 활 전복 양식(상품)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96.73 전일대비 -0.94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 품목 : 문어(중품, 대품), 굴(중품)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 품목 : 낙지 수입(중품, 상품), 미더덕(중품), 멍게(우렁쉥이)(상품), 주꾸미 수입(중품)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96.91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94.66 전일대비 +0.19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20.5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30톤 반입, 전일(58톤)대비 28톤 감소(52%)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05.14 전일대비 -0.54
○ 건어류 전일대비 약세 품목 : 건소멸치(하품)
○ 건어류 전일대비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