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5.1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5.1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5-18 04:11













1. 농산물

가격지수 : 118.81 전일대비 -0.36
동 향 : 농산물은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주말을 앞둔 주중 소비부진으로 잎채소류와 버섯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이 하락세 거래됨. 특히, 전일 시세상승폭이 컸던 청피망이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되면서
파세리, 셀러리 등 서양채소류의 내림세가 컸으며, 최근들어 본격 출하되고 있는 이모작 감자가 제주지역 물량이 가세하면서 내림세를 보였고, 무안지역에서 홍수 출하되고 있는 조생양파와 반입량이 늘고 있는 풋고추,청양고추 등 양념채소류가 하락세 거래됨.
반면 근교에서 출하되고 있는 시금치, 아욱, 근대, 얼갈이 배추가 가격하락과 주말장대비 물량 조절로 반입량이 적어 일제히 오름세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3.19 전일대비 -2.45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3.19 전일대비 5.27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96톤으로 전일대비 3%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5월들어 시장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물량 증가폭도 확대되면서 5월 두째주까지 약세로 거래되었으나, 전주후반부터 물량증가폭이 둔화되었고 금주들어 계속해서 100톤이하의 물량이 반입되면서, 시장 유통량 감소로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세 전환되었음. 전일 반입량이 대부분 소진된 상태에서 금일 반입량도 95톤으로 전일대비 약 5톤 정도 감소하면서, 적정 시장 유통물량에 비해 반입량이 적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시세는 전일에 이어 오름세 거래되었음. 금일 반입된 상추 총 수량은 4kg 상자를 기준으로 23,900여 상자 반입되었고, 평균단가는 4,944원에 거래되었음. 적포기는 17,800여상자 반입되었고, 평균거래단가는 5,030원 이었음

미나리 총반입량은 94톤으로 전일보다 6%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남부지방의 출하가 마무리되었고, 시장 반입량이 대부분 인천과 경기지역에서 반입되고 있음, 시장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물량 증가폭도 5월들어 큰폭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물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가 원활하지 못해 시세는 약세를 보이고 있음, 현재의 소비수준을 감안할때 시장 반입량이 공급과잉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출하량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현재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많아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3.25 전일대비 -0.33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41.69 전일대비 -5.09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0.27 전일대비 -2.12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2.21 전일대비 -16.85
동 향 : 피망류는 47톤으로 전일대비 25%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최근 반입량 감소로 큰폭의 상승세가 이어지자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였음. 물량 증가로 시장 필요 물량이 충족되면서 시세는 큰폭으로 하락세를 보였음. 품종별로는 청피망의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파프리카류도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음. 양상추는 70톤이 반입되면서 14%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강원 횡성과 경기 광주등의 출하지역이 확대되면서 시세가 약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서양채소류도 반입량 증가로 대부분 하락 내지 보합세를 보였으나 비타민은 물량 감소로 큰폭의 오름세를 보임.

◈ 버섯류
가격지수 : 85.13 전일대비 2.83

향 : 금일 버섯류는 177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8%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소폭의 지수 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38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일 재고누적과 소비 감소로 특상품 중심 하락세를 형성하고 있으나 물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시세는 지난주대비 시세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경기, 충남, 강원 등지의 물량이 꾸준히 반입되고 있으며 경기 지역이 40%를 넘어 가장 많은 반입량을 보이고 있음. 양송이는 10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산지 출하량 감소와 소비지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 2kg 상품이 12,000원에 거래되었음. 생표고는 1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상품성 향상과 중도매인의 구매력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 팽이는 이번주 들어 상승세를 보여 산지 출하량이 증가해 50톤으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특품을 제외한 중상품의 소비는 감소해 보합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2.96로 전일대비 +1.38
동 향 : 수산물은 약세가 지속되면서 판매가 원활함을 보이면서 재고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갈치 및 삼치가 선도가 뛰어나 강보합세를 보였고, 조개류는 반입량이 감소한 바지락, 새꼬막이 강세를 형성. 연체류는 수입낙지, 미더덕이 입하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임.

◈ 생선류
가격지수 : 81.54로 전일대비 +2.05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월명기로 거래량이 없었으며, 냉동고등어는 주중 소비가 다소 부진하였으나 부산지역 출하량 감소로 보합세 유지.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나 중도매인 매수세가 꾸준함을 형성하며 보합세를 유지하였고, 일본산 냉장갈치는 체장이 커 상품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물량증가로 선도가 떨어지는 중품은 하락세. 꽁치 냉장수입은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주중 식자재 업체 주문량 감소로 약보합세에 거래. 조기는 대품 반입에 따른 중도매인 매수 증가로 오름세를 보였고, 삼치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대형선망 물량 반입으로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 대구는 반입량이 저조한 가운데 중․소형품 위주 거래로 약보합세를 나타냈고, 최근 강세에 거래되었던 병어는 판매저조에 따른 중도매인 매수부담 가중으로 하락세. 아귀는 국내산 반입량이 꾸준함을 보인 가운데 체장이 다소 작아 상품중심으로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임연수어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대품은 매기가 뛰어나 강세를 보였으며 중․하품은 물량 증가로 약보합세. 활어류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가운데 체장이 큰 자연산 돔류가 강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89.34로 전일대비 +3.53
굴은 통영산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중 판매량 감소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에 거래. 바지락은 국내산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크게 감소하고 씨알이 커 강세에 거래되었으며, 수입물량 역시 상품성이 뛰어나 강세를 나타냄. 홍합은 패류독 영향으로 시세 및 출하량이 부진한 가운데 금일은 선도가 뛰어난 여수산 상품은 오름세를 보임. 전복은 가격하락으로 출하지에서 상품위주로 출하를 선호하여 강보합세를 나타내었고, 새꼬막은 벌교 및 여수산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함.

◈ 연체류
가격지수 : 131.19로 전일대비 +5.71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감소하면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나타내었고, 수입쭈꾸미는 중국산 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이 많아 중도매인 구매의욕이 감소하며 약보합세에 거래. 물오징어는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일정함을 보이는 가운데 금일은 체장이 커 강보합세를 보였고, 냉동오징어는 꾸준한 소비로 인해 반입량이 증가하였음.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물량을 확보하려는 중도매인들이 늘어나 강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