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4(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4(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2.32 전일대비 1.11
《 강세 요인 》
○ 열매,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전일 재고소진, 생육부진으로 출하량 감소하면서 강세
- 오이, 호박, 가지는 기온 떨어져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 줄면서 시세상승
- 청피망, 홍피망, 아욱, 셀러리는 반입량 감소와 주초 수요 증가하면서 매수세 증가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채소류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증가하면서 약세
- 배추, 무, 대파, 쪽파는 전일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거래되어 금일 산지 출하량 증가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3.32 전일대비 1.07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7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5%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54%, 논산 20%, 익산 11%, 이천 8%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500-23,000원, 논산 5,000-22,000원,
- 익산 5,000-21,000원, 이천 5,500-20,000원 거래
- 호박고구마는 익산 5,000-18,000원, 서산 3,000-18,000원
- 전일 재고물량 확보로 금일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고가형성으로 거래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7,999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186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0%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1%, 정선 8%, 강릉 8%, 서산 7% 등 반입
- 평창 2,000-29,000원, 정선 8,000-24,000원, 강릉 2,000-23,000원.
- 강원지역 우천으로 작업 부진하면서 반입량 크게 감소. 재고 증가로 거래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6,791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6.85 전일대비 -2.19
◇ 양배추-내림세
- 전일에 이어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반입된데다 가격부담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367톤으로 전일대비 0.6% 감소하였으나 전일이 주초인 점을 감안하면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됨
- 출하지역은 평창 72%, 태백 8%, 영양 5%순으로 평창지역의 물량이 압도적으로 많으나 비중이 점차
낮아지면서 인근 지역으로 출하지가 넓어지는 추세임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4,225원, 보통 2,91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7%, 3.9%하락함
- 최근 잦은 비로 망가진 물량이 많아 상품성이 하향 평준화되면서 저가품의 내림세가 두드러짐
- 지역별 단가는 평창 3,285원, 태백 2,820원, 영양 3,996원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비슷한 가격대였으나
태백은 비교적 낮게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7.03 전일대비 35.16
◇ 호박-내림세
- 전주부터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었으나 반입량이 늘지 않고 있음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123톤, 쥬키니 19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출하됨
- 늦더위가 물러갔으나 잦은 비로 일사량이 부족해 착과가 지연되는 등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하기
때문으로 보임
- 따라서 물량 부족으로 금일도 가격 강세가 이어짐
- 상품 기준 애호박 20개 23,838원, 쥬키니 10kg상자 19,96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2.7%, 32.1%
상승함
- 애호박은 화천, 춘천, 양주에서, 쥬키니는 홍천, 횡성, 인제에서 출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9.2 전일대비 -12.65
◇ 무-내림세
- 물량부담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597톤으로 전일대비 27% 증가하였은데 전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데다 일기가
좋아 작업량을 늘렸음
- 출하지역은 평창 34%, 강릉 23%, 양구 21% 순으로 평창의 물량이 크게 증가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2,377원, 보통 10,29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7%, 14.8%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8.7 전일대비 -3.81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73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0% 증가.
- 무안 50%, 함평 20%, 해남 8%, 함양 4%, 청도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75-575원, 함평 331-483원, 해남 190-50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해남, 청도지역 가저장 양파 출하량 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62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내림세
- 금일 20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 감소.
- 강원 평창 30%, 경기 이천 21%, 고양 13%, 안성 6%, 여주 4% 등 반입
- 평창 1,200-1,500원, 이천 400-1,380원, 고양 960-1,400원
- 전일 고가 거래로 거래 부진하여 재고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362원으로 전일대비 30%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57.24 전일대비 14.53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23.9% 감소한 34톤 반입
- 청피망 23톤, 홍피망 12톤이며 인제(44%), 춘천(4%), 평창(5%), 횡성(4%)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42,200원, 홍피망 12,960원으로 각각 37.%상승, 7.9%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8% 감소한 21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0톤, 노랑 8톤, 주황 3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김제(23%), 원주(18%), 춘천(17%), 진천(7%)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15,350원, 노랑 12,780원, 주황 15,320원으로 내림세 거래
- 산지 작업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익일 역시 강세 전망
◇ 양상추 - 보합세, 브로코리 - 내림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5% 감소한 45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45%, 중국 28%, 예산 11%, 평창 11%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 가격은 27,710원으로 전일 보다 52.7% 상승함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19톤 가량 반입되었으며
- 중국(50%), 평창(15%), 인제(9%), 횡성(7%)에서 출하되며
- 브로코리 전체 평균 가격은 22,140원으로 전일보다 9% 하락
◈ 버섯류
가격지수 : 91.28 전일대비 1.44
◇ 버섯류 - 약보합세
- 산지 출하조절로 전일대비 9% 감소한 183톤 반입
- 전일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주초 요식업체 구매 주춤하면서 약보합세 형성
◇ 표고 - 하락세
- 산지 작업량 감소로 전일대비 13% 감소한 23톤 반입
- 전일 중도매인 납품량에 비해 물량이 많이 들어오면서 재고량 누적
- 주초 외식업체 수요 감소
- 경북 청도 23%, 충북 영동 19%, 충남 공주에서 13% 반입
- 4kg 평균 35,801원으로 전일대비 8%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100.11 전일대비 +1.90
《 강세 요인 》
○ 기온하락으로 수산물 소비증가추세이고 반입량은 전일대비 감소하여 오름세
- 약세를 보였던 오만둥이, 아귀, 삼치 소비량 증가로 상승세에 거래
- 상품성 우수한 생태, 고등어, 재고량 감소한 바지락, 봉지바지락 강세
《 약세 요인 》
○ 가격 상승으로 판매부진한 수입낙지, 선도부진한 대구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9.16 전일대비 +4.33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일본산 갈치, 삼치 오름세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고등어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대형어 반입량이 늘었고 시장내 재고량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활기를 띠면서 오름세
- 갈치는 제주산이 조업부진으로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일본산 반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총 반입량은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음. 기온하락으로 소비량이 증가추세를 보였고 제주산 출하가 감소하면서 제주 및 일본산이 강세를 나타냄
- 하락세를 보였던 삼치는 충무, 삼천포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나고 체장이 큰 포항산이 반입되어 상품이 강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대구, 병어, 숭어류 하락세
- 대구는 죽변, 안흥산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줄어들었음. 상품은 선도가 우수한 죽변산이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중품은 안흥산이 체장이 작아 약세 주도함.
- 병어는 나라도, 충무, 여수, 삼천포산이 거래되었으며 5kg상자는 여수산이 전일에 비해 선도가 떨어져 내림세를 보였고, 10kg상자는 나라도, 충무산이 체장이 작아 약세 형성함.
- 강세를 보였던 숭어류는 주중 횟감수요 부진예상과 가격상승으로 판매량이 줄어들어 하락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23.58 전일대비 +17.23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홍합, 동죽, 깐바지락, 소라 오름세
- 굴은 통영산 출하량이 1톤 감소하였고 기온하락으로 소비량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 - 바지락은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을 보였으나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가 꾸준히 형성되면서 강세에 거래. 겉바지락은 장항, 안면도산이 씨알이 커 오름세를 보였고, 봉지바지락은 태안산이 상품성 양호와 전문점 수요증가로 강세
- 새꼬막은 가격하락으로 순천산 출하량이 전일대비 1톤 감소하였으며 전일 가격하락으로 시장내 재고량은 줄어들면서 오름세
- 소라는 장항산 출하량이 늘어났으나 전일에 비해 씨알이 큰 물량이 거래되어 오름세
- 15kg그물망 홍합은 여수산이 상품성 양호로 강세에 거래되었고, 동죽은 기타 패류 가격상승으로 대체 수요가 늘어 상승세를 나타냄.
- 깐바지락은 삼천포산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요식업체 주초 수요는 지속되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출하량 증가하였고 상품성이 저조한 겉바지락 하품은 내림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15.36전일대비 -9.22
《 강세 요인 》
○ 물오징어, 오만둥이, 미더덕 강세
- 물오징어는 어군 형성 부진으로 안흥, 죽변산 출하량 감소하여 전일대비 7톤 감소함. 안흥산은 체장이 커 상품 시세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죽변산은 체장이 작아 하락세
-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 출하량이 늘어났으나 최근 가격하락에 따른 소비량 증가로 시장내 재고가 줄어들어 강세
- 미더덕은 마산산 반입량이 전일수준으로 보였으나 상품성 양호하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이 꾸준함을 보이면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근해냉동오징어 약세
- 수입낙지는 중국산 출하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고가 형성 지속으로 수요가 냉동낙지로 분산되어 내림세에 거래
- 근해 냉동오징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시장내 재고 충분으로 내림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