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2(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2차
2005.11.2(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2차
1. 채소과일류
가격지수 : 122.52 전일대비 : +13.78
동 향 :
채소과일류는 185톤으로 전일대비 86%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토마토, 딸기의 수요 증가로 유통업체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13.78p 지수 상승세 형성.
토마토는 64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건강 식품으로 선호도가 높아 가정용 수요나 유통업체의 주문량이 꾸준해 강보합세에 거래. 강원도 지역 물량이 감소하고 충청 지역 출하량이 증가하는 추세임.
딸기는 2톤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 경상도 물량 반입이 이루어지면서 반입량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수요 증가 기대로 강보합세 전망.
메론은 43톤이 반입되어 전일 40톤에 이어 반입량은 많은 편이며 부여 지역 외에 타 지역의 출하량이 꾸준한 편임. 반입량은 감소세가 예상되나 소비가 많이 강보합세 예상.
2. 나무과일류
가격지수 : 107.66 전일대비 -0.88
동 향 :
사과는 15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0%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고가 형성으로 인한 구매 부담으로 매기가 부진해 보합세에 거래. 산지 물동량에 비해 작업 지연으로 인한 물량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배는 96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였으며 가을철 소비량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경기 지역 출하량이 많은 편이며 산지 출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감귤은 29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75%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 보합세에 거래됨. 소비는 증가세를 형성하고 있으나 사과 등 타 과일의 출하지연으로 감귤 소비 전환이 늦어져 보합세 형성.
단감은 264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59%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소폭의 오름세 형성. 반입량 중 일부 물량이 상품성 저하를 보이고 있으나 우수 상품으 경우 당도가 좋아 특상품 중심 오름세에 거래.
포도는 93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캠벨얼리는 특품 위주의 강보합세를 제외하고 MBA, 거봉, 마스캇베리에이는 보합세에 거래. MBA는 막바지 출하로 상품성에 따른 시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물량 감소에도 매기가 부진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