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08(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11.08(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13.83 전일대비 -7.53
동 향 : 농산물은 산지 우천으로 밀려있던 이틀치 대기 물량이 반입되면서 대부분의 품목이 하락세 거래됨. 전일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던 배추, 쑥갓, 아욱, 미나리, 시금치 등이 물량이 증가한 반면 판매가 부진하여 내림세가 컸으며, 양념채소류중 홍고추, 쪽파도 물량이 늘면서 하락세 거래됨. 반면 기온이 하락하면서 가계 소비량이 증가한 청양고추, 생표고, 양송이 등은 오름세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66.14 전일대비 6.89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7.81 전일대비 -24.13
동 향 :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4.66 전일대비 -12.44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4.73 전일대비 -3.81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0.74 전일대비 -11.29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5.16 전일대비 -5.18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84.3 전일대비 1.64
동 향 :버섯류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해 207톤이 반입되었으며 판매호조를 보이며 강보합세에 거래됨. 느타리는 생육하기 좋은 기온과 신규 출하 증가로 전일에 이어 반입량이 40톤을 넘어섰으며 우수상품 중심의 강보합세를 형성함. 특품을 제외한 중하품의 경우 보합세를 형성하고 있으며 재고누적으로 이번주 약보합세가 예상됨. 양송이는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형성하고 있으며 생표고는 특품 중심의 강세를 형성함. 생표고는 가을 표고의 출하가 이루어지면서 금일 46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4kg 상품이 18,500원으로 지난달 말 20,000원에 비해 1,500원 가량 하락함. 팽이는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나 고가로 인한 추가 상승이 어려워 보합세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104.09로 전일대비 +1.00
동 향 : 수산물 전체 반입량의 감소로 가격은 조개류를 제외하고 전부류가 전일에 비해 오름세로 거래됨. 활어류의 가격 상승폭이 컸고 대중어류는 갈치,고등어,조기가 오름세였고 청어, 삼치는 내림세로 거래, 조개류는 깐바지락, 꼬막이 오름세로 거래되었고 바지락과 굴은 내림세에 연체류는 생물오징어, 쭈꾸미는 오름세로 수입 낙지는 보합세에 거래됨.
◈ 생선류
가격지수 : 91.12로 전일대비 +1.94
동 향 : 생물 고등어는 부산산이 주반입되었고 반입량은 63톤으로 전일 대비 45톤 감소하여 가격은 오름세에 거래. 꽁치는 국내산 반입이 적어 원양산이 주반입되었고 반입량은 전일 대비 2톤 정도 증가하였고 상품성이 좋아 오름세에 거래. 조기는 목포 및 제주, 중국 수입산의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가격은 보합세에 거래되고 체장이 큰 것은 산지 비축 가공용으로 자체 소비되고 시장 반입품은 체장이 작은 것의 출하가 많음. 갈치는 전일에 비해 9톤 감소한 7톤이 반입되었고 제주산 생물은 체장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으나 매기 활발하였고 상품은 전일에 비해 강보합세이나 중품은 내림세였고 낸장 수입은 오름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89.76으로 전일대비 -3.07
동 향 : 굴은 18톤 반입되어 전일에 비해 10톤정도 반입량이 감소되었고 통영, 사천, 거제 고흥산이 주반입되나 양식 중굴은 상품성이 양호하여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거래도 활발하였으나 고흥, 순천산 잔굴은 상품성은 다소 낮은 편이나 반입이 적어 강보합세에 거래. 바지락의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4톤정도 증가하였으나 국내산은 물론 중국,북한 수입산의 반입량이 계속 증가하여 가격은 내림세였으나 상품성이 좋고 수요가 증가 추세였으며 토사 및 봉지 바지락은 약보합세에 거래, 꼬막의 반입량은 전일대비 2톤 감소한 6톤이었고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으나 국내산은 물론 북한 중국,일본산의 수입도 증가하였고, 참꼬막은 내림세에 거래. 홍합은 24톤이 반입되었고 수요 증가에도 지역간, 품위간의 가격차이가 크고 가격은 보합세에 거래. 서천,군산산 소라는 거래가 꾸준하고 상품성이 좋아 수요는 많으나 반입량 증가에도 오름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10.55로 전일대비 +6.17
동 향 : 물오징어는 동해안의 기상악화로 반입량은 11톤으로 전일에 이어 2톤 정도 감소하였으나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냉동 오징어는 7톤 반입되었으나 보합세에 거래. 수입산 중국 낙지는 9톤 반입되었고 수요 증가로 매기는 꾸준하나 재고누적으로 보합세에 거래. 쭈꾸미는 반입량이 전일의 50%인 3톤 반입되어 국산 및 수입산 모두 큰폭의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문어는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고정 수요처의 소비가 꾸준함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전일에 이어 반입량에 따른 가격 변동은 있으나 생물의 반입이 점차 증 추세이고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소비로 소폭의 오름세에 거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