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8.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8.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5.83 전일대비 -3.25
《 약세요인 》
○ 한여름 무더위 속에서, 고온작물인 오이,호박 등 열매 채소류의 출하량 증가 두드러져 내림폭 컸음
- 오이, 호박은 지난 주말 고가인데다, 반입량도 큰 폭 증가하여 하락하였고
- 배추도 반입량이 40%가량 증가하여 떨어졌고, 아욱, 생표고, 열무 등도 내림세
《 강세요인 》
○ 폭염으로 생육 부진한 서양채소류와 보양 음식점 수요 증가하는 품목 위주 강세
- 파세리, 브로코리, 양상추, 피망 등이 강세장을 이끌었고,
- 부추와 대파는 보양 업체 주문량 증가 등으로 올랐고, 기타 돌나물, 취나물도 상승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6.04 전일대비 8.69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5.78 전일대비 -6
◇ 배추-내림세
- 지난 주말 가격이 급등한데다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716톤으로 전일대비 39.7% 증가하였으며 8월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출하됨
- 지역별 출하비중은 태백 44%, 삼척 20%, 정선 17%, 평창 14% 순이었음
- 기온 상승으로 강원지역 저지대는 출하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었고 고지대 물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7,550원으로 태백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4,544원,
보통 2,920원으로 전일대비 27.7%, 40.3% 하락함
- 고온 피해가 발생하고 저지대 출하가 끝물로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등급별 가격차이가
많음
◇ 상추 - 내림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70톤으로 전주말 보다 4%가량 감소함
- 주 출하지는 경기 이천, 용인, 광주, 포천 등이며
- 지난 주말부터 강세가 한풀 꺽여, 주초임에도 내림세 거래됨
- 그렇지만 막바지 휴가철 소비 증가 및 작황 부진으로 8월은 전반적으로 강세 거래가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4.37 전일대비 -23.2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3.72 전일대비 3.39
◇ 무-내림세
-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있으나 뿌리식물로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고 소비부진이 겹치면서
가격은 약세권이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473톤으로 전일대비 0.9% 감소하였으며 평창 56%, 정선 33%, 양구 6%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6,397원으로 보합이었고, 보통 4,896원으로 6.9% 상승함
- 금일이 소비량이 많은 주초이고 반입량도 저조했음에도 가격은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함
- 전일 재고량이 상당수 남아 있었고 무더위로 일부 요식업소 소비를 제외하고는 수요량도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1.68 전일대비 3.48
◇ 양파 - 내림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590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9%가량 증가함
- 최근 소비 부진으로 지난 주말부터 물량 소폭 감소 추세이나, 시세 상승은 기대에 미치지 못함
- 전남 무안 65%, 함평 11%, 중국 7%, 해남 4%, 경남 함양 4%등에서 출하
- 8월 상순 일평균 반입량은 599톤으로 전달과 비슷하나,
-시세는 전달대비 4%정도 상승해 평균 825원을 보임.
◇ 대파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179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가량 증가함
- 주초임에도 평일 수준 반입으로 시세 상승했고, 경기 이천 15%, 안성 12%, 고양 10% 등임
- 8월 들어 요식 업체 수요 증가하여 전달보다 시세 상승하는 추세이나
- 표준 가격 보다는 10%정도 낮은 가격을 보이고 있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8.81 전일대비 12.34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9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4%가량 증가함
- 낮은 시세로 주초 수요량에 미치지 못하는 평일 수준 반입됨.
- 청피망 32톤, 홍피망 7톤 가량이며, 인제 52%, 고성 24%, 평창 16%의 출하 점유을 보임
- 파프리카는 37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과 비슷한 수준임.
- 빨강 18톤, 노랑 16톤, 주황 2톤이며, 반입량 적어 오름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127.45 전일대비 -13.19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94톤, 전일(243톤)대비 118톤 증가(167%)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7.46 전일대비 -4.90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12톤, 전일(63톤)대비 49톤 증가(178%)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4.82, 전일대비 -0.58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활 넙치(자연), 고등어, 갈치냉장 수입, 갈치 수입, 고등어 수입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도루묵, 활 낙지(자연), 아귀 냉장 수입,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64톤 반입, 전일(57톤)대비 7톤 증가(112%)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0.69, 전일대비 -15.64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봉지바지락, 홍합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깐홍합, 피뿔고동(소라), 굴, 깐바지락, 동죽살(해락), 바지락, 새꼬막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0.27, 전일대비 -19.27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문어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물오징어, 낙지수입, 미더덕,오만둥이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6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7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118톤, 전일(56톤)대비 62톤 증가(211%)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0.12, 전일대비 0.39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110톤 반입 전일(46톤)대비 64톤 증가(239%).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미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강보합세.
- 건명태는 6톤 반입 전일(4톤)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2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