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2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2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0.93 전일대비 -6.12
《 약세요인 》
○ 태풍이 물러나면서 그동안 미뤄왔던 물량이 일시에 출하되어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 특히 태풍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던 잎채소류, 서류 등의 내림폭이 큼
- 품목별로는 상추, 시금치, 미나리, 생표고, 풋고추의 등의 약세가 두드러짐
《 강세요인 》
○ 전일에 이어 출하가 부진한 무의 강세로 뿌리채소류의 오름세가 이어졌고 열매채소류도 연일 흐린
날로 생육이 부진해 오름세 지속
- 품목별로는 오이, 양배추, 양송이, 파프리카 등이 많이 오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5.44 전일대비 -9.34
◇ 감자-오름세
- 충청지역 출하가 마무리됨에 따라 강원지역 출하가 본격화됨
- 금일 반입량은 204톤으로 전일대비 9.7% 감소하였으며 평창 27%, 당진 14%, 홍천 11%에서 출하됨
- 지난주까지 출하를 주도하였던 충청지역은 반입비중이 20% 미만으로 떨어짐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상품 13,758원, 보통 12,078원으로 전일대비 상품은 0.2% 하락하였으나
보통은 1.3% 상승함
- 금주 들어 태풍 “갈매기”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저조한 편이나 소비도 주춤해 가격은 안정세가
이어짐, 표준가격 대비 100-130% 수준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0.58 전일대비 -12.58
◇ 배추-오름세
- 전일 시세 급락의 영향의 산지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여 가격이 소폭 오름세. 그러나 비온 뒤고
고온으로 망가진 물량이 많아 상품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
- 금일 반입량은 520톤으로 전일대비 17.7% 감소하였으며 정선 50%, 평창 21%, 태백 11%에서
출하됨
- 임계지역의 본격 출하로 정선이 거래를 주도하였고 하절기 주산지인 태백 저지대 물량도 증가하는
추세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478원, 보통 1,80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2%, 0.8% 상승함
- 그러나 최고가가 47사이즈에 불과할 정도로 상품성은 전반적으로 떨어짐.
- 큰 비 뒤 고온현상이 이어질 경우 배추 생육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수확량 감소는 불가피할 듯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5.77 전일대비 2.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5.05 전일대비 7.05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8 전일대비 -4.51
◇ 양파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548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1%가량 감소함
- 주 출하지는 무안 60%, 함평 8%, 중국 7%, 해남 7%,김천 5% 등지임
- 반입량 크게 감소하여 전일보다 상승하였고,
-강세 지속중이며 상품기준으로 표준가격 보다 66% 높은 가격임.
- 하순들어 산지 가저장 물량이 거의 종료되어, 반입량 다소 감소되는 모습으로 시세도상승 국면임.
◇ 생고추 - 내림세
- 금일 생고추류는 법인 반입 기준 200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가량 감소함.
- 청양 60톤, 일반풋고추 67톤, 꽈리 39톤, 홍고추 23톤, 기타 12톤임.
- 주초 공급량 풍부하고, 급식 수요 감소 등으로 수요는 감소하여 내림세 거래됨
- 일반 풋고추와 꽈리는 표준가격 보다 낮은 가격을 보이고 있으며,
- 청양과 홍고추는 예년보다 높은 가격 유지하고 있음.
- 7월 하순은 방학과 휴가철로 급식 및 외식 수요 감소로 전반적으로 약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54.55 전일대비 -10.37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0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4%가량 증가함
- 청피망 33톤, 홍피망 7톤 가량이며, 주초였던 전일보다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 각급 학교 방학으로 급식 수요 감소하여 내림세 거래.
- 청피망은 강원도, 홍피망은 경남 진주, 전남 광주에서 대부분 출하되고 있음
- 파프리카는 38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4%가량 감소함.
- 빨강 24톤, 노랑 11톤, 주황 3톤이며, 전북 남원, 김제, 강원 춘천, 원주, 인제에서 출하
- 전일 내림세로 저가 소비 활발하였고, 반입량도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115.35 전일대비 -9.57
◇ 버섯류 : 내림세 ( 느타리 : 내림세, 표고 : 내림세 )
- 반입물량이 169톤으로 전일 171톤과 비슷한 물량 반입
- 각급학교의 방학과 우천관계로 급식 구매 감소로 약세 예상.
. 느타리버섯은 초.중.고방학으로 식자재 감소 및 우천이 내림에 따라 시세는 하락세.
당분간 소비가 주춤하여 약보합세 전망
. 표고는 출하량이 조금 증가하였으나, 방학, 우천 등으로 약보합세 형성. 현재 소비가 주 춤하여 시세는
하락예상
. 양송이는 강보합세, 새송이는 소폭 하락세를 보임.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77, 전일대비 7톤 증가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3.21 전일대비 +2.25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01톤, 전일대비 12톤 감소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5.68, 전일대비 +2.99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66톤, 전일대비 14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9.68, 전일대비 +3.77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깐바지락, 소라(피뿔고동), 깐홍합, 새꼬막
- 깐 바지락은 삼천포산, 여수산이 주로 반입. 가격은 전일대비 오름세, 1㎏상자에 상품 가격은 8,900원으로 전일(7,300)대비 21.9% 상승.
- 소라(피뿔고동)는 장항산과 나라도산이 주로 반입. 1kg 중품은 4,700원으로 전일(4,050원)대비 16.0% 상승, 상품은 5,000원으로 전일(4,650원) 대비 7.5%상승함.
- 깐홍합은 여수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2,700원으로 전주대비 12.5% 상승.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일평균 반입량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7kg 하품은 13,750원으로 전일(12,500원)대비 10.0% 상승 7kg 중품은 14,000원으로 전일대비 5.7% 상승.7kg 상품은 14,500원으로 전일대비 5.5% 상승. 17kg 중품은 32,000원으로 전일대비 6.7% 상승.17kg 상품은 34,000원으로 전일대비 6.3% 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굴, 동죽, 봉지바지락
- 굴은 통영(충무)산이 주 반입. 금일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등급별 가격은 1kg에 특품가격은 6,800원으로 전일(8,650원)대비 21.4% 하락. 상품가격은 6,200원으로 전일(7,250원)대비 14.5% 하락, 중품가격은 5,700원으로 전일(6,750원)대비 15.6% 하락.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2,500원으로 전일대비 16.7% 하락
- 봉지바지락은 태안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10톤으로 전일대비 3톤 증가. 5㎏상자에 상품 가격은 13,500원으로 전일대비 6.9% 하락. 중품가격은 12,500원으로 7.4%하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32.01, 전일대비 +6.71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물오징어
- 물오징어는 속초산이 주로 반입. 일평균 10톤 반입 전일대비 9톤 감소. 주말 태풍 갈매기 영햗으로 산지 작업부진하여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금일 6㎏상자 채낚기 하품가격은 13,500원으로 35.0% 상승. 중품가격은 18,000원으로 전일대비 20.0% 상승, 상품가격은 22,000원으로 전일대비 2.3 상승함.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70.65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4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17,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117톤 반입 전일대비 34톤 증가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8.68,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105톤 반입 전일대비 3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3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