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05(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2.05(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2-05 08:22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4.93 전일대비 0.68
《 강세 요인 》
○ 잎, 열매, 양념 채소류와 서류는 추운 날씨로 산지 작업량 줄고 전일 재고소진으로 강세
- 양배추, 미나리, 취청오이는 전일 재고 소진으로 물량확보위한 매수세 증가로 시세상승
- 대파, 고구마, 감자는 산지 우천(강설)으로 작업부진하여 출하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뿌리,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영하권 날씨 계속되면서 김장수요 줄면서 약세
- 무, 열무는 기온 하락으로 김장 수요 줄면서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하여 내림세
- 양상추, 아욱, 팽이버섯은 외식업체 및 음식점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5.88 전일대비 16.79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54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1%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38%, 논산 16%, 무안 11%, 익산 7%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000원, 논산 2,500-15,5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2,500-12,000원, 고창 5,000-10,500원
- 영하권의 날씨와 산지 강설로 작업 부진하면서 충청권 호박고구마
- 반입량 감소, 주중 재고 소진되면서 납품업체 주문 늘어 매수세 증가
- 금일 중품 평균 8,969원으로 전일대비 13%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오름세
- 금일 17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0%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28%, 인제 11%, 김천 10%, 정선 10% 등 반입
- 평창 2,500-43,000원, 인제 2,000-28,000원, 김천 4,000-45,000원.
- 경북지역 및 강원지역 이모작 감자 출하량 증가. 상품성 우수로 판매활발
- 외식업체 및 중소형 마트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6,956원으로 전일대비 17%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7.78 전일대비 0.89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8.97 전일대비 -0.11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04.82 전일대비 -12.59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42.9 전일대비 1.99

◇ 생고추-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18.4% 증가한 117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47톤, 일반풋고추 37톤, 꽈리 12톤, 홍고추 5톤 반입

- 금일 고단가로 인한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 거래됨
- 주 출하지는 전남(광주, 담양)과 경남(밀양, 진주)지역 이며
- 점차 경남 물량 증가하고 있긴하나, 증가 속도가 매우 느림
- 9월 가을 장마로 경남 지역의 정식이 늦어져 전반적으로 출하시기가 지연되었고,
-
기온하락과 고유가 부담으로 가온 재배율 떨어져 출하 주기도 길어져,
-
전반적으로 생상량 많지 않아 강세 지속되고 있음
- 또한 산지 공판장이나 지방 도매시장의 시세도 높게 유지되고 있어,
-
시장 반입량 많지 않아 당분간 강세 전망됨
◇ 양파 - 보합세
- 금일 51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반입량 감소.
- 무안 57%, 함평 13%, 해남 6%, 영천 4%, 목포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312-860원, 함평 283-529원, 해남 275-573원 거래.
- 경남 함양산 저장양파 출하작업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
- 추운 날씨로 소비부진하면서 재고 증가. 요식업소(중국음식점)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498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 대파 - 오름세
- 금일 17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반입량 감소.
- 진도 49%, 신안 19%, 영광 11%, 부안 4% 등 반입
- 진도 2,100-3,000원, 신안 2,400-3,000원, 영광 2,200-2,800원
- 남부 해안지역 우천(강설)과 기온 하락으로 출하량 감소
- 전일 재고 소진되고 일반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거래 활발
- 금일 상품 평균 2,731원으로 전일대비 51%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7.08 전일대비 -3.32
◇ 피망-강보합세, 파프리카-약세
-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35.9% 감소한 40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36톤, 홍피망 4톤 가량임.
- 진주 지역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상품은 다소 하락하였지만, 보통품 위주 강세 거래됨
- 연말 행사 증가로 소비는 꾸준하게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
홍피망은 강원도 출하 막바지에 접어들어 광주와 진주 물량이 거래 주도할 것임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7.8% 감소한 18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빨강 8톤, 노랑 7톤, 주황 0.5톤, 청파프리카 3톤임.
- 물량 감소에도 전일 재고 및 납품 업체 주문 감소로 약세 거래됨.
- 강원도에서도 출하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남 진주와 경기 고양에서 반입되고 있음
- 주산지(진주 등)의 물량 증가 추세로 시장 반입량 부족 현상
없을 것으로 보여 약보합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8.71 전일대비 -0.98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6% 감소한 171톤 반입
- 영하권으로 수온주가 뚝 떨어지면서, 산지 작업량 및 재배량이 감소해 반입량 감소
- 주 중반이 되면서 오늘 급식업체 납품이 다소 부진
- 기온하락으로 시장 매기 소폭 부진
- 납품이 활발한 양송이와 새송이 위주로 강세, 재고량 증가인 느타리는 약보합세 형성

◇ 양송이 - 오름세
- 전일대비 3% 증가한 15톤 반입
- 반입량이 소폭 증가했지만, 이번 달 평균 출하량은 다소 감소추세
- 주로 충청지역에서 출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동부여의 출하량이 꾸준함
- 충남 부여 43%, 보령 42%, 홍성 8%, 논산에서 6% 반입
- 영하권 날씨로 전반적으로 상품성의 편차가 크게 나타남
- 고품질 양송이 위주로 소비가 활발하고, 시세 상승세 형성
- 상품 2kg 평균 11,709원으로 8%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13.92 전일대비 -0.83
《 강세 요인 》
○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 감소한 고등어, 갈치, 꽃게 상품성 우수한 꼬막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 감소하였으나 추운 날씨 지속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하락세
- 추위와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로 참숭어, 수입낙지, 홍합 내림세
- 산지 재고량 증가로 반입량 늘어난 대구, 물오징어, 상품성 저조한 참조기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3.57 전일대비 +1.03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삼치, 가자미
- 고등어는 대형선망조업이 흑산도 부근에서 조업중이나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어획량이 줄어 반입물량은 전일대비 12톤 감소하고 중소형어 위주로 오름세를 보임. 다만 상품은 전일에 비해 체장이 작아 소폭의 내림세를 보임
- 갈치는 제주 주변해역 풍랑으로 인해 채낚기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물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일본산 반입도 전일에 비해 소폭 줄어들어 제주 및 일본산 갈치가 강세를 보임.
- 하락세를 보였던 생태는 전일에 비해 반입량이 5톤 증가하였으나 전일 물량 감소와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량이 다소 회복되면서 중품이 오름세를 보임. 다만 상품은 상품성 저조와 물량 증가부담으로 내림세
- 삼치는 조업여건 악화로 산지 대기물량이 적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감소하였고 부산, 통영산 물량이 선도가 우수하여 상승세에 거래
- 전일 상품성 저조로 약세를 보였던 가자미는 금일 여수, 삼천포에서 체장이 큰 참가자미가 거래되어 오름세를 보였음
《 약세 요인 》
○ 수입냉장꽁치, 대구, 병어, 숭어류
- 일본산 수입꽁치는 반입량 줄었으나 주초 가격상승과 늘어난 물량으로 인해 시장내 재고가 충분하고 냉동꽁태 가격 상승이 둔화되면서 수요가 줄어 내림세에 거래
- 대구는 보령산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5톤 증가하였고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도 줄어들면서 하락세를 보임. 수입냉장대구는 일본, 중국산 반입 줄었으나 국내산 반입증가로 하락세
- 병어는 반입량 줄었으나 주초 늘어난 물량과 4일 연속 추위가 계속되면서 소비가 부진하여 재고가 늘어 내림세
- 숭어류는 서산, 여수, 동해시(묵호)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 어황호조로 반입량이 늘어났고 주중 횟감 수요는 줄어 하락세


◈ 조개류 84.00전일대비 -2.41
《 강세 요인 》
○ 새꼬막, 겉소라, 해락 강세
- 새꼬막은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순천산으로 소비는 점차 증가하나 대량 거래 보다는 소량 거래가 꾸준함. 씨알이 굵고 선도양호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었고 전일대비 강보핪세
- 겉소라는 순천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씨알이 크고 반입이 적어 오름세
- 동죽과 해락은 기온 하락으로 반입량은 감소,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량 증가로 해락은 오름세, 동죽은 약보합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홍합, 동죽
약세
- 굴은 2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잔굴은 고흥, 남해, 사천산이나 고흥산의 반입 비중이 많았고 소비량 감소로 약보합세. 통영산 중굴은 김장수요가 줄면서 대량거래 보다는 소량씩 거래가 꾸준하였고 가격은 약보합세
- 바지락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태안(안면도), 수입산은 북한산만 반입되었음. 겉바지락은 국내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아 정상거래 미형성,수입산인 북한산도 소량 반입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거래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도 북한산이 국내산보다 반입이 많았으나 국내산이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전반적인 가격은 약보합세
- 홍합은 25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았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다듬이 물량은 반입이 늘고 상품성이 낮아져 전일에 이어 17,000원대에 가격이 형성되었고, 일반 물량도 햇물로 씨알이 고르지 않아 내림세였으나 고정 수요처의 소비는 꾸준하였음

◈ 연체류 93.04
전일대비 -8.53
《 약세 요인 》
○ 전품목이 매기부진으로 약세에 거래
- 생물오징어는 18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3톤 증가. 채낚기 물량이 주반입되었으나 주산지인 동해안의 비와 눈으로 인한 어획량은 감소, 트롤어획품은 부산산으로 소량이나 반입량은 전일대비 증가. 소비지 기온하락으로 매기가 부진하여 내림세
- 산낙지는 고흥산이며 소량 반입과 매기부진으로 약세
- 수입낙지는 6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선도가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등급간 가격차이도 작았으나 전일 미판매분 누적으로 내림세
- 주꾸미는 1톤 반입되었음. 국내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잘고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 수입산은
전일에 비해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문어는 국내산은 포항이 주반입되었고 기온이 낮아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미더덕은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은 소량씩 꾸준하였고, 오만둥이도 미더덕 가격 상승에 따른 대체수요로 거래는 증가하나 가격은약보합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 외에 일반수요는 한산

※ 활 꽃게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은 전일과 같은 2톤으로 서산, 인천산이 반입되었음.
암꽃게는 크고 알이 차 게장 담금용으로 수요가 증가하나 반입이 적어 주말부터 오름세, 요식업소의 탕용으로 소비가 많은 숫게는 전문 요식업체와
대형유통업체의 세일 품목으로 거래되며 가격은 약보합세.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kg당 암꽃게는 30-32,000원. 숫꽃게는 16-18,000원. 톱밥게의 반입은 없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