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12(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12.12(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5-12-12 11:49


1. 농산물

가격지수 : 125.76 전일대비 3.34
동 향 : 농산물은 대부분 품목의 주 출하지역인 충청 및 호남 서해안을 중심으로 계속 내린 눈으로 일부품목의 작업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주말 소비로 인해 시장내 잔유량이 감소한데다 주초 수요 증가로 시세가 상승한 품목이 많았음. 특히 쌈채소와 서양채소류 및 열매채소류의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상추, 열무, 깻잎, 청양고추 등이 강세에 거래되어 지수상승을 견인하였음. 반면 주말 시세가 강세를 형성하여 출하량이 크게 증가한 대파와 영하의 날씨로 상품성이 떨어진 일부품목은 하락세에 거래되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55.23 전일대비 4.95
동 향 : 감자는 276톤 반입되어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제주도 가을감자 출하량이 130톤으로 많은 양을 차지함. 김천 지역 하우스 감자 출하량도 금일 반입량중 27%로 많았으며 20kg상자가 최고 26,000원이었으며 제주도 대지종은 30,000원까지 시세가 형성됨. 금일 감자 시세는 물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주초 수요량 증가로 주말대비 강보합세 거래됨.
고구마는 57톤(경매) 반입되었으며 이중 익산 18%, 여주 22%, 논산 15%, 영암 7% 반입되었으며 지난주 보합세 유지.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1.61 전일대비 6.19
동 향 : 배추는 주산지에 눈이 온 곳이 많고 기온이 다시 떨어져 출하작업에 어려움을 겪자 토요일 작업된 물량이 대부분 출하됨. 따라서 주초 2틀 물량임에도 지난 토요일보다 3.2% 감소한 875톤이 반입됨. 월동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해남지역이 전체 물량의 47%가 점유하여 출하지 집중비중이 높아졌고 그밖에 고창, 영암, 무안, 나주 강릉 등지에서 출하되었음. 가격은 5톤 트럭기준 상품 391만원, 중품 339만원으로 각각 7.1%, 1.2% 내려 물량감소에도 가격은 오히려 떨어졌음. 기온이 많이 낮아 중도매인 참여율이 저조하였고 시장을 찾는 이용객도 크게 감소하였음. 냉해 입은 물량이 출하가 늘어 상품성도 전반적으로 떨어짐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51톤으로 전일대비 5%정도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주말 수요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던 상추는 청상추와 적상추의 물량이 큰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나 적포기는 주말 재고가 누적되면서 약보합세를 보였음. 적포기는 주말 휴장에 따른 물량공백 해소를 위해 주말 매기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강추위로 인해 소비가 원활하지 않아, 주초 매기형성이 부진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청상추와 적상추는 물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음.
부추는 53톤이 반입 되면서 전일대비 13%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주말 물량 공백해소를 위한 주문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음. 전반적인 물량 감소로 인해 시세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강추위로 인해 소비활동이 둔화되면서 지난주에는 내림세를 보였으나 주말을 기점으로 재차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0.53 전일대비 7.63
동 향 : 오이는 주초 2틀 물량에다 지난 주말 가격 오름세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음. 213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보다 35.6% 늘었으며 취청가격이 예년보다 강세를 보이자 취청 반입비중이 증가하였음. 품종별 점유비중은 백다다기 60%, 취청 35%였으며 백다다기는 상주, 고흥, 공주에서 취청은 보성, 순천, 강진에서 출하되었음.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34,750원으로 전일대비 8.6%, 취청 41,500원으로 전일대비 2.5% 상승하였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5.89 전일대비 4.47
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이 552톤으로 전일대비 30.1% 감소하였는데 기온이 낮아진데다 눈 오는 지역이 많아 출하작업이 부진하였기 때문임. 따라서 저장 마대무가 전체 반입량이 73%정도를 점유하여 시장을 주도하였으며 가격은 상품성이 좋은 특, 상품은 내림세였으나 중, 하품은 올라 등급간 엇갈렸음. 18마대 기준 상품은 6,850원으로 4.9% 하락하였고 하품은3,980원으로 29% 상승. 기온이 낮아 산지에서 냉해피해를 입은 물량이 많이 반입됨에 따라 판매가 되지 않고 회차하는 차량이 늘고 있으며 경락 후에도 상품성 차이로 중도매인과 분쟁이 일부 발생하고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5 전일대비 1.98
동 향 : 양파는 661톤 반입되었으며 전체반입량중 지역별 반입비율은 무안 54%, 해남 11%, 함평 8%, 영천 6%임. 지난주 오름세를 형성하면서 금일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지난 주말대비 약보합세 거래됨. 대파는 지난주 강세를 보이자 금일 반입량은 273톤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주말대비 큰폭의 하락세 거래되었음. 지역별 경락가격은 진도 1750-1100원, 신안 1750-1250원, 부산 2060-1720원임. 금주 대파 가격은 물량이 서서히 증가하면서 약보합세가 예상됨. 풋고추는 42톤으로 지난주초에 비해 증가하엿으며 주말대비 강보합세, 물량이 적었던 지나주초에 비해서는 하락세 형성함. 상품 10kg 상자가 평균 32,000원으로 지난해 동기 35,000원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5.29 전일대비 21.07
동 향 : 피망은 전일대비 17%가량 증가한 49톤이 반입되었음, 전일 대비 물량은 증가하였으나 주초 수요가 형성되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고, 양상추는 44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7%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추위로 인해 시장 구매 비율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도 대부분 주초 수요로 인해 오름세를 보였으나 파세리는 물량 증가로 내림세를 보였음.

버섯류
가격지수 : 96.29 전일대비 0.49
동 향 : 버섯류는 주초 이틀 물량 반입으로 전일보다 소폭 증가한 179톤이 반입되었으며 새송이, 생표고, 팽이 등은 거래 활성을 보였으나 양송이의 약보합세로 전체 버섯류 지수는 보합세 형성. 최근 약세를 보인 느타리는
스티로폴 작업분 및 일반 균상 재배 물량 감소로 소폭 오름세를 보여 2kg 상품이 8,250원에 거래됨. 주초 유통업체 및 식자재 업체의 주문량 증가로 매기 활발. 양송이는 지난주 반입량 감소로 강세를 형성하였으나 금일 이틀 물량 반입으로 반입량이 17톤으로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 새송이는 50톤이 반입되어 전일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주초 주요 납품업체의 주문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폭설 피해 이후 물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으며 금일 주초 수요 증가로 오름세 형성. 팽이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96% 수준으로 감소한 가운데 주초 유통업체 수요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8.41로 전일대비 +0.52
동 향 : 수산물은 전국적인 강추위로 인하여 어획량은 감소하였으나 이틀치 물량 반입으로 입하량은 토요일에 비해 증가하였고 주초 매수세 활발로 지수는 소폭 상승함. 생선류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한 고등어, 대구가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조개류는 굴, 소라가 반입량 증가하였음에도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과 선도가 좋아 강세에 거래. 연체류는 수입낙지, 물오징어가 반입량 증가와 함께 소형품위주로 거래되어 약세를 형성.

◈ 생선류
가격지수 : 97.68로 전일대비 +2.25
동 향 : 고등어는 남해상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물량이 토요일에 비해 30톤 가까이 감소하였으나 대형품은 높은 가격에 따른 매수세 부담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보합세를 나타냈고 소형품은 가정용 수요 증가로 강세에 거래. 냉동고등어는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형성함.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물량 증가하였으나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활발로 보합세를 유지. 갈치는 수입물량 및 냉동물량이 증가한 가운데 제주산 물량 감소로 대형품위주로 강세에 거래. 냉동조기는 반입물량이 토요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시세는 상품시세가 체장이 작아 소폭의 하락세에 거래. 삼치는 반입물량이 증가하면서 소폭의 하락세를 형성. 특히, 체장이 작은 하품은 거래부진으로 하락폭이 컸음. 대구는 동해안 풍랑 여파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강세를 나타냄. 활어류는 추위에 따른 산지 어획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강세에 거래됨. 특히, 활넙치(자연)가 강세를 보임.

◈ 조개류
가격지수 : 108.98로 전일대비 +4.71

◈ 연체류
가격지수 : 108.56로 전일대비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