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8.1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8.1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99 전일대비 -1.42
《 약세요인 》
○ 지역적으로 집중호우가 내리는 등 일기가 불안정한 가운데 소비량이 적은 주 중반인데다
여름 휴가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 들면서 요식업소 등의 주문량이 줄면서 내림세
- 출하량 감소에도 더위가 주춤하면서 열매채소로류가 하락세를 주도하였고 서양채소류도
외식수요 둔화와 상품성 하락으로 내림세.
- 품목별로는 오이, 양상추, 피망, 근대 등이 많이 내림
《 강세요인 》
○ 그동안 오름세에서 소외되었던 품목 가격부담이 적고 출하량 감소로 오름세
- 예년의 절반수준이던 양배추가 고온피해와 저가로 산지에서 출하를 조절하면서 오름세로 돌아섯고
무도 배추가격의 강세영향으로 대체소비가 늘면서 상승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0.5 전일대비 3.47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5.14 전일대비 -1.3
◇ 양배추-오름세
- 금주들어 약세가 지속된 데다 대체 품목인 배추 가격의 강세로 소비량이 늘면서 큰 폭의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253톤으로 전일대비 17.7%, 최근 일주일 대비 9.2% 감소함
- 출하지역은 평창 79%, 청송 8%, 정선 5%에서 출하됨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3,180원, 보통 2,73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3.6%, 81.4% 상승함
- 강원지역 출하물량이 늘면서 상품성은 호전되었으나 최근 무더위 영향으로 잎 끝이 마르거나
짓무른 물량이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임
- 산지 출하대기 물량이 많은 만큼 금일 급등세는 지속되기 힘들어 보임
◇ 상추 - 내림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62톤으로 전일 보다 13%가량 감소함
- 주 출하지는 경기 이천, 용인, 광주, 성남, 충남 논산 등이며
- 지난 주말부터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난주 대비 64%가량 큰 폭으로 하락함
- 여름철 작황 부진으로 반입량 줄었음에도, 최근 소비가 따라주지 않아 약세장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1.22 전일대비 -11.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2.61 전일대비 15.21
◇ 무-오름세
- 주산지 비로 출하작업이 여의치 못했고 최근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재고물량도 적어 모처럼만에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11톤으로 전일대비 14.8%, 최근 일주일 대비 18.7% 감소함
- 지역별 출하비중은 평창 60%, 정선 32%, 영암 3%에서 출하됨
- 본격적이 하절기를 맞아 출하지역이 강원지역으로 한정됨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8,521원, 보통 6,99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2.7%, 36.4% 하락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9.68 전일대비 -1.15
◇ 양파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474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가량 증가함
- 이틀 연속 500톤 이하 반입되고 있어, 시세 소폭 상승하였음
- 전남 무안 64%, 함평 15%, 익산 6%, 함양 5%, 중국 3%에서 출하되었으며,
- 최근 다소 낮은 시세를 보이자 중국산 반입 주춤하는 모습임.
- 당분간 산지 출하 조절로 반입 물량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됨
◇ 대파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170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9%가량 감소함
- 경기 이천 23%, 안성 18%, 여주 12%, 평창 12%, 강릉 6% 등임
- 산지 우천으로 작업량 줄었고, 소비 원활한 편으로 전일대비 시세 8%가량 상승
- 그렇지만 표준가격 보다는 10%정도 낮은 수준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4 전일대비 -10.88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6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4%가량 감소함
- 반입량에는 큰 변동이 없었고, 우천 및 주중 소비 부진으로 시세 하락하였음
- 청피망 29톤, 홍피망 7톤 가량이며, 고성, 인제, 춘천, 평창, 홍천에서 주로 출하
- 파프리카는 22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9%정도 감소함.
- 빨강 11톤, 노랑 9톤, 주황 2톤이며, 어제에 이어 반입량 줄었고, 최근 소비 활발로 오름세
◈ 버섯류
가격지수 : 104.92 전일대비 -3.1
◇ 버섯류-내림세
- 반입량 감소에도 소비량이 적은 주 중반인데다 최근 흐린 이 지속되면서 상품성도 떨어져
가격은 내림세
- 생표고는 9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7.8% 감소하였고 수입(중국) 19%, 가평 9%, 양평 8%,
청도 9%에서 출하됨. 가격은 4kg상자 상품 기준 34,883원으로 전일대비 15.5% 하락
- 팽이버섯은 5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4.1% 감소하였으며 청도(61%), 괴산(9%), 음성(9%)에서
출하됨. 가격은 100g상품 기준 136원으로 전일대비 6.2% 하락함
- 느타리버섯은 3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7% 증가하였으며 양평(22%), 여주(17%),
구리(16%)에서 출하됨. 가격은 2kg상자 상품기준 6,128원으로 전일대비 0.8% 상승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30톤, 전일(237톤)대비 7톤 감소(97%)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1.75 전일대비 +0.51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88톤, 전일(91톤)대비 3톤 감소(97%)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4.13, 전일대비 +1.89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활 넙치(양식) 소, 활 농어(자연) (소)(대), 활 우럭(양식), 활 노래미(자연) (소)(중), 활 돔(자연) (소), 활 넙치(자연) (대), 활 점성어 수입(대), 활 우럭(자연) (소), 아귀(중)(상), 병어(특), 명태 냉장 수입(중)(상), 참조기(상)(중), 고등어(상)(하)(중), 갈치 냉장수입(상)(중), 도룩묵(중)(상), 삼치(중)(하)(상), 가자미(하), 갈치 냉동(상), 고등어 냉동(하), 임연수어 수입(하), 갈치 수입(중),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참숭어(소)(중)(대), 감숭어(소)(중)(대), 활 돔(자연)(대)(중), 활 도다리(자연)(중)(소), 활 농어(자연)(중), 활 노래미(자연)(대), 가자미(상), 갈치(하)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81톤 반입, 전일(91톤)대비 10톤 감소(89%)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7.69, 전일대비 -3.41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봉지바지락, (겉)바지락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동죽, 새꼬막, 가무락(모시조개), 굴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33.89, 전일대비 +2.02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물오징어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6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7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61톤, 전일(55톤)대비 6톤 증가(111%)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9.73,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48톤 반입 전일(44톤)대비 4톤 증가(109%).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3톤 반입 전일(2톤)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1톤 반입 전일(4톤)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3톤 반입 전일(1톤)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 전일(3톤)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