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14(화) 지수 및 가격동향
2008.10.14(화) 지수 및 가격동향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2.02 전일대비 3.37
《 강세요인 》
○ 조석으로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온도에 민감한 품목 위주로 오름세.
- 정식기 가격약세와 유가 상승에 따른 재배면적 감소로 오이, 호박 등 열매 채소류 상승세 주도
- 버섯류도 장기간 약세가 이어지면서 생표고, 느타리, 새송이 등이 출하량 감소와 소비 증가로
오름세
《 약세요인 》
○ 전일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 소비가 주춤하면서 내림세로 반전
- 감자, 고구마 재고량이 많고 가격부담으로 수요량이 줄면서 내림세로 돌아섬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5.01 전일대비 -3.41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1.78 전일대비 -0.46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8.77 전일대비 22.6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6.23 전일대비 2.39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8.62 전일대비 1.72
◇ 양파 - 보합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556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1%가량 증가함
- 전남 무안, 함평, 경북 김천, 문경 등에서 주로 출하. 환율 상승으로 중국산 물량 감소함.
- 출하량 및 소비 상황은 큰 변동이 없으며, 10월 들어 물량 감소 추세임.
- 산지 출하 조절 등으로 시세는 당분간 강보합세 지속 전망됨.
◇ 생고추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174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32%가량 감소함.
- 품종별 반입량은 청양 68톤, 일반풋고추 56톤, 꽈리 26톤, 홍고추 16톤임.
- 전일 큰 폭 가격 하락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시세 상승함.
- 산지 출하 대기량이 많은데다, 경기 침체로 소비 부진하여 당분간 약세 지속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6.95 전일대비 2.48
◇ 양상추, 브로코리 - 내림세
- 양상추는 금일 법인 반입 기준 73톤으로 전일 보다 1%가량 증가함
- 주 출하지는 강원 횡성, 평창, 충북 제천, 충남 당진, 서산 등지임.
- 경기 침체 영향으로 소비 둔화되어 낮은 시세 지속중임.
- 브로코리는 제천 54%, 횡성 19%, 평창 8%, 중국 6%에서 출하. 환율상승으로 수입량 감소.
-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 부진으로 10월 들어 내림세 지속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00.83 전일대비 6.63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381톤, 전일(232톤)대비 149톤 증가(164%)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0.48 전일대비 +2.79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42톤, 전일(94톤)대비 48톤 증가(152%)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5.42, 전일대비 +2.67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활 넙치(자연), 병어, 명태냉장수입, 갈치, 활농어(자연), 냉동꽁치, 감숭어, 갈치수입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활 돔(양식), 활농어 수입, 염장미역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102톤 반입, 전일(54톤)대비 48톤 증가(189%)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20.70 전일대비 +1.69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봉지바지락, 깐바지락, 동죽살(해락), 새꼬막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바지락수입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22.68, 전일대비 +17.35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낙지수입, 주꾸미수입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미더덕, 문어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7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1.34,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 금일 121톤 반입, 전일(110톤)대비 110톤 증가(110%)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3.78, 전일대비 -1.12
○ 건어류 전일대비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104톤 반입 전일(73톤)대비 31톤 증가(142%).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3톤)대비 2톤 감소(33%).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4톤)대비 같음(100%). 가격은 보합세.
- 김은 4톤 반입 전일(2톤)대비 2톤 증가(200%).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5톤 반입 전일(2톤)대비 3톤 증가(250%).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