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4.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4.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7.96 전일대비 3.27
《 강세 요인 》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데다 비가 그치면서 산지 작업 여건 호조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최근 출하량이 적어 재고물량이 소진되고 각급 학교 봄소풍 등으로 소비가 따라주어 오름세
- 요식업소 소비량이 많은 품목 위주로 오름세를 보여 잎채소류, 뿌리채소류, 서류등이 오름세 주도
- 품목별로는 쑥갓, 양배추, 상추, 미나리 등이 많이 오름
《 약세 요인 》
○ 최근 햇품 출하로 급등세였던 양파가 소비가 둔화되면서 오름세가 주춤해 양념채소류가 내림세였고
서양채소류도 출하량이 늘면서 약보합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88.57 전일대비 3.63
◇감자-오름세
- 주초 이틀치 물량 출하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357톤으로 전일대비 58.2%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 수미 324톤, 대지 31톤,
수입 2톤이 반입됨
- 제주산 월동감자 출하가 종료되면서 지난주까지 거의 출하되지 않았던 대지마가 남부지방에서
봄 감자가 일부 반입됨.
- 수미는 김제 60%, 밀양 16%, 당진 6%에서 출하되어 올해 저장감자는 사실상 출하가 종료된
것으로 보임
- 가격은 수미 20kg상자 기준 상품 37,567원, 보통 35,46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8%, 0.4% 상승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7.34 전일대비 8.66
◇배추-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 이틀치 물량 출하로 반입량이 지난 주말의 거의 두배가 출하됨
- 금일 반입량은 737톤으로 전일대비 83.5% 증가하였으며 해남 44%, 예산 35%, 안동 4%에서
출하됨
- 봄배추 출하가 증가하면서 반입비중이 50%를 넘어섬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470원으로 7.4% 상승하였으나, 보통 2,437원으로 15.8% 하락함
- 반입량이 많아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저장물량 반입 감소로 특, 상품은 오름세
- 해남에서 출하된 58사이즈 골판지 상자가 최고가를 기록했고 봄배추는 예산에서 출하된
50사이즈가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5.05 전일대비 3.58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9.95 전일대비 4.44
◇무-오름세
- 주초임에도 출하가 저조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77톤으로 전일대비 10.9% 증가하였으나 주초 물량이 평일대비 30-40% 많은
점을 감안하면 적은 편임
- 지난주 가격이 지속적인 내림세를 보인데다 지난 주말 산지 기상여건이 좋지 않아 작업량을 줄임
- 대부분의 물량이 제주산 월동무이나 광주에서 봄무가 1대 출하됨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5,963원, 보통 4,36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1%, 6.8%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8.43 전일대비 -1.45
◇ 양파 - 내림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1,045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38%가량 증가함
- 조생양파 출하가 본격화 되었으며,
- 제주 61%, 무안 25%, 중국 5%, 함평 3% 등의 점유를 보임
- 주초장 농산물 수요 증가하였으나, 반입량이 큰 폭 증가해 시세는 내림세
◇ 대파 - 내림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288톤 반입되어, 전 주말보다 19% 증가
- 아직까지 경기 일원 하우스 대파 출하량은 많지 않음
- 주출하지는 진도 43%, 신안 27%, 영광 13%, 부안 3%, 경기 일원 5%임.
- 주초장인데도, 소비 부진하여 소폭 내림세 거래
- 5월에는 경기 일원 대파와 전북 부안 지역의 봄대파 등이 주로 거래될 전망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6.71 전일대비 -1.07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3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2% 증가함
- 청피망 35톤, 홍피망 8톤가량임.
- 청피망 주출하지는 진주, 나주, 밀양, 홍피망은 광주, 진주, 나주 등임
- 파프리카는 32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19톤, 노랑 10톤, 주황 3톤가량임.
- 주출하지는 강진, 진주, 남해 등임.
- 전반적으로 낮은 시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금일은 주초 수요 증가로 소폭 상승함
◈ 버섯류
가격지수 : 95.63 전일대비 5.46
◇ 버섯류 : 소폭 오름세
- 반입물량이 198톤으로 주초 이틀치 물량으로 200톤 이상이 되어야하나 감소된 물량
반입.
- 우수품의 반입과 감소한 물량으로 소폭 오름세를 보임.
- 휴일 기온 저하로 작업애로 및 주초 매기강세
. 느타리버섯은 우수품의 납품주문량 증가로 시세 상승이 이루어졌으며, 소비자 소비가
활성화되고, 물량 반입이 꾸준함.
. 표고는 원목표고 물량의 감소 및 경기지역의 우수상품 출하로 소폭 상승세로 마감. 현재 소비지 소비
가 꾸준하여 강보합 전망되며 4kg상자당 특품은 33,000~50,000원에 거래.
. 팽이는 당일 출하량에 따라 시세 변동이 크며, 반입량이 줄어 시세는 보합세를 형성.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78톤 전일대비 9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2.52 전일대비 +1.17
○ 조개류 오름세 품목 : 깐홍합, 동죽살(해락), 바지락수입, 가무락(모시조개), 홍합, 봉지바지락, 굴
○ 조개류 내림세 품목 : 소라(피뿔고동), 새꼬막, 깐바지락, 냉동오징어, 동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30.42 전일대비 +3.72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미더덕, 주꾸미, 물오징어 중품, 오만둥이, 문어(중), 주꾸미수입(상품)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물오징어 상품, 문어(대), 주꾸미, 주꾸미수입(중품), 낙지수입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69톤 반입 전일대비 55톤 증가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5.87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5톤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 건멸치는 45톤반입 전일대비 4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3톤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8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8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