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1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1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7-11 09:5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 전일대비 6.01
《 강세요인 》
○ 소비량이 많은 주말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가격 약세가



장기간이 이어지면서 출하를 서두르지 않음
- 대중 수요품인 배추, 무가 반입량이 크게 줄어 오름세를 주도했고 대형 마트 할인 행사로 반짝 소비가


늘어난 오이도 강세. 그밖에 주말 요식업소 주문량 증가로 상추, 얼갈이, 피망 등도 오름세
《 약세요인 》
○ 햇품 출하가 시작되면서 물량 부담으로 고구마의 약세가 지속되었고 전일 반짝 오름세였던 양념
채소류가 다시 내림세로 돌아섯고 버섯류도 고온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내림세가 이어짐"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4.79 전일대비 -7.39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7.95 전일대비 17.55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6.42 전일대비 6.8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1.41 전일대비 8.51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3.23 전일대비 -0.11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2.89 전일대비 2.54


◈ 버섯류
가격지수 : 87.99 전일대비 -1.47
◇ 버섯류 : 약 보합세 ( 느타리, 표고 : 우수상품 강보합. 중저급: 하락세 )
- 반입물량이 167톤으로 전일 165톤의 101% 물량 반입
- 표고 영동지역 우수상품 출하량의 증가세 형성 및 산지 기온상승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

세가 두드러짐.
. 느타리버섯은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였고 , 시세는 약 보합세 나타냈음. 느타리버섯은

당분간 소비지 소비가 증가하여 강보합세 전망됨.
. 표고 우수상품은 시세 폭등세 , 중.저급품은 하락세 형성.
. 양송이 우수상품은 보합세, 중.저급은 하락세를 보임.
. 팽이의 하락세가 두드러지며, 느타리 및 표고 우수상품은 지속적인 장 매기 강세 형성.



2. 수산물

■ 금일 수산물 전체 반입량 : 237톤 반입 전일(282톤)대비 45톤 감소
■ 금일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8.33 전일대비 +1.81


□ 생선류(선어류) : 금일 반입량 101톤, 전일(103톤)대비 2톤 감소

◈ 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4.91, 전일대비 +3.41

○ 생선류 강세(전일대비 0%이상 상승) 품목 : 감숭어(대, 중, 소), 참숭어(소, 중, 대), 병어(하, 상, 중), 활 돔(양식) 중, 소, 대, 도루묵(중, 상), 아귀(상,중), 가자미(하), 꽁치 냉동(중), 냉태 원양(소), 고등어 냉동(하), 삼치냉동(상)


- 감숭어는 서산산과 여수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6,150원으로 전일대비 86.4% 상승, 1kg 중 가격은 4,750원으로 전일대비 126.6% 상승,
1kg 소 가격은 2,500원으로 전일대비 150% 상승
- 참숭어는 서산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6,100원으로 전일대비 10.9% 상승, 1kg 중 가격은 5,000원으로 전일대비 8.7% 상승, 1kg 소 가격은 2,500원으로 전일대비 51.5% 상승
- 병어는 삼천포산, 목포산, 여수산이 주로 반입. 5kg 하품 가격은 6,000원으로 전일대비 50% 상승, 8kg 상품 가격은 68,500원으로 전일대비 14.2% 상승, 8kg 중품 가격은 32,500원으로 전일대비 8.3% 상승
- 활 돔(양식)은 일본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12,500원으로 전일대비 8.7% 상승, 1kg 중 가격은 11,000원으로 전일대비 25.7% 상승, 1kg 소 가격은 5,250원으로 전일대비 10.5% 상승
- 도루묵(은어)은 영덕군 축산산이 주로 반입. 5kg 대 가격은 12,500원으로 전일대비 33.7% 상승, 1kg 중 가격은 6,700원으로 전일대비 21.8% 상승
《 생선류 강세 요인 》유가폭등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감소하여 가격은 오름세

○ 생선류 약세(전일대비 10%이상 하락) 품목 : 활 넙치(자연) 중, (양식) 소,대, 활 우럭 자연(대,소,중), 명태냉장 수입(상,중), 삼치(하), 대구(중), 갈치(상), 고등어 수입(상)


- 활 넙치(광어) 자연은 서산산과 군산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15,000원으로 전일대비 30.4% 하락, 1kg 중 가격은 11,500원으로 전일대비 16.7% 하락, 활 넙치(광어) 양식은 충무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12,750원으로 전일대비 30.4% 하락, 1kg 소 가격은 5,500원으로 전일대비 33.3% 하락, 단, 1kg 중 가격은 10,5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활 우럭(자연)은 국내는 제주도산, 통영(충무)산, 완도산과 수입산은 중국산, 일본산이 주로 반입. 1kg 대 가격은 8,850원으로 전일대비 31.9% 하락, 1kg 중 가격은 7,800원으로 전일대비 25.7% 하락, 1kg 소 가격은 5,750원으로 전일대비 28.1% 하락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66톤, 전일110톤 대비 44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1.51, 전일대비 +6.89

○ 조개류 강세(전일대비 10%이상 상승) 품목 : 동죽살(해락), 새꼬막, 바지락, 소라(피뿔고동)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중품 가격은 4,200원으로 전주대비 40% 상승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4톤 감소. 7kg 상품은 14,500원으로 전주대비 20.8% 상승, 7kg 중품은 14,000원으로 전주대비 27.3% 상승, 7kg 하품은 12,000원으로 전주대비 20.0% 상승.
- (겉)바지락은 태안산, 서산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17kg그물망 상품 가격은 39,000원으로 전일대비 23.8% 상승
- 소라(피뿔고동)은 군산산과 (고흥군)나라도산이 주 반입. 1kg 상품은 5,500원으로 전주대비 17.0% 상승, 중품은 4,600원으로 전주대비 8.2% 상승.

○ 조개류 약세(전일대비 10%이상 하락) 품목 : 홍합(하품), 깐홍합


- 홍합(하품)은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로 반입. 30kg 하품 가격은 7,000원으로 전주대비 26.3% 하락. 단, 상품은 12,500원, 중품은 10,5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깐홍합은 여수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1,700원으로 전주대비 10.5% 하락.

《 조개류 약세 요인 》
고온다습한 찜통 무더위로 인한 국내산 조개류의 계절적 소비 부진 및 대학 방학으로 고정수요처인 급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내림세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1.65, 전일대비 +1.92

○ 연체류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미더덕
- 미더덕은 마산산과 충무산이 주 반입. 1kg 중품 가격은 6,700원으로 전주대비 19.6% 상승.

○ 연체류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문어
- 문어는 포항산이 주로 반입. 1kg 선어냉장 대소문어 평균가격은 6,150원으로 전일대비 18%하락, 중문어 가격은 4,650원으로 25.6% 하락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2.7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70톤 반입 전일69톤 대비 1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0.08, 전일대비 -0.29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강보합세
- 건멸치는 55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가격은 약보합세.
- 건명태는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9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