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0(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0(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9.99 전일대비 -1.08
《 강세 요인 》
○ 양념 채소류와 버섯류는 주중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증가로 강세
- 풋고추, 대파는 산지 출하량 적고 전일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늘면서 오름세
- 양송이, 팽이버섯은 중소형 마트 및 납품업체 주문 늘면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잎, 열매, 뿌리, 서양 채소류는 전일 재고증가와 금일 반입량 늘면서 약세
- 양배추, 취청오이, 쥬키니호박, 가지는 기온하락에 따른 소비부진 지속으로 내림세
- 무, 치커리, 청경채, 참나물, 감자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증가로 시세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1.53 전일대비 3.01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98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13%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논산 29%, 여주 16%, 충주 7%, 서산 6%, 보령 6%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5,000원, 논산 2,000-18,500원,
- 호박고구마는 논산 3,500-23,000원, 서산 1,500-21,000원
- 호박고구마 상품성 좋아지고 중도매인 물량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금일 중품 평균 7,670원으로 전일대비 12%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보합세
- 금일 27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2%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8%, 홍천 17%, 인제 14%, 강릉 9% 등 반입
- 평창 2,000-30,000원, 홍천 2,000-23,000원, 인제 2,000-22,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평창, 강릉지역 출하량 증가.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4,906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7.69 전일대비 -8.19
◇ 배추-내림세
- 지난 주말부터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어 가격 부담이 높아지고 반입량도 증가해 내림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948톤으로 전일대비 15.7% 증가하였으며 평창 25%, 태백 20%, 정선 9%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12,200원으로 강릉(안반데기)에서 출하되었으며 상품 8,102원,
보통 5,79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5%, 16.8% 하락함
- 금일 내림세에도 최근 급등세의 영향으로 지난 금요일 대비 20% 정도 높은 수준임
- 한편 소량이지만 양양, 문경, 봉화, 제천 등지에서 가을배추 출하가 시작되었음.
- 가을배추는 올해 재배면적이 10% 안팎 줄어들고 작황마저 좋지 않아 가격은 전년보다 높은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6.3 전일대비 -1.3
◇ 오이-내림세
- 주초부터 시작된 가격 내림세가 이어짐. 기온이 떨어지면서 소비량은 감소하나 생육호조로 반입량은
증가해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68톤, 취청 86톤으로 전일에 비해 백다다기는 15.1% 감소하였고 취청은
2.1% 증가함
- 주 중반인데다 가격 내림세가 지속되면서 출하를 서두르지 않아 반입량이 저조함
- 백다다기는 춘천, 연기, 천안에서 취청은 천안, 여주, 진천에서 출하됨
- 기온이 낮아지면서 강원지역은 춘천을 제외하고는 거의 출하가 종료된 것으로 보이며 충청지역이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4356원, 보통 18,27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9%, 7.6% 하락하였고
- 취청 10kg상자 16,231원, 보통 13,20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9.4%, 14.7%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8.85 전일대비 -4.24
◇ 무-내림세
-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재고가 소진되고 가을철 소비증가로 가격은 소폭 내린데 그침
- 금일 반입량은 567톤으로 전일대비 26.9% 증가하였으며 홍천 50%, 평창 19%, 강릉 9%,
정선 8% 등지에서 출하됨
- 주초부터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가 지속되자 금일은 작업량은 늘렸음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최고가 19,200원으로 홍천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15,230원, 보통 13,07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8%, 5.9% 하락함
- 가을철 소풍과 나늘이 인파 등으로 소비가 활발하였고 전일 재고량도 적어 늘어난 물량은 무난히
소화함
- 홍천 내면지역이 출하량이 많아 거래를 주도하였고 상품성도 좋아 가격이 비교적 높게 형성됨
- 기온이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생육이 호전되어 상품성도 점차 개선되는 추세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9 전일대비 4.98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1.2% 증가한 169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9톤, 일반풋고추 54톤, 꽈리 25톤, 홍고추 18톤 반입
- 청양 고추는 인제(40%), 광주(24%), 춘천(6%), 영암(5%), 나주(5%)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9,310원으로 전일 보다 17.5% 상승
- 일반 풋고추는 전남 영암(20%), 춘천(13%), 홍천(8%), 인제(8%), 나주(6%)에서 출하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7,940원으로 전일 보다 13.0% 상승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41%), 예산(29%), 광주(5%)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3,760원으로 전일 보다 3.9% 상승
- 생고추 반입량이 많지 않아 익일 강보합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3.09 전일대비 -5
◇ 피망, 파프리카 - 강보합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5.9% 증가한 50톤가량 반입
- 청피망 40톤, 홍피망 10톤이며 광주(31%), 인제(18%), 나주(16%), 춘천(6%)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8,980원, 홍피망 41,550원으로 각각 2% 하락, 17.2% 상승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13.1% 감소한 14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5톤, 노랑 7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춘천(13%), 강릉(10%), 화성(4%), 남원(4%), 평창(4%) 등임
- 노랑파프리카는 22,740원, 빨강 20,540원, 주황 34,350원으로 강세 거래
- 주중으로 접어들어 소비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여 익일 약보합세 전망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 보다 82% 증가한 68톤가량 반입됨
- 강원 춘천 32%, 횡성 20%, 미국 15%, 평창 10%, 여주 8%, 제천 5%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6,820원으로 전일 보다 25.8% 하락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44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30.9% 증가
- 중국(48%), 제천(21%), 횡성(11%), 평창(9%), 춘천(5%)에서 출하됨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13,590원으로 전일 보다 7.4% 상승
- 반입량 증가로 익일 약보합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95.29 전일대비 1.99
◇ 버섯류 - 오름세
- 기온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산지 재배량 감소로 전일대비 1% 감소한 191톤 반입
- 금주 들어 반입량이 줄면서 시장 내 재고량 감소
- 쌀쌀한 날씨로 찌개 ? 전골류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요식업체 구매 증가
- 주중 급식 납품 꾸준
◇ 팽이 - 오름세
- 산지 작황 부진으로 전일대비 8% 감소한 46톤 반입
- 경북 청도 61%, 충북 음성 15%, 경남 함양 9%, 전남 무안에서 7% 반입
- 반입량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가격 오름세 형성
- 유통업체 세일로 납품 증가
- 상품 100g 평균 158원으로 전일대비 7%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88.54 전일대비 -0.64
《 강세 요인 》
○ 산지 출하량 감소한 물오징어, 상품성 양호한 제주산 참조기, 소비량 증가한 굴 강세
《 약세 요인 》
○ 주초 수산물 반입물량 증가하여 시장내 재고 충분하고 주중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최근 강세를 보였던 고등어, 봉지바지락 주중 매기 부진으로 약세
- 재고량 증가한 수입낙지, 활 전어, 상품성 저조한 삼치, 아귀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80 전일대비 +2.64
《 강세 요인 》
○ 갈치, 참조기, 대구, 병어, 가자미 강세
- 갈치는 제주지역 풍랑주의보 발령 지속으로 채낚기 및 연승조업이 중단되어 제주산 출하량이 줄어들어 반입물량이 3톤 감소하였음. 일본산 출하량도 전일에 비해 줄어들어 물량 감소폭이 다소 커 제주산이 오름세에 거래.
- 일본산 낚시갈치는 제주산 반입량 감소 지속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였고 금일은 반입량까지 줄어들어 소폭의 오름세
- 최근 약세를 나타냈던 대구는 보령, 후포, 속초산 출하량 증가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음. 반입량 늘었으나 후포, 속초산이 선도가 뛰어나 시세 상승을 주도함
- 병어는 주중 소비 수요 감소 기대로 산지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었음. 금일은 제주도, 방어진 물량이 소량 반입되었으며 체장이 커 8kg상자가 상승세에 거래
- 가자미는 산지 출하량 감소하고 상품성이 뛰어난 포항산 백가자미 위주로 거래되어 강세 형성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삼치, 아귀, 전어, 숭어류 약세
- 고등어는 산지 조업여건 악화로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주초 소형어 위주 출하량 증가에 따른 시장내 재고 충분으로 내림세에 거래. 대형어는 수요에 비해 반입량이 적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소형어는 반입량이 꾸준하고 주중 소비수요 둔화로 약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감소하였으나 주초 늘어난 물량과 가격상승 부담으로 재고가 증가하여 하락세에 거래. 다만 중품은 반입량 감소와 저가에 따른 판매원활로 오름세
- 삼치는 여수, 통영산 출하량 감소하여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4톤 줄어들었음. 반입량 줄었으나 주로 거래된 여수, 영덕(강구)산이 체장이 작아 내림세
- 아귀는 전일 반입량 증가하고 시세가 상승하면서 시장내 재고가 늘었고 금일 중국산 반입량이 크게 늘어 약세에 거래
- 전어는 서산산 출하량 늘고 주중 요식업체 매수세 둔화로 약세를 보였고, 전일 강세를 보였던 숭어류 역시 주중 수요 감소로 하락세
◈ 조개류 87.89 전일대비 -4.78
《 강세 요인 》
○ 굴, 홍합, 동죽 오름세
- 굴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산이며 반입은 꾸준하나 수요처 증가로 거래량도 증가 추세. 등급간 가격차이는 큰 편이나 선도와 상품성이 양호하여 오름세.
- 홍합은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의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가격이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일반 물량도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거래가 늘어 오름세
- 동죽은 서산산이며 반입 감소와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 바지락, 겉소라, 해락, 가무락(모시조개) 약세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순천산이며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일본수입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국내가격 하락으로 거래되지 않았음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보성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망바지락은 산지에 따라 가격차이가 컸고 보성산은 타지역에 비해 가격이 낮았음,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재고량이 늘어 내림세
- 겉소라는 군산,서천산이 소량 반입,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컸으나 선도 부진으로 내림세
- 해락(깐동죽)은 대체품목인 깐바지락 가격하락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순산 흑모시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연체류 85.92 전일대비 +4.46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수입냉장낙지, 문어 강세
- 생물오징어는 3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선도와 체장이 크고 좋은 편으로 반입 감소 오름세.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증가 추세
- 주꾸미는 국내산과 중국산이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국내산은 여수산으로 출하자에 따라 선도와 상품성 차이가 컸으나 소량 반입으로 정상 거래 미형성. 수입산은 씨알과 선도 양호로 선호도가 높아 오름세에 거래.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반입량은 줄었으나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이 늘면서 강세
- 문어는 포항산 소문어의 반입이 많았으나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미더덕, 오만둥이, 산낙지 약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약보합세
- 산낙지는 중국수입산이며 반입이 소량이나 수입 냉장 낙지의 대체수요 증가로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