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6. 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6. 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17 전일대비 -0.82
동 향 : 농산물은 전일 공휴일로 거래가 부진하면서 전일 증가한 물량이 소진되지 않아, 시장 재고가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부류가 하락세를 보였음. 특히, 잎채소류는 상추, 미나리, 시금치등 대부분 품목이 하락세 거래되면서 지수하락을 견인하였으나 배추는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보였음. 열매채소류와 양념채소류도 대파와 쪽파, 청양고추가 전일에 이어 하락세 거래되었으나, 붉은고추와 파프리카류는 물량 감소로 오름세 거래되었음. 반면 버섯류와 뿌리채소류는 물량 감소폭이 예상보다 많아 오름세 거래되었음. 주초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한 상태에서 휴일 거래로 인해 주초 재고 누적이 지속되고 있어 전반적으로 약세장을 보이고 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6.99 전일대비 -2.28
동 향 : 감자는 보성, 장흥, 구미지역 노지 감자와 당진, 서산지역 하우스 감자 출하되고 있음.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13%감소한 499톤임. 금주 초반 물량증가로 내림세가 컸던 감자는 금일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소폭 오름세 거래됨. 출하지역별 최고가는 보성 22,000원, 장흥 15,000원, 서산 21,000원, 당진 20,000원임. 대지종은 제주지역에서 30톤 출하되었으며 한 상자에 18,000-2,000원에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8.09 전일대비 -3.3
동 향 : 배추는 전일 출하량이적어 재고가 소진되자 금일은 다시 반입량이 늘어 평일 수준으로 회복되었음. 692톤이 반입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아산 46%, 충주 15, 강릉 9%, 문경 5% 순으로 충청지역의 물량 집중도가 높은 가운데 금주들어 강릉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최근 초여름 같은 고온이 지속되면서 생육장애가 나타나 상품관리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며 더위를 피해 새벽에 작업하는 물량이 많아 이슬로 운반 도중 상품성 훼손되는 경우가 많아 작업시 유념해야 할 것임. 금일 최고가는 4,150원으로 강릉에서 출하되었으며 주 거래가격은 2,300~3,100원 선으로 전일대비 2,000원 가량 하락하여 일일 가격 변동이 컷음. 고온으로 상품이 쉽게 망가져 당일 물량변동에 따라 가격 등락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으로 출하 전 최근의 물량과 가격 변동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것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2.1 전일대비 -2.21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78.69 전일대비 12.35
동 향 : 무는 반입량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가격은 등급별로 등락이 엇갈림. 금일 반입량은 468톤으로 전일 대비 17% 증가하였으며 출하지역은 고창 22%, 부여 14%, 나주 12%, 영암 11% 순이었음.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최고가 11,600원이었고 상품은 9,300원으로 보합이었으나 하품은 3,700원으로 전일대비 138% 상승하였음. 전일 가격이 급등하였음에도 물량이 증가가 소량에 그쳐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적은 저가품의 오름세가 두드러졌음. 제주산 출하가 거의 종료되었으나 육지산의 물량 증가가 뚜렸하지 않아 물량부족으로 예년보다 2배 가량 높은 가격이 지속되고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5.38 전일대비 -4.45
동 향 : 양파는 표준가격이하 시세 형성으로 전일에 이어 출하량이 감소하여 상품이 1kg에 전일대비 4%오른 383원에 거래됨. 금일 반입량은 713톤으로 전일에 비해서는 11%증가하였으나 주초 1,345톤보다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출하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무안 13kg망 7,450원, 함평 13kg망 6300원, 해남 14kg망 7,000원, 함양 17kg망 7,500원임. 대파는 212톤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며 상품 한단에 1,010원으로 전일대비 12%내림세 거래됨. 출하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청주 1,420원, 성남 1,180원, 고량 1,000원, 구리 970원임. 지난주 오름세가 컸던 풋고추와 청양고추는 금주들어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8.32 전일대비 0.22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86.65 전일대비 3.46
동 향 : 주중 버섯류는 179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4%수준으로 감소하였음. 느타리는 39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고품질 느타리의 반입이 감소하면서 특상품간 시세 격차를 보이고 있음. 금일 유통업체 수요 증가로 상품 중심 상승세를 형성하였으며 중하품은 보합세에 거래됨. 양송이는 13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일 가격하락으로 인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강보합세 형성. 2kg 상품이 12,000원에 거래되어 평년대비 25%정도 높은 수준임. 생표고는 17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구매력은 지난주대비 약해 약보합세의 흐름을 보이고 있음. 팽이는 48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증가물량을 소화하지 못해 하락세에 거래됨. 중상품에 비해 급식 수요가 많은 하품의 하락세가 큰 편임.
2. 수산물
가격지수 : 105.60로 전일대비 +1.94
동 향 : 수산물은 산지 소비량 증가로 반입물량이 감소하였고 전일 공휴일 영향으로 재고량이 감소한 중도매인 매수세가 활기를 띠며 강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반입량이 감소한 삼치, 선도가 뛰어난 일본산 냉장꽁치가 강보합세를 형성했고, 조개류는 굴이 반입량 감소로 강세. 연체류는 수입낙지, 물오징어가 입하량이 줄어들면서 상승세를 나타냄.
◈ 생선류
가격지수 : 86.49로 전일대비 +1.36
동 향 : 생물고등어는 부산지역 대형선망 조업부진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상품은 보합세를 유지하였고, 중․소형품은 매수세 둔화로 약보합세. 냉동고등어는 반입량 감소와 함께 생물 상품성 가치 하락으로 오름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일본산 냉장갈치가 체장이 작아 요식업체 주문량이 증가하며 보합세를 유지. 일본산 냉장갈치는 대품 반입이 다소 저조하나 중품은 가정용 소비증가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기온상승으로 선도관리에 어려움을 느낀 요식업체 주문량이 갈수록 줄어들면서 하락세를 형성하였고, 일본산 냉장 꽁치는 금일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성이 뛰어난 물량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오름세를 형성. 대구는 동해안 조업여건이 호조를 보이면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 임연수어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하였으나 대품 비중 증가로 상승세를 보임. 병어는 목포 및 여수를 중심으로 대품 반입이 활발함으로 보이면서 상승세에 거래. 활어류는 전일대비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숭어류가 주중 수요 감소로 하락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05.73로 전일대비 -4.58
굴은 비수기로 통영산 출하량이 꾸준히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일 공휴일 영향으로 재고량이 크게 감소한 대형유통업체 및 식자재 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세를 보임. 바지락은 최근 시세 호조로 서해안산 반입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일대비 반입물량이 2톤 감소하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충남 장항, 경기 인천에서 주로 출하되는 동죽은 재고량 소진이 원활하여 강세를 보였고, 새꼬막은 반입물량이 2톤정도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홍합은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고 여수산 물량이 선도가 뛰어나 강보합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20.08로 전일대비 +13.80
수입낙지는 전일 공휴일 영향으로 재고량이 감소한 가운데 금일 반입량 마저 줄어들어 전반적으로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수입쭈꾸미는 꾸준한 수요로 국산 및 중국산 모두 보합세를 유지. 물오징어는 부산 및 동해안산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상품은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보였고, 중․소형품은 반입물량 감소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임. 미더덕은 지난주에 비해 시세가 다소 하락하면서 소비량이 늘어나 반입량 증가에도 오름세를 나타냄. 오만둥이 역시 중국산 유입으로 시세가 다소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나 전일 판매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