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1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1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3-14 09:06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63 전일대비 -2.76
《 약세 요인 》
○ 주말 장으로는 많지 않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가격은 내림세. 그동안 고단가를 보였던 품목
위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출하가 꾸준하였기 때문으로 보임
- 햇감자 출하량 증가로 서류의 약세가 두드러졌고 잎내소유, 양념채소의 내림폭 큼
- 품목별로는 청양고추, 시금치, 적겨자채, 청경채 등이 많이 내림
《 강세 요인 》
○ 전일 약세였던 뿌리채소류, 서양채소류 등이 오름세였으나 오름폭은 크지 않음
- 품목별로는 가지, 치커리, 시금치가 많이 오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7.01 전일대비 -6.15
◇ 감자-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수미는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이나 대지는 육지산 햇감자 출하물량이


늘면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253톤으로 전일대비 18.4% 감소하였으며 대지 169톤, 수미 80톤이 반입됨.


대지는 20톤, 수미는 30톤이 감소함
- 수미는 홍천, 인제, 밀양에서 대지는 제주, 정선, 고령에서 반입됨
- 대지는 제주지역 물랴잉 50% 정도에 불과해 반입비중이 금월들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 가격은 20kg상자 상품 기준 대지 30,738원 7.4% 하락하였으나 수미 32,376원으로 2.7% 상승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8.48 전일대비 -4.56
◇ 배추-오름세
- 수요량이 많은 주말임에도 반입량은 오히려 감소하여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83톤으로 전일대비 22.4% 감소하였으며 해남 86%, 진도 8%, 무안 6%에서


출하됨
- 전일 출하량 증가로 재고량이 많았고 오후부터 비가 내려 작업여건이 좋지 못했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143원, 보통 2,83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4%, 8.8% 상승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4.94 전일대비 -0.38

◇ 오이-오름세
- 소비량이 많은 주말장이나 반입량이 크게 늘어 가격은 소폭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28톤, 취청 103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27%, 125% 증가함
- 백다다기는 상주 25%, 부여 16%, 고흥 10%에서 출하되어 전일에 비해 부여의 출하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 취청은 구례 32%, 순천 24%, 보성 14%에서 출하되어 전일에 비해 순천, 순천의 물량이 많이 증가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1,349원, 취청 50개 17,05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4%, 0.8%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9.62 전일대비 0.73
◇ 무-오름세
- 반입량이 전일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가격 오름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599톤으로 전일대비 0.2%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제주에서 출하되었고 진도에서


마대무 2대가 출하됨
- 적지 않은 물량임에도 가격은 오름세가 이어짐
- 전일 주산지인 제주지역에 비가 내려 향후 물량감소가 우려되고 주말을 앞두고 소비가 따라주었음.


또한 지방시장 가격 강세도 금일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침
- 가격은 18kgpe대 상품 7,024원, 보통 6,53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 1.6%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8.29 전일대비 -7.08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9.56 전일대비 0.01


◈ 버섯류
가격지수 : 96.49 전일대비 -4.42
◇ 버섯류 : 약세
- 반입물량이 184톤으로 전일177톤의 104% 물량이 출하
- 우천으로 인한 장세 약세 형성과 매기부진이 지속.
자재비 등 소요비용의 상승과 물량증가로 버섯류 전품목이 약세 형성
- 느타리버섯은 소비지 소비량과 매기가 증가 추세이지만 매기부진으로 보합세 형성
- 표고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소비가 꾸준하여 보합세 형성
질낮은 중국산 수입물의 증가로 소비 원활
- 양송이는 기름값 등 자재비 상승으로 출하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
- 팽이와 새송이는 소비가 주춤하여 약보합세로 거래.


2. 수산물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94톤 전일대비 1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4.7 전일대비 -6.96

《 조개류 강세 요인 》
○ 조개류 강세품목 : 동죽, 가무락(모시조개) 중품, 소라(피뿔고동), 새꼬막, 봉지바지락, 바지락수입, 동죽살(해락), 굴
《 조개류 강세 요인 》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 중품)은 상품은 군산산과 중품은 북한산이 주 반입.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은 오름세
- 소라(피뿔고동)은 고흥산이 주반입. 가격은 상품은 오름세. 중품은 내림세.
- 새꼬막(고막)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 가격은 중품은 오름세 상품은 내림세.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은 상품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이 주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9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북한산으로 가격은 강보합세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굴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5톤 증가. 충무, 삼천포, 남해, 고흥산이 주 반입. 특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조개류 약세품목 : 바지락(상품), 가무락(상품), 깐홍합(상품), 소라(피뿔고동), 새꼬막, 홍합, 깐바지락
《 조개류 약세 요인 》
- 바지락(17kg 그물망)은 9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북한산으로 가격은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 중품)은 상품은 군산산과 중품은 북한산이 주 반입.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은 오름세
- 깐홍합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내림세
- 소라(피뿔고동)은 순천산과 고흥산이 주반입. 가격은 상품은 오름세 중품은 내림세.
- 새꼬막(고막)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 가격은 상품은 내림세 중품은 오름세.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은 상품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이 주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홍합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마산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하품 가격은 내림세, 중상품은 보합세.
- 깐바지락(1㎏)은 삼천포산, 서산산, 고흥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6.42 전일대비 -2.47

○ 연체류 강세품목 : 쭈꾸미수입, 오징어냉동연안

《 연체류 강세 요인 》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오징어냉동연안(8㎏ PAN)는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연체류 약세품목 : 쭈꾸미(5㎏) 상품, 물오징어(상·중품), 문어, 오만둥이,
갑오징어, 미더덕
《 약세 요인 》
- 쭈꾸미(5㎏)는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등급간 가격 차이가 심하여 상품은 씨알이 크고 알을 밴 상품성이 좋은 중국산 활어 쭈꾸미(5㎏ 4만원) 및 나라도산 패류 쭈꾸미(5㎏ 30,000원)가 반입되었고, 씨알이 작은 중품은 군산산 패류 쭈꾸미(5㎏ 18,000원-20,000원)가 반입 거래되고, 하품은 알을 배지 않은 씨알이 아주 작은 장항산 패류 쭈꾸미(5㎏ 12,000-17,000원)가 반입 거래됨


- 살(물)생오징어(중,상품)는 7톤 반입 전일과 같음.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여, 상품은 제주산 채낚기 물량 반입으로 제주산 상품 가격은 6㎏상자 18,000원,
중하품은 트롤(그물망)의 부산산
중·하품 가격은 6㎏상자 8,000원-10,000원에 거래됨


- 문어는 포항산 대문어 가격은 내림세.
- 오만둥이(상품)는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갑오징어는 일본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미덕덕(상품)은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 건어류 : 물량 금일 9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 건어류 가격지수 : 129.22 전일대비 -0.0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비슷함(거의 변동 없음)
- 건멸치는 67톤 반입 전일대비 10톤 증가. 반입물량 증가에도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8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