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12(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33.41 전일대비 -0.4
《 강세 요인 》
○ 잎, 양념, 서양 채소류는 낮기온 상승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얼갈이, 양배추, 청상추는 반입량 줄고 지방 소매상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쪽파, 피망, 파프리카, 셀러리는 반입량 감소와 중소형마트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열매, 뿌리 채소류와 버섯류는 산지 기상호조로 출하 증가하면서 약세
- 취청오이, 쥬키니호박, 열무는 생육이 좋아 출하작업 활발하면서 물량 증가로 시세하락
-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은 납품업체 주문 감소와 낮기온 상승으로 소비부진하면서 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4.35 전일대비 -2.67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134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6%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5%, 논산 22%, 익산 10%, 이천 8%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19,500원, 논산 2,000-19,000원,
- 호박고구마는 고창 8,000-23,500원, 익산 3,000-25,500원
- 남부지방 기상호조로 출하작업 늘면서 서산, 익산, 강진 등 출하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624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보합세
- 금일 347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5%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9%, 강릉 9%, 정선 9%, 고성 6% 등 반입
- 평창 2,000-28,000원, 강릉 2,000-20,000원, 정선 2,000-17,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경남 창원 등 남부지방 저장감자 출하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6,925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61.63 전일대비 1.16
◇ 배추-오름세
- 전일 가격이 오름세였던 데다 추석을 2주 앞두고 산지에서 작업량을 늘려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1,121톤으로 전일대비 6.9% 증가하여 김장 성수기인 12월 초순과 비슷한 물량이
출하됨
- 출하지역은 태백 25%, 강릉 20%, 평창 20%, 정선 19%에서 출하되어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작업량이
증가하였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9,025원, 보통 6,90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3%, 5.0% 하락함
- 추석대목으로 소비량이 꾸준하나 출하량이 워낙 많아 상승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웠음
- 여전히 강릉지역의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한 가운데 평창지역도 평균가격 이상에 거래된
물량이 많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68.13 전일대비 -33.72
◇ 오이-오름세
- 추석대목을 앞두고 소비가 제수용품으로 집중된 데다 반입량도 늘어 내림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08톤, 취청 99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10.9%, 26.8% 증가함. 이는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에 비해서도 각각 44%, 77% 많은 물량임
- 백다다기는 춘천 61%, 홍천 9%, 철원 6%에서 취청은 천안 37%, 여주 25%, 안성 6%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6,760원, 보통 20,02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1%, 10.9% 하락하였고
- 취청 10kg상자 상품 20,873원, 보통 16,22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1.6%, 26.7% 하락함
- 백다다기는 철원, 취청은 천안지역 물량이 거래를 주도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9.5 전일대비 -0.67
◇ 무-오름세
- 기상여건이 호조를 보인데다 추석대목을 겨냥한 물량 출하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도
늘어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825톤으로 전일대비 48.7% 증가하여 9월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출하됨
- 출하지역은 평창 39%, 홍천 20%, 강릉 16% 순으로 전일에 평창과 정선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졌음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0,441원, 보통 7,67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 0.1% 상승함
- 최고가는 14,2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고 지역별 평균가격은 평창 8,959원, 홍천 8,345원,
강릉 8,863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1.01 전일대비 6.6
◇ 생고추 - 강세
- 전체적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강세에 거래됨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19.2% 감소한 212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8톤, 일반풋고추 48톤, 꽈리 17톤, 홍고추 79톤 반입
- 청양 고추는 인제(64%), 춘천(13%), 홍천(9%), 양구(3%), 횡성(3%)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2,380원으로 전일 보다 0.1% 상승
- 일반 풋고추는 춘천(26%), 인제(26%), 홍천(24%), 양구(2%)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31,700원으로 전일보다 17.1% 상승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46%), 예산(36%), 횡성(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5,330원으로 전일보다 1.7% 상승
- 강원도 지역의 날씨가 차가워져 점차 출하물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96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6% 증가.
- 무안 48%, 함평 16%, 밀양 5%, 해남 4%, 정읍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25-563원, 함평 113-491원, 밀양 383-469원 거래.
- 남부지방 기상호조로 추석 앞두고 단위 조합별 저장양파 출하작업 증가.
- 상품성 좋아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로 시세 급락 영향 미치지 못함
- 금일 상품 평균 456원으로 전일대비 7%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내림세
- 금일 24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 감소.
- 강원 평창 31%, 정선 10%, 경기 이천 16%, 여주 7%, 고양 7% 등 반입
- 평창 500-1,380원, 정선 400-1,330원, 이천 200-1,330원, 여주 450-1,240원
- 경기 및 충청지역 생육부진에 따른 상품성 저하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지난 주 대파 가격 고가거래로 소비부진 여파가 계속되면서 소매상 수요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1,154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265.96 전일대비 9.93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1.5% 감소한 33톤 반입
- 청피망 24톤, 홍피망 9톤이며 인제(37%), 춘천(9%), 횡성(9%), 평창(4%)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60,400원, 홍피망 17,660원으로 각각 31.8%, 9.4% 상승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7.4% 증가한 11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6톤, 노랑 4톤, 주황 1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춘천(18%), 남해(12%), 강릉(11%), 인제(10%), 화성(8%)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23,820원, 노랑 20,800원, 주황 20,540원으로 오름세 거래
- 물량은 적고, 추석 전 물량 확보위한 소비 활발하여 익일 강보합세 전망
◇ 양상추, 브로코리 - 내림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 보다 33% 감소한 40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40%, 춘천 37%, 중국 15%, 여주 8%, 평창 3%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32,980원으로 전일 보다 9.8% 하락
- 금일 양상추는 상품성이 좋지 않은 물량 비중이 놓아 하락세 거래되었으며, 익일 약보합세 전망
- 브로코리는 최근 고단가로 반입량 큰 폭 증가하여 내림세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43.7% 증가한 23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중국(76%), 평창(5%), 횡성(9%), 인제(3%), 제천(2%)에서 출하되며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28,850원으로 전일 보다 11.8% 하락
◈ 버섯류
가격지수 : 94.31 전일대비 0.55
◇ 버섯류 - 강보합세
- 산지 작황호전으로 출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전일대비 8% 증가한 215톤 반입
- 급식업체 및 유통업체 납품이 활발한 양송이와 표고를 중심으로 오름세 형성
-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고, 주중 납품이 주춤하면서 시장 내 재고량 소폭 증가
◇ 표고 - 상승세
- 전일대비 4% 증가한 37톤 반입
- 요즘의 큰 일교차가 표고의 생육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고, 충청도와 경기도 일대의 물량이 증가추세
- 표고 발육조건이 좋아지면서 고품질의 표고의 생산량도 증가추세
- 충남 천안 27%, 경기 용인 14%, 충남 공주 11%, 경북 청도에서 10.5% 반입
- 고품질 표고 반입증가로 백화점 및 대형마트 납품증가
- 4kg 상품 평균 25,835원으로 전일대비 11%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87.80 전일대비 -3.34
《 강세 요인 》
○ 제수용품 수요 꾸준한 국내산 참조기, 출하량 감소한 삼치 오름세
《 약세 요인 》
○ 최근 반입량 증가와 제수용품 소외품목 판매부진으로 내림세
- 어획 호조로 출하량 증가한 고등어, 금어기 해제로 반입량 늘어난 수입낙지 약세
- 주중 요식업체 매수세 둔화로 수요량 감소한 생태, 물오징어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44 전일대비 -3.51
《 강세 요인 》
○ 갈치, 국내산 참조기, 삼치, 대구, 아귀 강세
- 갈치는 제주 채낚기 출하량 늘어났으나 일본산 반입량이 줄어들어 전일에 비해 10톤 줄어들었음. 제주산은 상품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보였고, 중하품은 최근 늘어난 물량으로 시장내 재고가 누적되어 내림세에 거래
- 국내산 참조기는 추석을 앞두고 소비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제주 및 목포산 출하량은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나타냄
- 삼치는 가격하락으로 여수, 죽변산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여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줄어들었음. 반입량 감소로 중소형어가 오름세를 보였으나 시장내 재고 충분으로 상승폭은 적었음.
- 하락세를 보였던 대구는 산지 출하량이 2톤 감소하고 전일에 비해 죽변, 속초산이 체장이 커 강세
- 아귀는 목포, 여수, 군산산 출하량 늘어났으나 선도가 양호하고 최근 반입량 부족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적어 오름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일본산 꽁치, 부세, 병어 약세
- 고등어는 어군 형성 양호로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 반입량이 8톤 증가하였음. 반입물량 증가와 주중 가정용 수요 둔화로 내림세에 거래
- 일본산 생태는 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이 6톤 줄어들었으나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시장내 재고가 증가하여 약세가 지속됨.
- 일본산 냉장꽁치는 출하량 늘어났고 주중 전문점 주문량이 줄어들어 약세를 형성하였고, 중국산 부세는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대형어 비중이 적고 최근 가격상승으로 판매 증가폭이 둔화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가 떨어져 내림세에 거래.
- 병어는 여수, 충무, 목포산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주중 소비 부진 예상과 전일 늘어난 물량이 시장내에 충분하여 내림세
◈ 조개류 82.64 전일대비 -12.70
《 강세 요인 》
○ 홍합, 가무락, 겉동죽 강세
- 홍합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마산, 여수산으로.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가격변동이 없었고래, 일반물량은 반입 감소로 강세였으나 요식업체가 주소비처였음.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흑모시가 소량 반입되어 오름세
- 겉동죽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강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소라, 해락 등 약세
- 굴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통영(충무)산이며 기온하락에 따른 요식업소 및 급식업체의 수요증가는 증가하나 반입 증가로 내림세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태안(안면도), 인천, 부안, 목포,고흥산이 반입되었음. 겉바지락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안면도산이 가격을 주도하였고 지역에 따른 가격 편차가 큰 편으로 내림세에 거래. 거래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전일 미판매분 및 겉바지락 하락으로 구매량이 줄어 내림세. 깐바지락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새꼬막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순천산이며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으나 매기부진으로 약세. 주소비처는 요식업체에서 가정수요로 점차 확산 추세
- 서천(장항)산 소라는 소량 반입에도 등급간 가격차이는 컸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부진
하여 내림세
-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으로 대체품인 깐바지락의 내림세로 대체수요 감소로 내림세
◈ 연체류 84.46 전일대비 -5.46
《 약세 요인 》
○ 전 품목이 매기부진으로 약세에 거래
- 생물오징어는 32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톤 증가. 태안(안흥)산이 주반입되었고 동해안산은 속초, 울진산이 소량 반입되었음. 동해안산은 체낙기 물량이 소량 반입되어 안흥산보다는 높은 가격이었으나 전반적인 가격은 전일에 비해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고, 선도와 상품성이 양호하여 대형유통업체의 세일행사 품목으로 대량 거래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6톤 증가. 수입물량의 급증으로 가격은 내림세였고 마리수, 크기 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상품성은 좋은 편이었음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으로 반입 물량 증가로 약세였고 전문 요식업소의 소비는 꾸준하나 일반 가정소비는 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