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5.8(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5.8(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1.51 전일대비 -0.95
《 강세 요인 》
○ 서류, 서양채소류가 상품성 우수 물량 반입. 외식 행사업체 주문 증가
- 고구마는 여주, 서산지역 상품성 좋은 호박고구마 출하로 시세 상승 주도
- 파세리, 적겨자채, 비타민 등 가정의 달 외식 행사업체 수요 늘면서 반입량 마저 적어 강세
《 약세 요인 》
○ 열매채소류, 뿌리채소류 전일 재고 증가와 반입량 증가로 판매 부진
- 애호박, 쥬키니호박,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등 전일 재고 많아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제주산 저장무는 상품성 저하, 경기지역 열무는 전일 시세 상승 영향 반입량 증가로 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4.67 전일대비 14.18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40톤 반입. 상품성 우수한 고구마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지역 58%, 대전 18%, 당진 15%, 서산 5% 등 반입
- 밤고구마 70%, 호박고구마 30% 차지함. 밤고구마는 당진산 최고 25,0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산 최고 36,500원에 거래. 상품성 좋은 세척고구마 거래 활발
- 상품 평균 21,883원으로 전일대비 2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강보합세
- 금일 45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2% 증가. 중하품 위주로 매수세 증가
- 수미종 감자는 김제 62%, 밀양 9%, 서산 6%, 인제 4% 등 반입
- 김제, 밀양산 상품성 향상으로 중하품 시세 상승. 소형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증가
- 김제산 2,000-26,500원,밀양 5,500-25,500원, 서산 3,000-34,500원 거래.
- 금일 중품 평균 21,948원에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민간업체 수입 감자(미국산) 8톤 출하. 20kg 16,000-17,000원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5.25 전일대비 -1.86
◇ 배추-내림세
- 봄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금일 반입량은 667톤으로 전일대비 10.3%, 최근 일주일 대비 32% 많은 물량이었음.
- 출하지역은 해남 32%, 예산 24%, 서산 16%, 나주 5% 순으로 월동배추의 반입비중이 30%대로
급격히 낮아지는 양상임.
- 봄배추는 예산, 서산에 이어 김포, 김해, 창녕 등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모습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191원, 보통 1,96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2%, 11.3% 하락하였음.
- 반입량이 많았는데다 봄배추 출하량 증가로 상품성이 하락하였음.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월동배추 반입량이 적어 특품은 오름세였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3.76 전일대비 -16.37
◇ 오이-내림세
- 반입량 감소에도 재고 부담으로 가격이 내림세
- 금일 오이 반입량은 백다다기 406톤, 취청 68톤으로 전일에 비해 38.5%, 61.5% 감소함
- 그러나 전일 주초로 연중 가장 많은 863톤이 출하되어 판매되지 못하 물량이 많았음.
-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19,076원, 취청 20KG상자 26,12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0.5%, 9.6%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3.18 전일대비 -3.95
◇ 무-내림세
- 저장무 출하가 늘면서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617톤으로 전일대비 16.2%, 최근 일주일 대비 24% 많은 물량임
- 제주 노지무는 10C/T, 저장무 50대, 봄무 10대가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6,172원, 보통 4,94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 8.2% 하락함
- 주중반으로 소비량이 적은데다 반입량도 많았음
- 봄무가 상품성이 좋아 특, 상품에 거래된 물량이 많았고 제주 노지무는 끝물 출하로 중,하품 시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6.65 전일대비 -1.84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77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4% 감소.
- 무안 79%, 제주 13%, 해남 4%, 신안 3% 등 반입
- 무안산 kg당 122-411원, 제주산 186-339원, 해남산 262-377원 거래.
- 전일 시세 하락 영향으로 남부지방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320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21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감소.
- 경기 고양산 32%, 구리 16%, 부안 7%, 신안 7%, 강릉 7% 등 반입
- 경기지역 전체 반입량의 64% 차지. 특품은 신안산 최고 870원 거래
- 전일 재고가 많아 금일 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581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쪽파 - 내림세
- 금일 2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증가. 충청지역 흙쪽파, 깐쪽파 반입량 증가
- 흙쪽파는 아산 4톤, 예산 3톤, 남양주 1톤 등 반입.
-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매수세 약화
- 상품 평균 1,400원으로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당진 4톤, 서천 3톤, 예산 1톤, 보령 1톤 등 반입
- 금일 반입된 깐쪽파는 낮기온 상승으로 상품성 떨여져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25,141원으로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0.89 전일대비 4.33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오름세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26톤, 파프리카는 10톤 반입
- 전일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어버이날 행사업체 주문 수요 증가
- 파프리카는 화순, 진주, 창원지역 출하량 감소.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 홍피망(10kg,중)은 전일보다 12% 시세 상승한 70,467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한 26,652원에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83.8 전일대비 4.76
◇ 버섯류 - 강보합세
- 산지 출하 조절로 금일 반입량은 178톤으로 전일대비 14% 감소
-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장 내 재고물량 감소
- 반입량이 감소한 양송이, 팽이, 새송이를 중심으로 오름세 두드러짐
- 낮에는 초여름 날씨를 보이면서 불량품이 증가함
◇ 팽이 - 오름세
- 대형 팽이 농가의 출하량 조절로 금일 반입량은 39톤으로 전일대비 11% 감소
- 경북 청도의 출하량이 66.3%를 차지했고, 괴산 6.9%, 예산 6.6% 에서 각각 출하
- 군납품과 식자재 주문 증가 꾸준하고 재고 물량 감소
- 특품 100g에 168원으로 전일대비 5% 가격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7.86 전일대비 +0.71
《 강세 요인 》
○ 수입 수산물 상품성 양호로 오름세
- 수입바지락, 수입주꾸미 선도 양호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국내산 고등어, 일본산 갈치 체장이 커 강세
《 약세 요인 》
○ 굴, 새꼬막 비수기 접어들면서 판매량 감소 약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60 전일대비 +2.86
《 강세 요인 》
○ 고등어, 일본산 갈치, 생태, 병어 오름세
- 고등어는 일본 및 냉동 출하량 증가로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으나 생물고등어는 체장이 큰 제주도 근해 물량 반입으로 강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1톤 감소하였고 최근 시세 하락 지속에 따른 판매량 양호로 시장내 재고가 줄어들면서 오름세
- 일본산 갈치는 5kg상자 채낚기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상품성 우수로 국내산 반입 증가에도 상승세에 거래
- 병어는 제주도, 삼천포, 목포산이 체장이 커 강세
《 약세 요인 》
○ 국내산 갈치, 삼치 내림세
- 갈치는 제주 연승조업 원활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한 가운데 최근 늘어난 물량과 가격대비 상품성 양호한 일본산 갈치 반입 증가로 내림세 지속
- 삼치 냉동은 주로 마산에서 출하되고 생물은 부산, 충무, 여수에서 반입되었음. 반입량이 3톤 늘어났고 소비는 주초장을 지나면서 둔화되어 약보합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2.23 전일대비 -2.00
《 강세 요인 》
○ 북한산 겉바지락, 가무락, 소라 오름세
- 북한산 바지락은 전일 인천세관을 통한 물량이 출하되었으며 상품성 양호와 국내산 반입량 부족으로 강세
- 겉소라는 군산, 장항산이 거래되었으며 씨알이 크고 결혼시즌에 접어들면서 식자재 업체 매수 꾸준으로 오름세
- 가무락은 중국 및 북한산 상품성 하락에 따른 국내산 수요증가로 인천, 목포산이 강세
《 약세 요인 》
○ 굴, 새꼬막, 홍합 하락세
- 굴은 통영산 반입량이 2톤 감소하였으나 패류독 우려와 기온상승에 따른 소비량 감소로 내림세
- 새꼬막은 순천산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였으나 가정용 수요 감소로 내림세
- 홍합은 여수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으나 재고관리 어려움 가중과 일부 물량 상품성 저조로 하락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15.17 전일대비 +1.22
《 강세 요인 》
○ 수입 주꾸미, 갑오징어, 물오징어, 오름세
- 중국산 수입주꾸미 선도 양호와 5월 가정행사 증가로 식자재 업체 구매량이 꾸준함을 보이며 오름세에 거래
- 물오징어는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면서 하품이 오름세를 보였으나 냉동오징어 반입증가로 상승폭은 소폭에 그쳤음
- 갑오징어는 일본산이 주로 거래되었으며 보령산은 소량 반입되었음. 일본산에 비해 체장이 크고 선도가 뛰어나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국내산 주꾸미, 미더덕, 수입낙지 하락세
- 중국산 주꾸미 상품성 양호에 따른 국내산(장항, 군산) 수요 감소로 내림세
-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하면서 중품이 내림세를 보였으나 상품은 중도매인 매수세 지속으로 보합세
- 미더덕은 마산산 출하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하고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