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4.1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2006.4.1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4-17 02:48
※ 감자,고구마류, 열매채소류, 양념채소류, 뿌리채소류 시황은 목요일까지 쉽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8.95 전일대비 -1.96
동 향 : 농산물은 기온이 높아지면서 생육상태가 좋아지고 휴일 이틀물량분 작업으로 전체물량은 증가세를 보였음. 하지만 평소 주초장과 달리 수요가 늘지 않은데다 지난주말까지 실시되던 백화점 등지의 할인행사가 종료된 곳이 많아 고정수요층인 요식업소 등이 물량확보가 활발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량구매처의 수요는 둔화된 양상을 보였음. 부류별로는 양념채소류와 뿌리채소류의 하락세가 지수하락을 주도했으며 양파,열무,무,알타리 등의 하락폭이 컸음. 반면 주말중 나들이 수요증가로 소비가 활발했던 근교산 잎채소류와 버섯류 등은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6.51 전일대비 6.95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116톤으로 전일보다 3%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소비부진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시세는 전주후반을 기점으로 기상여건이 양호해지면서 소비심리가 다시 살아나면서 전주후반부터 소폭 오름세를 보였으며, 금주들어서도 주초 수요가 가세되면서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으나 물량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오름폭은 제한적이었음. 주초 물량 공백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황사 예보로 나들이 수요는 감소할것으로 예상되며, 금일 반입물량 또한 110톤이상 반입되어 유통물량이 풍부해져 있어 향후 시세는 하향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많아 보임. 금일 반입된 4kg상자 상추 평균 시세는 품종 구분없이 5,576원으로 전주 최저 평균시세에 비해 2,000원 가량 높게 형성되었으며, 적포기는 4kg상자당 5,169원으로 상추 전체 평균가격보다 400원 가량 낮게 형성되었음. 적포기 시세가 전체 평균가격보다 낮게 형성된 원인은 청상추의 반입량이 10%이상 감소하면서 시세가 큰폭으로 상승한데 원인이 있었음.
시금치 금일 반입량은 99톤으로 보다 6%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전일보다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주말 물량 공백에 따른 시장 재고량 감소와 주초 수요 증가로 납품 수요가 많은 박스시금치를 중심으로 오름세 거래되었으나. 외부시장 및 지방시장의 수요가 많은 단시금치는 판매부진으로 내림세 거래되었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3.89 전일대비 7.64
동 향 : 피망류는 46톤으로 전일대비 6%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전주 후반부터 40톤이상의 물량이 꾸준히 반입되면서 시장 재고가 누적되었고, 수출물량의 일부가 국내 유통물량으로 전환된 파프리카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파프리카의 소비가 감소하고 있어 시세는 하향안정세를 보이고 있음. 양상추는 54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출하지가 확대되면서 상품성이 좋아졌고 소비 또한 원활하게 형성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주초 물량 증가로 주초 수요에도 불구하고 보합세 거래된 품목이 많았으나, 치커리와 브로코리등은 오름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91.79 전일대비 8.31
동 향 : 버섯류는 주초 거래량 증가로 190톤이 반입되었으나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지수 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시세 하락으로 산지 물동량이 감소한 가운데 40톤이 반입되었으며 백화점 및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 마감으로 특품은 하락세를 보인 반면, 중상품은 소폭의 상승세 형성. 기온 상승과 일조량 증가로 경기, 충청 지역 물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경기 지역은 전체 반입량 중 34%, 충남 24%, 충북 15%, 강원 14.5% 순임. 양송이는 지난주 유통업체 수요 증가로 오름세를 형성하였으나 이번주 세일이 끝나면서 거래량이 감소해 내림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주초 21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거래가 활발해 강보합세에 거래됨. 그러나 상품성이 낮아 평년대비 시세는 20% 낮게 형성되고 있음. 팽이는 지난주 시세 하락으로 재고가 소진되면서 금일 오름세 형성. 47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증가하였으나 주초 유통업체의 거래가 활발해 강보합세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9.51로 전일대비 +2.55
동 향 : 수산물은 주말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재고량이 감소하여 시장 매기가 활발한 가운데 연체류 및 조개류 중심으로 오름세를 형성함. 생선류는 체장이 작았던 병어, 임연수어가 하락세를 보였고 조개류는 굴이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주말 소비 호조로 강세에 거래. 연체류는 수입낙지, 수입쭈꾸미가 주초 매기 호조로 강세를 나타냄.
◈ 생선류
가격지수 : 84.35로 전일대비 -0.23
동 향 : 고등어는 월명기 영향으로 생물반입량이 미미한 가운데 체장이 작은 고도리가 반입되면서 하품이 하락세를 나타냄. 냉동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형유통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갈치는 제주산 대형품 거래로 매기는 활발하였으나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일본산은 망 갈치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선도가 뛰어나 오름세를 나타냄.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중품위주로 재고량이 소진되면서 강보합세. 조기는 제주시 추자도산 반입량이 미미하나마 꾸준함을 보였고 체장이 큰 물량은 백화점 납품용 수요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 부세냉장수입은 지난주 토요일 시세상승으로 판매가 다소 부진하여 가격이 낮은 중․하품 위주로 거래됨. 삼치는 경남 부산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중․하품 중심으로 거래되면서 하락세 형성. 대구냉장수입은 중국산 물량이 선도가 떨어져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임연수어 역시 동해안산 반입량이 증가하고 체장이 작아 약세에 거래. 최근 오름세를 보이던 병어는 중도매인 판매부담이 가중되면서 선도가 다소 떨어지는 중․하품 물량 비중이 높아 약보합세를 나타냄. 활어류는 지난주 토요일과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며 체장이 큰 넙치(자연)가 강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21.70로 전일대비 +10.53
굴은 통영 및 고흥산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주말 소비가 원활함을 보이면서 재고량이 소진되어 오름세에 거래. 바지락은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지난주 토요일 시세상승으로 가격이 다소 조정 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북한산은 씨알이 커 평소수준에 비해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고 있으며 국내산과 시세차이도 거의 없음. 전복은 완도산 물량 증가로 하락세를 나타냈고 새꼬막은 여수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됨. 홍합은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30kg 그물망은 선도부진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15kg 망은 시세하락에 따른 소비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26.74로 전일대비 +8.16
물오징어는 조업 부진으로 거래량이 없었으며 냉동오징어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시세는 산지 물량 조정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음.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들쑥날쑥한 반입으로 중도매인 물량확보 심리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수입쭈꾸미는 중국산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여 오름세를 보임. 특히, 국내산은 반입량이 미미하였으나 체장이 크고 선도가 뛰어나 시세 상승을 주도함. 미더덕은 주말 소비호조로 요식업체 납품수요증가로 오름세를 보였고, 오만둥이는 최근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서 매기가 둔화되어 소폭의 하락세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