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6.2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6.27(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6.08 전일대비 1.31
《 강세요인 》
○ 소비량이 많은 주말을 앞둔데다 익일부터 장마가 북상할 것이라는 기상예보로 소비량이 늘어 오름세
- 그동안 약세를 주도하였던 잎채소류가 요식업소 주문량이 늘면서 오름세를 주도하였고 열매채소류와
서양채소류도 소폭 반등함
- 품목별로는 상추, 배추, 시금치, 오이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 약세요인 》
○ 출하지가 충청, 경북지방으로 확대된 무가 작황호조와 소비부진으로 연일 내림세가 이어졌고 버섯류도
장마철 작물 관리의 어려움으로 상품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8.66 전일대비 -4.63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1.1 전일대비 14.54
◇배추-내림세
- 일부 물량이 운임처리에 불과한 수준으로 약세를 보이자 산지 작업을 포기하거나 지방시장 분산
출하 등 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467톤으로 전일대비 15.7% 감소하였으며 금주들어 가장 적은 물량이 출하됨
- 지역별 출하비중은 영월 41%, 횡성 22%, 제천 6%, 청송 5%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741원, 보통 1,96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0.9%, 20.4% 하락함
- 전일제고가 다수 남았음에도 반입량이 워낙 적었고 주말 수요로 소비량이 많았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8.77 전일대비 2.99
◇오이-내림세
- 주말임에도 출하량이 저조해 가격 오름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는 300톤으로 전일대비 8.6% 감소하였으나 취청은 18.6% 증가함.
백다다기가 금주들어 가장 적은 물량이 출하됨
- 지역별로는 백다다기는 춘천 23%, 아산 16%, 천안 15%에서 취청은 화천 26%, 여주 15%,
구례 13%에서 출하됨
- 기온 상승으로 여름철 주산지인 강원지역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18,581원, 취청12,47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0.3%, 13.3% 상승함
- 반입량이 적었던데다 주말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3.65 전일대비 -5.7
◇무-내림세
- 소비부진으로 재고가 다수 남아 있은 데다 출하량이 줄지 않아 가격 약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421톤으로 전일대비 2% 증가하였으며 태안 31%, 당진 21%, 평택 16%에서 출하됨
- 충청지역 물량이 거래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물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제주산도 막바지 저장물량이 일부 출하됨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4,666원, 보통 3,694원으로 전일대비 14%, 9.2% 하락함. 표준가격
대비 20% 정도 낮아 약세권 형성
- 지역별 평균가격은 당진 4,390원, 태안 3,890, 제주 4,430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2.26 전일대비 -1.58
◇ 양파 - 내림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843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30%가량 증가함.
- 주말장에 대한 수요 기대와 비소식으로 출하를 서둘러 시장 반입량 증가
- 무안 58%, 해남 15%, 김천 6%, 함평 6%, 서산 4% 등에서 출하
- 강세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물량 증가로 소폭 하락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0.56 전일대비 0.39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1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11% 증가
- 청피망 32톤, 홍피망 9톤 가량이며, 주말 수요량 증가로 매기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 홍피망은 상품성이 좋지 않고, 수요 감소로 내림세
- 파프리카는 26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8%가량 큰 폭 감소함
- 빨강 14톤, 노랑 11톤, 주황 2톤이며, 제주, 익산, 남해 등에서 주로 출하.
- 전일 물량 반입이 많아 재고가 남아있어 중도매인 매기 부진으로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108.41 전일대비 -7.47
◇ 버섯류 : 약 보합세 (느티리: 강보합, 표고: 내림세, 팽이 : 내림세)
- 반입물량이 181톤으로 전일 163톤의 111% 물량 반입
- 출하량은 전일대비 소폭 증가
- 금일 시세는 버섯류의 우수 상품 지속적인 부족세로 강보합, 팽이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 느타리버섯은 출하량이 전일 보다 소폭 증가. 소비지 소비가 원활하여 시세는 강보합.
. 표고의 출하량은 전일 재고누적으로 시세는 하락세. 명일 주말 지속적 매기부진세 지속
예상 .
. 팽이는 반입량 증가 및 일시적 소비 주춤으로 하락세 두드러짐.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77톤, 전일대비 14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3.10, 전일대비 -6.77
○ 조개류 전일대비 상승품목 : 홍합(하품 28.1%상승), 가무락(모시조개) ( 상품 11.9%상승, 중품 10.0%상승), 봉지바지락(상품 5.8%상승, 중품 5.9%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하락품목 : 바지락수입(상품 55%하락, 중품 58.8%하락), (겉)바지락(상품 20.5%하락), 새꼬막(7키로 하품 16.7%하락, 7키로 상품 3.6%하락), 동죽살(해락)(중품 15.8%하락), 깐바지락(상품 8.9%하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02.30, 전일대비 -3.35
○ 연체류 상승 품목 : 문어(대소문어 20.0%상승), 낙지수입(상품 9.8%상승), 미더덕(중품 3.8%상승)
○ 연체류 하락 품목 : 오만둥이(상품 35.3%하락, 중품 38,4%하락), 갑오징어(상품 25.5%상승), 중문어(중품 13%하락), 물오징어(상품 6.1%하락), 냉동오징어(중품 5.3%하락)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97.53, 전일대비 0.00
○ 갑각류 상승 품목 : 활 꽃게 수(대 91.7%상승, 중 106.3%상승), 활 꽃게 암(대 30.8%상승, 중 93.5%상 승), 냉동꽃게 암(상품 33.8%상승)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0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1.04,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19톤 반입 전일대비 17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8.21, 전일대비 +0.0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7톤 반입 전일대비 1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1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0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