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4.25(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4.25(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4.28 전일대비 -0.29
《 약세 요인 》
○ 소비량이 많은 주말장이고 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가격은 오히려 내림세. 전일 기온이 떨어지고
새벽에 비가 내리면서 시장이용객이 줄어 수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함
- 노지 작업이 마무리된 무가 상품성 하락으로 약세가 지속되면서 뿌리채소류가 내림세를 주도했고
잎채소류, 서류, 서양채소류도 약보합세
《 강세 요인 》
○ 기온 하락으로 생육주기가 길어진 열매채소류와 주말 수요로 소비가 증가한 버섯류 오름세
- 품목별로는 요식업소 소비가 많은 상추, 느타리버섯, 시금치, 새송이 등이 강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76.1 전일대비 -0.27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9.38 전일대비 -1.35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1.76 전일대비 2.8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7.47 전일대비 -7.21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4.59 전일대비 -0.83
◇ 양파 - 오름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715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16%가량 증가함
- 무안 조생양파 출하량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 제주 45%, 무안 34%, 중국 10%, 함평 5% 등의 점유를 보임
- 양파 재배 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 등으로 산지 물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 주말장으로 외식 업체 등 수요 증가하여 오름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208톤 반입되었고
- 전남 진도 46%, 신안 31%, 영광 10% 가량이며,
- 최근 시세 상승 등의 원인으로 출하 지연되었던 경기 일원 하우스 대파 출하 시작됨
- 주말장 수요량 증가와 진도, 신안 지역이 출하 막바지에 접어들어 물량 감소 추세임
- 5월에는 경기 일원 대파와 전북 부안 지역의 봄대파 등이 주로 거래될 전망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5.68 전일대비 -0.52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1톤 반입되어, 전날과 비슷한 수준임
- 청피망 31톤, 홍피망 10톤가량임.
- 주출하지는 진주, 나주, 광주 등이고, 상승세 지속되었으나 소비 부진으로 금일 하락세.
- 파프리카는 22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13톤, 노랑 8톤, 주황 1톤가량임.
- 주출하지는 화성, 진주, 화순 등임.
- 낮은 시세 지속으로 저가 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함
◈ 버섯류
가격지수 : 95.45 전일대비 4.04
◇ 버섯류 : 소폭 오름세
- 반입물량이 186톤으로 전일 (185톤)과 비슷한 물량 반입.
- 우수품의 반입 및 감소한 물량으로 소폭 오름세를 보임.
. 느타리버섯은 전일 보합세를 형성하였으나 금일은 우수품의 납품주문량 증가로 시세
상승이 이루어졌으며, 명일은 주휴무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 예상.
. 표고는 경기지역의 우수상품 출하로 어제에 이어 소폭 상승세로 마감. 현재 소비지
소비가 꾸준하여 강보합 전망되며 4kg상자당 특품은 33,000~50,000원에 거래.
. 팽이는 중도매인의 재고증가로 하락세 형성 당분간 소비 주춤으로 약보합세 전망
. 양송이는 전일에 이어 우수품의 지속적인 납품증가로 매기 활발하였고,
. 새송이는 강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9.20 대비 +0.39
《 강세 요인 》
○ 주중 일시적인 기온하강으로 탕류 위주의 수산물 수요 증가 및 반입량 감소 증가로 강세
- 기온하락 및 반입량 감소한 수입생태, 숭어류 강세
- 날씨로 인한 요식업체 수요 증가한 새꼬막, 바지락 상승세
《 약세 요인 》
○ 반입량 증가 및 전일 재고량 증가에 따른 매수세 감소한 조개류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5.12 전일대비 +1.24
○ 4월 중순부터 부산 대형선망조업의 한달간의 휴어기로 인해 가락시장 반입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산산 생물 고등어 반입량이 거의 없어 냉동 및 수입산 위주로 거래되고 있음
《 강세 요인 》
○ 수입생태, 숭어류
- 갑작스러운 기온하락으로 탕류의 소비가 늘어 수입생태의 수요가 증가하여 강세를 보임
- 숭어류는 전일 대비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봄 제철 수요는 꾸준하여 상승세
《 약세 요인 》
○ 가자미, 병어10
- 가자미는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대부분 중소형어로 이루어져 약세
- 병어10는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중상품 물량이 늘어 가격이 내림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100톤 전일대비 17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7.45 전일대비 -2.34
○ 조개류 오름세 품목 : 새꼬막, 바지락수입
○ 조개류 내림세 품목 : 해락(동죽살), 봉지바지락, 가무락(모시조개), 소라(피뿔고동)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25.75 전일대비 +1.59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주꾸미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물오징어, 문어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20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5.87 전일대비 +0.04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3톤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멸치는 미반입 전일대비 9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미반입. 가격은 보합세.
- 김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8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