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3(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3(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7-03 10:0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1.26 전일대비 -7.71
《 약세요인 》
○ 장마로 전국에 걸쳐 비가 내리면서 산지 작업량이 적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6% 감소. 소비량이 적은



주 중반인데다 우중 작업된 물량이 많아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물량감소에도 가격은 내림세
- 성출하기인 서류가 재고누적으로 내림세를 주도하였고 열매채소류도 궂은 날이 지속되면서 냉음식


소비가 줄면서 오이가 약세를 보이자 전반적으로 내림세
- 품목별로는 오이 취청, 시금치, 부추, 양상추 등의 내림폭이 큼
《 강세요인 》
○ 전부류가 내림인 가운데 장기간 우천이 지속되면서 공급량 감소가 이어진 일부 품목만 오름세
- 품목별로는 마늘, 비트, 얼갈이배추, 양송이 등이 상승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5.8 전일대비 -17.31
◇ 감자-내림세
- 반입량 감소에도 비로 소비가 줄면서 약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285톤으로 전일대비 38.5% 감소하였으며 금주 들어 가장 적은 물량이 출하됨
- 출하지역은 당진, 서산, 홍천 등지로 충청지역 물량이 대부분인 가운데 강원지역 저지대 물량이


증가하는 추세임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13,294원, 보통 11,56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1%, 0.6% 하락함
- 큰 폭의 물량감소에도 재고부담이 많았고 시장이용객이 적어 소비가 부진하였음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0.15 전일대비 -6.5
◇ 배추-내림세
- 전일 비가 남부지방 위주로 내리면서 상대적으로 강원지역은 강우량이 적어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664톤으로 전일대비 21.4% 증가하였으며 횡성 40%, 평창 24%, 영월 15%,


여주 7%에서 출하됨
- 영월지역 출하가 마무리됨에 따라 횡성(둔내)지역 물량이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463원, 보통 1,78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3.9%, 24.2% 하락함
- 금주 들어 출하량이 꾸준해 재고 물량이 상당수 남아있었는데다 금일도 출하량이 많아 물량부담이


가중되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6.21 전일대비 -16.4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3.1 전일대비 -13.09
◇ 무-내림세
- 주초 반짝 상승세였던 가격이 물량증가와 소비부진으로 다시 약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462톤으로 전일대비 22.4% 증가하였으며 당진 20%, 홍성 13%, 태안 13%에서


출하됨
- 태안지역 출하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당진의 반입비중이 높아짐
- 잦은 비로 웃자란 무가 많아 가격 약세에도 반입량은 꾸준함
- 금일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5,864원, 보통 4,19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6.5%, 29.8% 하락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35 전일대비 -1.03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1.54 전일대비 -5.94


◈ 버섯류
가격지수 : 92.16 전일대비 -3.38
◇ 버섯류 : 약 보합세 (느티리: 소폭하락세, 표고: 강보합, 팽이 : 내림세 ,양송이: 오름세)
- 반입물량이 158톤으로 전일 176톤의 90% 물량 반입
- 버섯류 전품목은 각품목별로 시세가 엇갈렸으며, 전체적으로 우천으로 인한 약세 .
- 금일 출하량은 양송이의 급감세로 시세 급등세를 보였고 , 팽이의 급감이 두드러짐.
. 느타리버섯은 출하량이 우천으로 전일 보다 소폭 감소하였고, 소비지 소비가 주춤하여

소폭 하락세를 형성. 다만 느타리 균상우수상품은 시세 강세.
. 표고의 출하량은 감소하고 소비가 증가하여 강보합세 형성.
. 팽이는 출하량 감소세이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 폭락세 .
. 양송이출하량은 급감세로 시세는 급등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9.95 대비 -0.46

《 강세 요인 》
○ 반입물량 감소 영향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한 숭어류, 수입생태, 해락 강세

《 약세 요인 》
○ 주중 시장내 재고량 증가 및 금일 반입물량 증가로 인해 국내산 갈치, 봉지바지락, 물오징어,





가자미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109.95 전일대비 -0.46

《 강세 요인 》
○ 수입생태, 숭어류
- 숭어류는 전일 가격 하락 영향으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늘어 가격이 상승세
- 장마영향으로 요식업체의 탕수요 증가 및 금일 반입물량 감소 영향으로 강세를 보임

《 약세 요인 》
○ 국내산 갈치, 가자미
- 갈치는 시장내 반입량 증가 및 체장이 작아 상품성이 감소하여 내림세
- 가자미는 반입량 증가로 인한 중도매인 매수세 감소로 약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81톤, 전일대비 5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1.41, 전일대비 -2.60

○ 조개류 전일대비 상승품목 : 홍합(하품 12.5%상승), 굴(특품 11.5%상승, 상품 3.3%상승), 동죽살(해락)(중품 10.8%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하락품목 : 봉지바지락(상품 6.7%하락), 동죽(상품 29.2%하락), 새꼬막(하품 20.8%상승, 중품 13.5%상승,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7.33, 전일대비 -2.17

○ 연체류 상승 품목 : 냉동오징어(중품 11.1%상승, 상품 10.8%상승), 오만둥이(상품 7.9%상승)

○ 연체류 하락 품목 : 문어(중소문어 11.8%하락, 대문어 6.3%하락), 물오징어(중품 11.6%하락, 상품 10.9%하락), 낙지수입(상품 7.8%하락, 중품 5.1%하락)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69.96,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2.7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40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1.12, 전일대비 -0.56


○ 건어류 하락 품목 : 건멸치중 건세멸치(하품 15%하락, 중품 6.8%하락)
- 건멸치는 29 반입 전일대비 22톤 증가. 가격은 약보합세.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3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3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