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8.2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8.2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58 전일대비 1.6
《 강세요인 》
○ 주말장 수요 증가하였고, 야간 저온 현상 및 일조량 부족 등으로 생육 부진한 열매 채소류가 상승세 주도.
- 호박과 백다다기 오이 등이 상승하였고, 생강은 중국 수입량 부족으로 국내산이 큰 폭 오름.
- 휴가철 종료 이후 도심 소비 증가한 상추, 깻잎, 근대, 아욱도 상승
《 약세요인 》
○ 올 채소류는 전반적으로 태풍 피해 등이 없이 작황이 좋아 산지 출하물량이 많은 것이 약세 주 요인임.
- 강원도 평창, 인제 등 고랭지역에 출하지 한정된 무, 배추는 작황이 좋아 약세장 지속
- 기타 미나리, 연근, 마, 양상추, 풋고추 등오 하락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5.41 전일대비 -0.35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5.52 전일대비 8.71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6.18 전일대비 -0.1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8.19 전일대비 -7.97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2.23 전일대비 -0.55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6.21 전일대비 -10.37
◈ 버섯류
가격지수 : 92.31 전일대비 1.17
2. 수산물
금일 반입량 259톤, 전일(278톤)대비 19톤 감소(93%)
가격지수 : 116.331 대비 -1.74
《 강세 요인 》
○ 산지 어획량 감소에 따른 반입량 감소, 요식업체 수요 증가한 수입생태, 봉지바지락, 병어, 새꼬막 강세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 증가 및 재고량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감소로 인해 미더덕, 오만둥이, 양식활어 약세
◈ 생선류 : 금일 반입량 95톤, 전일(117톤)대비 22톤 감소
가격지수 : 98.82 대비 +0.9
《 강세 요인 》
○ 수입생태, 병어
- 수입생태는 반입량 감소 및 폭염이 끝나고 기온이 내려가 탕류 소비 증가로 인해 강세
- 병어는 금일 반입량이 크게 줄어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로 상승세
《 약세 요인 》
○ 양식 활어(돔, 광어, 우럭)
- 양식활어는 전일 반입량이 많아 제고가 증가하였고 수요가 증가하지 못해 약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604톤 반입, 전일(64톤)대비 4톤 감소(94%)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26.08, 전일대비 -16.50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봉지바지락, 바지락수입(중품), 소라(피뿔고동), 새꼬막, 가무락(모시조개), 홍합, 동죽살(해락)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바지락수입(상품), 깐바지락, 굴, 깐홍합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44.15, 전일대비 -1.17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문어(중)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미더덕, 오만둥이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7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4.94,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104톤, 전일(98톤)대비 6톤 증가(106%)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9.73,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89톤 반입 전일(82톤)대비 7톤 증가(109%). 가격은 강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5톤)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5톤)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톤 반입 전일(1톤)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7톤 입 전일(2톤)대비 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3. 축산류
□ 한·육우가격은약세, 돼지 가격은 소비 증가로 강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