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5.31(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5.31(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72 전일대비 -1.48
《 강세 요인 》
○ 서류, 뿌리, 서양 채소류는 상품성 향상과 전일 재고소진으로 시세 상승
- 고구마는 상품성 좋은 호박고구마 출하 증가, 열무는 가정용 김치수요 증가
- 양상추, 청경채, 빨강파프리카는 납품업체 주문 증가와 금일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열매, 양념 채소류는 반입량 증가와 전일 고가거래로 거래부진하면서 약세
- 양배추, 상추류, 깻잎, 미나리는 월말 납품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취청오이, 가지는 전일 재고증가, 쪽파는 고단가로 소비부진, 새송이는 반입량 증가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8.03 전일대비 7.98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20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9% 감소.
- 고구마는 여주 56%, 당진 20%, 영주 13%, 고창 9% 등 반입.
- 밤고구마 71%, 호박고구마 29% 차지함. 밤고구마는 여주산 2,000-23,500원
- 당진산 7,500-25,500원, 호박고구마는 고창산 3,000-38,500원에 거래
- 충남 당진산 밤고구마, 전북 고창산 호박고구마 상품성 좋아 시세 상승
- 상품 평균 23,311원으로 전일대비 19%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75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4% 증가.
- 수미종 감자는 보성 31%, 장흥 16%, 구미 13%, 밀양 7%, 창원 6% 등 반입
- 보성 1,000-20,000원, 장흥 2,000-15,000원, 구미 1,000-14,500원 거래.
- 전남 장흥, 경북 구미지역 출하량 증가. 전일 재고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3,953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1.51 전일대비 -5.8
◇ 배추-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부터 가격이 크게 내려 일부 지방에서 작업을 중단하는 등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574톤으로 전일대비 7.8% 감소하였으며 아산 32%, 연기 13%, 해남 8%, 의성 8%
등지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아산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졌고 월동은 끝물로 출하량이 급감하여 시장 전체적으로 4대만
반입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은 2,010원으로 3.1%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1,405원 5.5% 하락하여
고가품은 오름세였으나 저가품은 내림세
- 저가품은 재고부담과 소비 부진물량 소화에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 고가품은 월동물량 출하가
감소하면서 희소성이 높았고 금일 출하물량은 선별이 양호해 상품성도 호전됨.
- 한편, 봄배추는 고온과 잦은 비로 기상여건이 좋지 않았던데다 예년의 절반수준에 불과한 낮은
가격으로 작물관리에 소홀해 지면서 상품성도 점점 나빠지는 경향을 보임
◇ 시금치 - 오름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74톤으로 전일보다 6.3%가량 증가하였음.
- 품종별로는 단시금치 45톤, 상자시금치 29톤가량임.
- 주 출하지역은 경기 포천(38%), 이천(7%), 남양주(19%)등 경기 일원지역이 대부분임.
- 단 시금치(400g단,상)는 17.0% 상승한 550원, 상자시금치(4kg,상)는 6.2% 하락한 5,5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0.74 전일대비 -5.75
◇ 오이-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주 중반으로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백다다기는 오름세였으나 취청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398톤, 취청 55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12%, 33% 감소함
- 백다다기는 천안 27%, 아산 13%, 춘천 11% 등지에서 취청은 구례 51%, 보성 15%, 순천 14%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는 100개 기준 상품 16,625원, 보통 13,88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4%, 3.4%
상승하였고 지역별 평균 단가는 천안 15,939원, 아산 14,589원, 춘천 13,529원이었음
- 취청은 20kg상자 기준 상품 21,015원, 보통 12,10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7%, 26% 하락하였고
평균단가는 구례 18,682원, 보성 13,580원, 순천 17,316원이었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4.43 전일대비 2.05
◇ 무-오름세
- 반입량 증가에도 오름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574톤으로 전일대비 21% 증가하였으며 서귀포 60%, 부여 13%, 무안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9,200원, 보통 4,16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3%, 6.7% 상승함
- 물량증가에도 전일 출하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되었고 소비량도 꾸준하였음
- 평균단가는 제주산 7,368월, 부여 9,282원, 무안 8,616원 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2.89 전일대비 -3.36
◇ 생고추 - 내림세
- 꽈리의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전품종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
- 금일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43.8% 증가한 215톤(전자경매기준)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75톤, 일반풋고추 55톤, 꽈리 58톤, 홍고추 17톤 반입.
- 청양고추의 주 출하지역은 경남 밀양·창녕, 전남 광주 등지이며,
-물량 가중 전체 평균 가격은 18,200원이며, 밀양 17,400원, 창녕 20,300원, 광주 26,000원 가량임.
- 일반 풋고추는 경남 진주, 충남 공주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으며
- 진주 지역이 끝물로 풋고추보다는 홍고추 출하가 증가함.
- 일반 풋고추 전체 평균 가격은 22,900원이며 밀양 29,500원, 공주 23,40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 예산 등에서 본격 출하되어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함.(전일대비 83.8%)
- 꽈리고추 전체 평균 가격은 7,500원이며, 예산 9,600원, 당진 7,600원을 형성함.
◇ 양파 - 보합세
- 금일 84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6% 감소.
- 무안 83%, 해남 7%, 익산 3%, 장흥 3%, 군위 1%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93-457원, 해남 250-375원, 익산 285-411원 거래.
- 연일 약세 영향으로 산지 출하작업 조절. 유통업체 세일행사용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312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 대파 - 보합세
- 금일 19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증가.
- 경기 포천 26%, 고양 22%, 구리 19%, 남양주 5% 등 반입
- 포천산 600-910원, 고양 550-930원, 구리 620-950원에 거래
- 주중 납품업체 주문 감소, 지방 소매상 거래줄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885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 쪽파 - 내림세
- 금일 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7% 감소.
- 흙쪽파는 남양주 5톤, 아산 2톤, 예산 1톤 등 반입
- 아산, 예산지역 전일 약세영향으로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증가로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2,30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깐쪽파는 서천 1톤, 아산 1톤, 예산 1톤 등 반입
- 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감소. 물량 적어 고단가 형성되면서 매수세 약화
- 상품 평균 35,686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2.85 전일대비 2.91
◇ 피망, 파프리카 - 강보합세
- 경남 진주 등이 끝물로 상품성이 좋지 않아 상·하품 반입 감소하고,
-중품 위주의 출하가 이루어져 전체적인 시세는 소폭 상승함.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일보다 18.3% 감소한 32톤가량 반입됨.
- 주 출하지역은 경남 진주(36%), 전남 광주(30%), 나주(18%) 등지이며 강원 횡성에서 소량 출하됨.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2,600원이며, 진주 7,800원, 광주 16,400원, 나주 15,600원에 거래됨.
- 홍피망은 4톤가량 반입되었으며 물량 가중 전체 평균가는 14,200원으로 전일보다 6% 하락함.
- 파프리카는 경남 남해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해 전일보다 41.7% 증가한 24톤가량 반입.
- 파프리카는 경남 남해(21%), 경기 화성(15%), 충북 진천(10%) 등에서 출하되고 있음.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격은 12,700원이며, 노랑 13,400원, 빨강 11,600원, 주황 12,300원을 형성함.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22% 감소한 49톤가량 반입됨.
- 주출하지역은 충북 제천(32%), 강원 횡성(7%), 전북 김제(14%)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으로 물량 가중 전체 평균은 6,300원이며,
-제천 7,800원, 김제 6,000원, 횡성 6,3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는 물량이 증가한 가운데 시세는 소폭 상승함.
- 주 출하지역은 강원 횡성(23%), 충북 제천(36%), 충남 당진(25%)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0,300원이며, 횡성 13,900원, ·제천 10,700원, 당진 7,8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8.66 전일대비 -1.45
◇ 버섯류 - 약보합세
- 184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3% 감소
- 산지 버섯 재배지 감소로 시장 반입량 감소
- 전반적인 매기부진으로 중도매인 재고량 누적
- 낮기온 고온 현상으로 상품성 하락한 물량 증가
- 표고를 제외한 버섯류 수요부진으로 약보합세 형성
◇ 표고 - 강보합세
- 전일대비 13% 증가한 19톤 반입
- 지금까지는 자연 발생 및 저온성 마지막 작업물량이 주를 이뤘음
- 서서히 고온성 작업 물량이늘어나면서 고온성 표고 반입량 증가
- 주 출하 산지는 전라도 일원에서 경기도와 충청도 일원의 물량으로 대체되고 있음.
- 충남 공주 12.8%, 경기 용인 9.2%, 경기 여주 6.0%, 경북 문경 5.8%, 경기 안성에서 3.8% 반입
- 요식업체 수요 꾸준
-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형성한 가운데, 백화점 납품용인 특품의 강세가 두드러짐
- 특품 4kg 평균 38,306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5.96 전일대비 -0.89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상품성 양호로 오름세, 수입낙지 반입량 감소 상승세
《 약세 요인 》
○ 조개류 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주도
- 봉지바지락, 수입바지락, 홍합 반입물량 증가로 약세
- 상승세 보이던 생태, 참숭어 주중 외식업체 주문량 감소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3.18 전일대비 +0.44
《 강세 요인 》
○ 고등어, 대구, 병어, 가자미 강세
- 고등어는 제주 연근해 조업 물량이 출하되었고 부산산 냉동 및 일본산 냉장물량 반입 증가로 반입량은 전일대비 3톤 증가함. 제주산 생물고등어는 체장이 커 강세를 보였고, 일본산은 반입량 증가와 중․소형어 위주 거래로 약세
- 대구는 속초, 죽변산 출하량이 증가하고 일본산도 반입되어 내림세를 나타냄.
- 병어는 전일대비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제주도, 부산, 목포산이 체장이 크고 선도가 양호하여 오름세
- 가자미는 안흥, 삼천포산 반입 늘어났으나 상품성이 우수하여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갈치, 삼치, 생태 약세
- 갈치는 제주지역 기상여건 원활로 어획량이 증가하여 반입량이 늘어났고 대형어 출하비중이 적어 내림세. 일본산은 국내산 대형어 비중 감소에 따른 대형어 수요 증가로 상품이 오름세
- 전일 강세를 보였던 삼치는 생물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냉동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전일대비 반입량은 소폭 증가함. 생물 시세는 여수산만 거래되었으며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보였고, 냉동물량은 주중 단체 급식 수요 감소로 하락세
- 생태는 일본산 출하량이 2톤 감소하였으나 최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 지속으로 시장내 재고가 늘어 하락세
◈ 조개류 96.08 전일대비 -9.59
《 강세 요인 》
○ 굴, 새꼬막,모시조개,해락,동죽 강세
- 굴은 4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통영(충무)산이며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없이 꾸준., 선도와 상품성이 좋은 상등품 위주의 반입으로 급식 및 전문 요식업체 수요가 증가하여 오름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요식업체의 밑반찬용으로 소비는꾸준하나 일반 가정소비는 한산, 6kg 소포장은 씨알이 작고 폐사 된 것이 많아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대포장은 상품성이 좋고 대량 수요처의 소비로 오름세
- 모시조개는 목포, 인천, 서산, 중국 수입산이 반입 되었으나 서산산은 소포장의 반입이 많았음. 흑모시의 반입이 줄어 중모시가 반입되었으나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으로 오름세
- 해락과 동죽은 인천, 서천산과 중국 수입산으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겉소라, 홍합, 키조개 약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국내산과 중국산의 반입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출하되었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반입품 대부분이 씨알이 잘은 잔바지락이었음
- 겉소라는 군산, 서천,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와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수요처 한정으로 일반 가정 소비는 한산
- 홍합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주반입지는 마산과 여수지역으로 중도매인 주문 물량인 다듬이 물량은 높은 가격에 거래, 다듬지 않은 물량은 상품성은 낮으나 전일대비 약보합세
- 키조개는 반입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연체류 100.57 전일대비 +0.97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낙지, 우렁쉥이 오름세
- 생물오징어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주출하지역은 거진,울진,남해,제주근해로 월명기에 따른 조업은 부진하였으나 반입량은 증가. 주로 채낙기 물량의 반입으로 상품은 내림세였으나 중하품은 오름세에 거래
- 수입낙지는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잔낙지가 주로 반입되었고 주소비처인 유통업체의 꾸준한 소비로 오름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였으나 씨알이 잘아 일본 수입산의 반입이 증가. 10kg 상품기준 국내산은 16.000-22.000원, 수입산은 26.000원선에 거래
《 약세 요인 》
○ 미더덕,오만둥이,문어 약세
- 미더덕은 마산산으로 물량 반입은 전일수준이나 매기부진으로 약세
- 오만둥이는 냉동물량으로 수요 감소로 약세
- 주꾸미는 국내산은 물론 수입산의 반입도 없었음
- 문어는 포항산 중, 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