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8.2(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8.2(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96.68 전일대비 -0.7
동 향 : 농산물은 산지 기상여건 악화와 휴가철 성수기에 따른 시세 부진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소비 둔화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무, 열무등 뿌리채소류가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 증가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잎채소류는 배추,청경채,부추가 기온 상승에 따른 상품성 악화와 판매 부진이 겹쳐 내림세를 나타냈음. 반면, 양념채소류는 시세부진에 따른 출하물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고, 버섯류는 우수한 품질의 물량이 다수 입하된 생표고 중심으로 강세장을 형성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1.53 전일대비 -0.61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9.15 전일대비 -7.14
동 향 :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77.23 전일대비 1.8
동 향 : 오이 백다다기는 전일 이틀물량 반입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던데 비해 금일 209톤으로 전일대비 61%수준으로 감소. 주중 시장 거래가 활발한 편은 아니나 반입량 감소로 소폭의 상승세 형성. 강원지역의 물량 반입이 많음. 최고가는 강원 홍천군에서 출하된 물량으로 25,000원에 거래됨. 취청 역시 반입량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시세 상승. 가정용 수요가 증가해 유통업체의 주문량 증가. 가시오이는 상승세, 노각은 하락세에 거래됨.
애호박은 14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57%수준으로 감소. 그러나 지난주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과 주중 수요 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강원 화천군에서 출하된 애호박이 20개에 11,000원에 거래되어 최고가 형성. 단호박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며 보합세 형성. 쥬키니는 여름철 수요가 부진하면서 재고누적으로 내림세를 보였으며 늙은호박은 보합세에 거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3.66 전일대비 -14.8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9.67 전일대비 10.03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6.43 전일대비 -1.62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75.97 전일대비 11.04
동 향 : 금일 버섯류는 133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0%수준으로 감소함. 반입량 감소와 더불어 양송이, 새송이, 생표고 등의 수요 증가로 지수상승세 형성. 느타리 주산지는 충북 청원과 경기 여주로 반입이 꾸준히 이루어짐. 금일 반입량은 26톤으로 전일대비 90%수준이며 주중 매기가 부진해 중상품 중심의 약보합세 형성. 양송이와 새송이는 반입량 감소와 시세 하락에 따른 수요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이번주 들어 반입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오름세에 거래. 대형 유통업체 및 식자재 업체의 주문량 증가. 팽이는 전일과 반입량이 비슷하며 매기 부진으로 약세 장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7.39 전일대비 -3.21
동 향 : 수산물은 반입량이 전일대비 78%수준인 265톤으로 감소하였으나 주중 매기 부진으로 지수하락세 형성. 특히, 수입낙지의 내림세로 연체류가 하락세 주도함. 생선류는 고등어가 전일대비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며 수입생태 등은 수요 부진으로 하락세 형성. 패류는 충무산 중굴의 선도가 좋아 중품 위주의 오름세를 보였으며 바지락과 겉홍합은 보합세에 거래. 깐바지락은 요식업소와 가정용 수요 증가로 오름세, 깐홍합은 전일 가격 상승으로 내림세에 거래. 한편, 연체류는 중국산 수입낙지의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를 보였으며 문어는 전일과 비슷한 보합세에 거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