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28(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10.28(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19.67 전일대비 0.3
동 향 : 농산물은 주말을 앞둔 장치고는 일부 품목을 제외하곤 수요증가세가 크지 않아 시세 강보합세에 그침. 최근 강세장을 주도하던 배추가 강원산 끝물출하로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청상추와 시금치 등 엽채류는 고른 상승세를 보이며 지수상승을 주도했음. 시금치는 무안지역 육지초 박스물량의 증가로 점차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고 11월초순부터는 포항초와 섬초의 반입이 시작되면서 상품성에 따른 시세차별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 기타 감자수미종은 전반적으로 전일수준 시세에 거래되었으나 특품은 김제지역 이모작품 반입으로 오름세 형성.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83.14 전일대비 8.58
동 향 : 감자는 저가형성으로 반입량은 전일에 이어 크게 감소하였으나 소비 부진으로 보합세 거래되었음. 김제지역 이모작 감자가 첫 출하되면서 금일 특, 상품 가격을 형성하면서 고가에 거래되었으나 저장감자는 보합세를 형성함.. 김제지역 최고 경락가는 26,000원임. 고구마는 금일 반입량은 소폭 감소한 75톤(경매물량)이며 약보합세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5.84 전일대비 1.49
동 향 :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40톤으로 전일 대비 29%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최근 형성된 저단가로 인해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주말 수요가 겹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오름세를 보였음, 특히 반입량이 적었던 청상추의 상승폭이 컸으며, 적상추, 적포기도 대부분 상승세 거래되었음. 반입량이 급감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물량 감소폭에 비해 시세 상승폭은 제한적인 모습을 보여 여전히 매기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금일 상승으로 인해 주말장에는 반입량이 증가할것으로 예상되지만, 금일 물량 감소로 인해 시장 재고량 부족으로 인해 시세는 상승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9.8 전일대비 -2.56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3.65 전일대비 -1.01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4.03 전일대비 1.33
동 향 : 양파는 무안, 해남, 함평, 함양, 영천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반입량은 295톤으로 주초에 비해 절반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상품이하 등급에서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음. 전반적으로 양파 소비는 매우 부진하여 약세가 지속되고 있음. 대파는 이천, 고양, 구리, 남양주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대비 소폭 감소한 172톤 반입되었으며 보합세 형성하였음. 최고 경락가는 서산 1580원, 가평 1550원, 고양 1450원, 구리 1430원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1.04 전일대비 5.3
동 향 : 피망은 전일대비 15%가량 증가한 49톤이 반입되었지만, 주말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음. 피망 주출하지가 강원도에서 전라남도 나주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신규출하로 품질이 좋은 나주산이 강원도 고성산에 비해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양상추는 전일대비 3%가량 감소한 45톤이 반입되었고 물량 감소로 인해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지만, 주초 하락분을 만회하지 못하고 10,000원선이하에서 거래되어 매기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대부분 주중오름세로 인한 가격부담이 작용하면서 보합세를 보였지만 파세리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고, 치커리와 케일은 내림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9.35 전일대비 -1.84
동 향 : 주말을 앞두고 수요 기대 심리로 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산지 작황 부진으로 시장 반입량은 169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임. 느타리는 동절기 균상 준비로 작업량이 적은 편이며 주초 고단가 형성으로 인한 구매 부담으로 보합세에 거래됨. 물량 감소로 매기가 활발한 편임. 양송이는 부여지역의 반입량은 감소하고 보령 지역의 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비가 점차 살아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 생표고는 일교차와 안개 등으로 上品반입이 어려운 편으로 부여, 서천, 천안 지역은 작황이 좋으나 청양, 서산 지역은 부진한 편임. 강원권 우수 물량 출하로 특품 중심 고가 형성. 팽이는 최근 고가 형성으로 소비가 부진해 약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38로 전일대비 -0.73
동 향 : 수산물은 주말장임에도 우천에 따른 매기 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가 판매부진으로 내림세를 보였으나 명태냉장수입이 매기호조로 오름세를 보임. 조개류는 깐바지락, 깐홍합이 선도가 떨어지고 주말 나들이 행락객 증가여파로 수요가 감소하여 하락세를 나타냄. 연체류는 쭈꾸미, 수입낙지가 체장이 작아 약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89.88로 전일대비 +0.55
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고등어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고 재고가 누적되어 약보합세에 거래. 갈치는 매기가 보통을 보이며 보합세 수준에 거래되었으나 하품은 주말 수요 증가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명태냉장수입 일본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주말 요식업체 물량확보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에 거래. 꽁치냉장수입은 선도가 떨어져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냉동조기는 제주산 물량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나타냄. 수입조기는 중국산이 선도가 좋아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삼치는 반입물량이 크게 감소하고 가정용 소비수요 증가로 강세에 거래되었으나 하품은 거래가 부진하여 약세에 거래. 임연수어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를 형성. 아귀, 가자미는 체장이 작아 약세에 거래되었음. 활어류는 주말 소비수요 증가 기대로 전반적으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 조개류
가격지수 : 103.90로 전일대비 -2.83
◈ 연체류
가격지수 : 99.32로 전일대비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