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2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2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7-24 09:26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6.04 전일대비 5.39
《 강세요인 》
○ 채소류의 전반적인 약세장 속에서 낮은 시세를 보이던 잎, 열매 채소류가 반등하여 상승장 주도.
- 방학과 외식 업체 경기 부진으로 수요량 감소해 저가인 배추, 상추 등이 이틀 연속 오름세를 보였고,
- 박스 미나리는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이 없어 큰 폭 상승함. 오이, 호박도 오름.
《 약세요인 》
○ 경기 부진과 각급 학교 방학 등으로 농산물 수요 감소하여, 강세를 보이던 품목 위주 내림세
- 초복 이후 생고추류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풋고추와 청양이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으며,
- 그동안 강세였던 생표고와 우엉 등은 물량 증가로 가격 하락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7.32 전일대비 4.3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8.03 전일대비 13.83
◇ 배추-오름세
- 연일 폭우가 쏟아지면서 공급차질을 우려 소비가 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함
- 금일 반입량은 596톤으로 전일대비 2.8% 감소하였으며 정선 30%, 평창 28%, 횡성 12%에서


출하됨
- 호우가 경기, 충청지역에 집중되면서 강원지역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편이었으나 연일



이어진 비로 망가진 물량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임
- 따라서 상품화될 수 있는 물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도매시장에 출하물된 물량도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452원, 보통 2,53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2.9%, 33.7% 상승함
- 향후 비가 그치더라도 고온이 이어지면서 추가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여 가격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1.66 전일대비 10.75
◇ 호박-오름세
- 연일 이어진 궂은 날씨로 생육이 부진해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음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153톤, 쥬키니 25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5.9%, 15.2% 감소함, 이는 최근


일주일 반입량 대비 18%, 36% 적은 물량임
- 주초부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려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가격이 평년의 절반수준에


불과해 출하를 늘리지 않은 모습임. 반면 기온이 낮아지면서 소비는 늘어나는 추세임
- 금일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6,673원, 보통 4,57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7.6%, 20.3%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4.96 전일대비 -3.86
◇ 무-내림세
- 주산지 비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량이 많고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하락해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392톤으로 전일대비 21.4% 감소하였으며 당진 17%, 홍천 15%, 횡성 10%에서


출하됨
- 충청지역 출하가 마무리되면서 하절기 주산지인 강원지역 물량이 대부분을 점유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5,704원, 보통 4,01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2%, 17.7% 하락함
- 우중 작업으로 물기 묻은 물량이 많았고 전일 500톤 가까운 물량이 출하되면서 재고


부담이 많았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2.42 전일대비 -0.67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552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18%가량 감소함
- 주 출하지는 무안 54%, 함평 15%, 중국 9%, 해남 6%,함양 2% 등지임
- 전반적으로 반입량◇ 버섯류 : 약 보합세 ( 느타리 : 내림세, 표고 : 약 보합세 )
- 반입물량이 157톤으로 전일 168톤의 94% 물량 반입
- 출하량이 전일대비 감소한 물량 반입되었으며, 각급학교의 방학 등 수요부족으로 약세
. 느타리버섯은 핚교 구매 감소 등으로 시세는 하락세.
. 그동안 강세를 형성한 생표고는 우수상품 감소세로 인한 약보합세 형성.
. 팽이는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 전알 재고누적으로 시세는 하락세를 보임.
이 600톤 내외에서 증감하는 양상이며,
- 하순들어 시세 소폭(중순대비 4%) 상승하자, 반입량 역시(7%) 다소 증가하였음.
- 상품기준 중순 평균 770원 보다 30원가량 오른 806원임.
◇ 생고추 - 내림세
- 금일 생고추류는 법인 반입 기준 206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5%가량 감소함.
- 청양 72톤, 일반풋고추 63톤, 꽈리 25톤, 홍고추 32톤, 기타 15톤임.
- 금주 생고추류 전체 물량은 감소 추세이나, 소비 부진으로 내림세 지속중
- 특히 지난주 큰 폭 상승했던 일반 풋고추와 청양은 물량 증가로 내림 폭이 큼.
- 꽈리 고추는 물량 감소와 강원 지역 상품성 좋은 것 반입으로 시세 소폭 상승
- 7월 하순은 방학과 휴가철로 급식 및 외식 수요 감소로 전반적으로 약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6.68 전일대비 1.78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0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16%가량 감소함
- 청피망 26톤, 홍피망 4톤 가량이며, 최근 낮은 가격 지속으로 물량 감소하여 소폭 반등.
- 강원 인제, 평창, 고성에서 주 출하되며, 생산량이 많아 당분간 표준가격 보다 낮은 시세 전망됨
- 파프리카는 41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27%가량 증가함.
- 빨강 23톤, 노랑 15톤, 주황 3톤이며, TV에 건강 식품으로 소개되면서 상승세가 지속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03.54 전일대비 -1.89


◇ 버섯류 : 약 보합세 ( 느타리 : 내림세, 표고 : 약 보합세 )
- 반입물량이 157톤으로 전일 168톤의 94% 물량 반입
- 출하량이 전일대비 감소한 물량 반입되었으며, 각급학교의 방학 등 수요부족으로 약세
. 느타리버섯은 핚교 구매 감소 등으로 시세는 하락세.
. 그동안 강세를 형성한 생표고는 우수상품 감소세로 인한 약보합세 형성.
. 팽이는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 전알 재고누적으로 시세는 하락세를 보임.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61톤, 전일(239톤)대비 22톤 증가(109%)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2.02 전일대비 +1.10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12톤, 전일대비 10톤 증가(110%)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3.49, 전일대비 -0.18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71톤, 전일대비 4톤 증가(106%)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8.09, 전일대비 +4.78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해락(동죽살), 동죽, 새꼬막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중품 가격은 10,000원으로 전일(2,600원)대비 284.6% 상승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1,200원으로 전일(1,000원)대비 20.0% 상승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일평균 반입량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7kg 상품은 15,750원으로 전일(14,000원)대비 12.5% 상승 7kg 중품은 15,000원으로 전일(13,750원)대비 9.1% 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바지락수입, 가무락(모시조개)

- 바지락수입은 중국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12톤으로 전일대비 3톤 증가. 20㎏그물망에 상품가격은 7,000원으로 전일(30,000원)대비 76.7% 하락. 중품가격은 7,000원으로 전일대비 75.0% 하락.
- 가무락(모시조개)은 인천산, 장항산, 목포산이 주 반입. 20kg망대 상품 가격은 102,500원으로 전일(115,000원)대비 10.9% 하락, 20kg망대 중품 가격은 87,500원으로 전일(102,500원)대비 14.6% 하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37.42, 전일대비 +6.47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 품목 : 문어, 미더덕, 물오징어
- 문어는 포항산이 주로 반입. 1kg 중문어 가격은 6,550원으로 전일(5,200원)대비 26.0% 상승, 단, 대문어 및 소문어 가격은 6,800원으로 전일대비 5.6% 하락.
- 미더덕은 통영(충무)산 및 마산산이 주로 반입. 1kg 상품 가격은 7,150원으로 전일대비 16.3% 상승, 중품 가격은 6,850원으로 21.2% 상승.

- 물오징어는 일평균 16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동해안의 속초산, 거진산이 주로 반입. 체장이 작은 편이나 체낚기로 상품성이 우수하며, 오늘과 내일 남동품 내지 남풍의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불고 2일간 비가 올 것이 예상되어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이 줄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이 상승함. 물오징어 6㎏상자 상품가격은 22,000원으로 전일(20,000원)대비 10% 상승. 중품가격은 18,500원으로 전일대비 8.8% 상승. 하품가격은 13,500원으로 전일대비 17.4% 상승.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70.65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4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17,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78톤 반입 전일대비 8톤 증가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5.78, 전일대비 -0.72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68톤 반입 전일대비 13톤 증가.
- 건멸치 중 건대멸치, 건중멸치, 건자멸치, 건세멸치는 보합세(전일과 같음)
단, 건소멸치(하품) 가격은 내림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어류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건멸치 중 건소멸치(하품)
- 건소멸치 2㎏상자 하품가격은 6,500원으로 전일(8,000원)대비 18.8%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