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2.13(월)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2.13(월)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2-13 13:36

1. 농산물

가격지수 : 117.56 전일대비 5.33
동 향 : 농산물은 기온 상승등 전국적으로 기상 여건이 좋아지면서 정월 대보름 임에도 이틀분 작업 물량이 반입되어 전체적인 반입량은 증가하였음. 주초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이 증가하였고, 부류별로는 서류를 제외한 전부류가 오름세였고, 특히 서양채소류 중 케일.셀러리, 쌈채소류 중 청경채. 적상추. 청상추. 쌈추 등과 근교산 잎채소류는 쑥갓, 아욱, 근대, 부추 등이 오름폭이 컸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73.32 전일대비 -1.22
동 향 : 감자는 제주지역 일기가 좋아지면서 작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지종이 약보합세, 수미종은 하락세 거래되었음. 금일 반입량은 324톤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지종은 상품이 한상자에 14,000-18,500원, 수미종은 7,000-9,500원으로 약보합세 거래됨. 고구마는 반입량 감소로 한 상자에 14,000-18,500원으로 오름세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0.55 전일대비 12.63
동 향 : 배추는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852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대비 27% 증가하였으며 해남이 62% 출하된 가운데 진도가
25% 점유하여 반입량 증가가 두드러짐. 주말 일기가 호조를 보임에 따라 노지 작업이 활발하여 80% 이상 노지에서 물량이었으며 저장은 일부 반입되었으나 짓무르고 물기 많아 상품성이 다소 떨어짐. 물량이 증가한데다 주말 판매되지 않은 재고량이 많아 가격은 내림세에 거래됨. 특히 노지 작업이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망사이즈가 혼재(3개 이상)되거나 저장물량이 재선별 없이 출하됨에 따라 저가품 출하가 많아 중, 하품의 약세가 두드러짐. 10kg그물망 기준 상품 5,540원, 하품 1,950원으로 각각 9.2%. 35.7% 하락함.
상추
금일 반입량은 50톤으로 전일대비 20%가량 감소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주말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되어 출하 의욕이 감소되면서 반입물량이 큰폭으로 감소하였고 주말 물량 공백과 주초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세는 큰폭으로 상승세 거래되었음. 특히 거래물량이 적은 적상추의 상승율이 컸으며,적포기와 청상추도 상승세 거래되었음. 반입량에 따라 대소에 따라 시세 증감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기온이 상승하면서 생육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출하량이 소폭 증가할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세는 하향 안정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됨

시금치 금일 반입량은 105톤으로
전일대비 2%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섬초는 전일 대비 29%가량 증가한 62톤이 반입되었고 포항초는 전일대비 39%가량 감소한 18톤이 반입되었음. 근교산 박스 시금치는 9톤, 단시금치는 14톤이 반입되었음. 섬초는 생육여건이 호전됨에 따라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물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되었으나 포항초는 물량감소로 오름세 거래되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2.05 전일대비 8.97
동 향 : 오이는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도 따라 주어 오름세였음. 금일 반입량은 237톤이었으며 품종별 비율은 백다다기와 취청이 각각 46%, 54% 였음. 지역별로는 백다다기는 상주 57%, 고흥 26%, 공주 4.8% 순으로 지난 주말 이후 상주 물량의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취청은 순천 32%, 구례 29%, 강진 9% 순으로 출하되었음. 가격은 백다다기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40,250원, 취청 35,500원으로 각각 3.2%, 2.9% 상승하였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8.04 전일대비 7
동 향 : 무는 주초를 맞아 전체적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육지무는 반입량이 오히려 지난 주말보다 소폭 감소함에 따라 가격은 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제주무는 주말 일기가 호조를 보여 출하작업이 활발하여 전일보다 130여톤 늘어난 511톤이 반입됨. 반면 육지무는 지난주 가격의 지속적인 약세로 출하조절되어 금일은 245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0여톤 감소하였음. 18kg마대 기준 제주무는 최고 11,600원이었으며 주 거래가격은 7,500~8,500원으로 전일대비 1,000~1,500원 가량 하락함. 육지무는 최고 5,900원 주 거래가격 4,500~5,500원선으로 전일대비 500원 가량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8.74 전일대비 2.02
동 향 : 양파는 정월 대보름으로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였으며 큰 폭의 오름세 거래됨. 함평지역 출하량과 영천, 함양 지역 물량이 증가하였음. 금일 시세는 상품이 kg당 평균 768원으로 금년 들어 가장 높은 시세를 형성함. 대파는 359톤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상품이 한 단에 2,150원으로 지난주 평균 가격인 2,470원에 비해 하락세 거래됨. 풋고추와 청양고추는 대보름으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됨. 풋고추는 상품이 평균 91,500원으로 지난주 평균 가격 82,000원보다 오름세가 컸고, 청양고추도 113,000원으로 지난주 80,000-90,000보다 오름세가 크게 나타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9.14 전일대비 25.88
동 향 : 피망은 29톤이 반입되면서 전일 대비 22%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청피망은 시장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반입량으로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음. 주출하지인 경남 진주지역의 물량감소로 시장 전체적인 반입량도 감소하고 있어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음. 양상추는 69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5%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주초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는 물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되었고 기타 서양채소류는 주초 수요증가로 대부분 강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74.36 전일대비 3.72
동 향 : 주초 버섯류는 기온상승으로 인한 출하량 증가로 184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2%수준으로 증가. 느타리는 기온상으로 산지 작황이 호전되고 작업 여건이 좋아 금일 51톤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일 가격 하락으로 인한 조정을 보여 소폭의 오름세 형성. 그러나 설 이후 계속되는 장세 약화와 매기부진으로 2kg 상품이 6,750원에 거래되어 평년대비 25%하락한 시세 형성. 양송이는 재배지의 장기간의 주기현상과 산지 작황 부진으로 12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전일대비 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최근 시세가 낮게 형성되면서 산지 출하량 조절에 들어가 금일 반입량은
14톤으로 전일대비 69%수준으로 감소함. 팽이는 주초 반입량 증가로 5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6%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매기 활성을 보이며 소폭의 오름세 형성. 100g 상품이 135원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11.80로 전일대비 +2.48
동 향 : 수산물은 매기호조로 재고 소진이 원활한 가운데 상품성이 뛰어난 물량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가 체장이 작아 약세를 보였으나 갈치, 삼치가 선도가 뛰어나 보합세를 유지. 조개류는 외식업체 소비량이 많았던 깐홍합, 깐바지락이 강세를 보였고, 연체류는 냉동오징어, 쭈꾸미가 공급량 부족으로 강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88.67로 전일대비 +0.81
동 향 : 고등어는 월명기 영향으로 생물반입량이 미미한 가운데 대형품 어획부진으로 중․소형품 위주로 거래되면서 약세에 거래. 냉동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증가하고 대형품 물량출하가 활기를 띠면서 강보합세에 거래됨. 명태냉장수입은 반입량이 소폭감소하고 주말소비호조에 따른 재고량 감소로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강세를 형성함.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소폭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적고 금일물량은 선도가 뛰어나 강세를 형성함. 꽁치냉장수입은 일본산 물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매기가 꾸준함을 보이며 보합세 수준을 유지함. 냉동조기는 제주 추자도산 물량이 입하되었고 매기는 보통을 형성하며 강보합세에 거래됨. 중국산 냉동조기는 가정용 수요증가로 상품이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나 중품은 거래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냄. 삼치는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여수산 물량이 체장이 크고 선도가 좋아 강세를 주도하였음. 수입대구는 중국산 물량 반입이 2배가량 증가하면서 하품은 매수세가 둔화되면서 약보합세를 보임. 활어류는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품목이 많았음.
◈ 조개류
가격지수 : 117.24로 전일대비 +13.63

◈ 연체류
가격지수 : 126.39로 전일대비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