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2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2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8.46 전일대비 -4.58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서양 채소류 중 일부는 반입량 감소와 전일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 양배추, 열무는 산지 출하 작업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시세상승
- 치커리, 청경채, 빨강파프리카는 납품업체 및 요식업소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열매, 양념, 뿌리,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폭염으로 상품성 저하, 판매부진하면서 내림세
- 취청오이, 쥬키니호박, 무는 무더위로 판매부진하여 전일 재고증가
- 대파, 쪽파, 양상추, 파세리는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저하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9.11 전일대비 -11.51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3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1%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8%, 익산 32%, 김제 20%, 이천 10%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500-23,000원, 익산 3,000-25,500원
- 김제 3,500-20,000원, 호박고구마는 보령산 7,000-14,000원 거래
- 본격적 무더위 시작으로 상품성 손실방지 위한 출하량 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9,273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감자 - 보합세
- 금일 25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77%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0%, 봉화 11%, 홍천 8%, 강릉 4%, 고성 4% 등 반입
- 평창 1,000-36,000원, 봉화 2,000-20,000원, 홍천 2,000-23,000원 거래.
- 강원과 경북지역 산지 출하작업 활발로 반입량 증가. 급식업체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16,203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6.88 전일대비 -2.53
◇ 배추 - 약보합세
- 금일 56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감소. 기상호조로 출하량 증가
- 강원 평창 30%, 정선 28%, 태백 21%, 인제 5%, 삼척 7% 등 차지함
-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무더위로 상품성 떨어져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10kg망 상품 평균 5,506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7.91 전일대비 -3.28
◇ 쥬키니호박 - 내림세
- 금일 2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1% 증가. 기상호조로 반입량 증가
- 강원 홍천 57%, 춘천 9%, 화천 4%, 경북 봉화 26% 등 반입됨
- 무더위로 일반 가정용 소비 감소, 급식업체 및 지방소매상 주문 감소
- 금일 상품10kg상자 평균 5,518원으로 전일대비 15% 시세하락하면서 내림세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7.19 전일대비 -13.65
◇ 무 - 내림세
- 금일 52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감소.
- 강원지역 49%, 충청 18%, 전라 10%로 반입 비중을 차지함
- 평택 18%, 정선 17%, 평창 15%, 원주 8%, 횡성 4% 등 차지함
- 전일 재고증가와 시세하락 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무더위로 상품성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8,610원으로 전일대비 18% 시세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9.02 전일대비 -9.25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3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8% 증가.
- 무안 54%, 함평 19%, 함양 4%, 거창 4%, 부안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25-500원, 함평 177-473원, 함양 278-725원 거래.
- 전남 무안, 함평지역 출하량 증가. 무더위로 상품성 저하되면서 하품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24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21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3% 증가.
- 경기 고양 20%, 이천 10%, 포천 7%, 안성 7%, 부안 6%, 여주 6% 등 반입
- 고양 200-650원, 이천 400-650원, 포천 350-820원, 여주 450-780원 거래
- 무더위로 전일 재고증가. 경기 동부지역 출하량 증가와 지방 소매상 주문 감소
- 금일 중품 평균 623원으로 전일대비 2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4.5 전일대비 -12.86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8.0% 감소한 32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24톤, 홍피망 8톤이며,
- 출하지역은 강원 춘천(11%), 평창(15%), 홍천(12%), 횡성(8%), 전남 광주(3%) 등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4,480원이며,
-홍천 13,900원, 춘천 15,550원, 평창 13,550원, 횡성 8,22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49.7% 감소한 1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9톤, 노랑 6톤, 주황 2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경남 함양(12%), 경기 화성(7%), 강원 원주(6%), 전북 익산(5%) 등임
-전체 평균가는 6,220원이며,함양 7,850원,화성 9,680원,원주 3,370원,익산 3,18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4,650원, 노랑 6,370원, 주황 11,070원임
◈ 버섯류
가격지수 : 67.24 전일대비 -4.86
◇ 버섯류 - 하락세
- 시세 하락으로 인한 산지 출하조절로 출하량 5% 감소한 161톤 반입
- 출하량 감소 반입이나, 매기부진으로 재고량 꾸준한 증가 추세
- 방학과 휴가철이 이어지면서 납품 및 소비 부진세 지속
- 장마가 끝나고 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상품성 하락품도 증가
◇ 표고 - 보합세
- 산지 출하 지역이 확대되면서 전일대비 5% 증가한 23톤 반입
- 충남 공주 15%, 경북 청도 10%, 문경 8%, 경기 이천 6.3%, 양평에서 6.1% 반입
- 금일 충북 영동 및 경기지역 표고의 개별 출하 증가
- 백화점 및 유통업체 납품용인 특상품은 납품수요가 꾸준해 보합세를 형성하였으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중하품의 경우 가격 하락세 형성
- 상품 4kg 평균 23,504원으로 전일대비 3%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1.35 전일대비 -1.58
《 강세 요인 》
○ 주말대비 수요 증가한 새꼬막, 수입낙지, 출하량 감소한 감숭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산지 기상여건 회복으로 출하량 늘어 생선류, 조개류 내림세
- 반입물량 증가한 생태, 대구, 바지락, 봉지바지락 약세
- 상품성 저조로 고등어, 재고량 충분한 물오징어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42 전일대비 -2.60
《 강세 요인 》
○ 갈치, 병어, 가자미, 감숭어 강세
- 갈치는 대형마트 산지 직출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제주산 생물 갈치 반입량은 줄어들어 오름세 형성. 다만 인도네시아 및 중국산 반입증가로 전체 물량은 전일에 비해 소폭 증가
- 병어는 사리철로 어획량이 감소하며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충무 및 삼천포산 선도 양호로 오름세
- 가자미는 주말대비 가정용 소비증가 기대로 중도매인 매수심리가 강해 오름세
- 감숭어는 서산, 여수산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고 주말대비 횟감 주문량은 늘어 강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삼치, 아귀, 도루묵 약세
- 고등어는 제주도 서방해역 어군밀도가 높아지면서 어획량이 크게 늘어나 반입량이 9톤 증가함. 중소형어 위주 거래와 최근 반입량 증가로 재고가 늘어 하락세
- 생태는 일본산 출하량 증가하였고 무더위 지속에 따른 소비부진과 재고관리 어려움 가중으로 내림세
- 삼치는 고등어 반입량 증가로 수요가 다소 분산되었고 삼치 반입량도 전일에 비해 7톤 가까이 증가하여 약세
- 아귀는 주말대비 전문점 수요증가에도 불구하고 부산, 삼천포, 목포산 출하량이 늘어나고 시장내 수입물량이 충분하여 내림세 나타냄
- 도루묵은 산지 소비량 증가기대로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위주로 반입되어 약세
◈ 조개류 82.90 전일대비 -7.51
《 약세 요인 》
○ 굴,새꼬막,바지락,겉소라,가무락,동죽,홍합 등 전품목이 약세에 거래
- 굴은 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통영(충무)산으로 산지의 작업부진과 소비지 기온상승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약세
- 새꼬막은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고온으로 소포장은 소량 반입되어 강세, 대형 망포장은 거래 비중은 높으나 대량 수요처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바지락은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국내산은 태안(안면도), 서산산이, 수입물량은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음. 겉망바지락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고 거래와 반입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도 수요감소로 내림세에 거래, 선도 양호로 전문 요식업체에서 주소비. 수입산은 소량이나 선도부진으로 가격은 낮았음
- 겉소라는 서산, 서천산이며 산지 등급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대체적으로 선도는 좋은 편이었음. 포장 단위가 일정치 않고 선별 상태도 부진하여 전일대비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서산, 목포, 인천산 및 중국 수입산도 소량 반입되었으나 등급, 품종에 따라 가격 차이가 컸음, 수요처 한정 매기부진하여 내림세
- 동죽은 인천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다른 조개 가격 하락으로 내림세에 거래
- 홍합은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으로 다듬이 물량은 반입량 증가로 약세, 일반 홍합은 반입 감소와 선도 양호로 강세
◈ 연체류 101.35 전일대비 -0.65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문어 강세
- 생물오징어는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동해안산은 속초, 동해, 울진(죽변)산, 서남해안산은 태안(안흥)과 목포, 완도산이 주반입되었으나 체낙기 물량은 체장이 큰 것은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그물오징어는 내림세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산낙지, 주꾸미, 미더덕, 냉동주꾸미, 오만둥이는 약세
- 수입낙지는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일본산은 소량 반입과 중량이 많음에도 중국산 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 전반적으로 전일 반입 증가에 따른 미판매분 처분으로 가격은 내림세였고 주 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였음
- 산낙지는 중국산 반입으로 내림세였으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
- 미더덕은 등급간 가격차이가 큰 편이었고 수요처 한정으로 약세
- 오만둥이는 생물과 냉동물이 동시 반입되었고 소비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