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0.19 전일대비 1.36
《강세 요인》
○ 산지 출하량 감소와 봄철수요 증가
- 열매채소류(오이,호박등)는 일기불순으로 생육이 부진하여 출하량 감소한 반면,
-대형유통업체 중심으로 주문량 증가해 큰폭 상승
- 양배추는 출하 막바지로 접어들어 물량이 감소하여 강세를 형성
《약세 요인》
○ 기온 상승으로 출하시기가 앞당겨진 양파의 물량이 빠르게 증가해 하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0.21 전일대비 4.76
◇ 고구마 - 강보합세
- 금일 3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1% 증가. 세척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 밤고구마는 여주 23톤, 음성 3톤, 논산 2톤, 진천 1톤 등 30톤 반입.
- 상품성이 좋은 세척밤고구마 출하로 중하품 거래 활발
- 호박고구마는 논산 4톤, 여주 3톤, 서산 1톤, 태안 1톤 등 9톤 반입
- 충남 논산산 상품성 좋아 5,000-36,000원 거래
- 중품 평균 17,052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7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증가. 남부지방 수미종 햇감자 출하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3% 감소한 207톤 반입. 평창 39톤, 남원 55톤, 정선 36톤 등
- 강원지역 저장감자 출하량 감소. 전북 남원 햇감자 출하량 증가
- 상품 평균 27,540원에 전일대비 5%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72톤 반입. 전일대비 84% 증가.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상품은 평균 23,405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0.56 전일대비 4.63
◇양배추-오름세
-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211톤으로 전일대비 3.8% 감소하였으며 제주 85%, 무안 12%에서 출하됨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4,133원, 보통 3,57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3.5%, 26.9% 상승함
- 제주지역의 노지 출하는 금주 중으로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이며 내주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저장물량이 출하될 것으로 보임
- 저장은 당초 예상과 달리 물량 적을 것으로 보임
- 지난 1-2월 산지 폐기 등으로 수확량이 자체 조절된 데다 생육기 가격이 낮아 작물관리에 소홀해
후기 작황이 좋지 않았음.
- 또한 3월 가격이 호조를 보임에 따라 저장보다는 출하를 늘린 것도 물량 감소의 원인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4.08 전일대비 18.54
◇호박-오름세
- 주초 비온 뒤 기온이 크게 떨어져 수확량 감소로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188톤으로 전일대비 12.9% 감소하였으며 애호박 73톤, 쥬키니 47톤,
단호박 48톤, 늙은호박 20톤이 반입됨
- 애호박은 33% 감소하고 쥬키니는 12% 증가하였으나 쥬키니도 격일제 작업임을 감안하면 많은
물량이 아님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15,649원, 쥬키니 10kg상자 16,401원으로 각각 13.5%, 20.3%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2.4 전일대비 -3.14
◇무-오름세
- 전일 출하가 없어 재고가 소진된 육지무가 금일 4대 반입되어 오름세에 거래됨.
- 금일 반입량은 471톤으로 전일대비 5.8% 감소하였으며 서귀포시 83%, 제주시 5%, 고창 4%,
남제주 2%, 영암 2%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육지산 흙무 1,700~2,100원, 진도 세척무 2,400원, 제주무 2,700~
6,100원이었음
- 제주산은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육지산은 500~1,000원 가량 상승함
- 제주산은 금주 중으로 노지 출하가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이며 내주 이후 저장물량이 거래를 주도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3.77 전일대비 -5.68
◇ 양파 - 내림세
- 금일 93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0% 증가. 제주 조생종 햇양파 출하량 급증
- 제주 666톤(전일대비 356% 증가), 무안 95톤, 완주 33톤, 부안 19톤 등 반입
- 제주산 조생양파 본격 출하로 반입량 크게 증가, 무안, 부안 하우스 햇양파 출하
- 무안산 조생양파 망작업 우수로 1kg 310-914원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678원으로 전일대비 25% 시세 하락한 내림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58톤 반입, 중국산 16kg 5,400-12,100원 거래. 보합세
◇ 대파 - 오름세
- 전일대비 7% 감소한 168톤 반입. 전남 신안지역 출하량 감소
- 전남 진도산 126톤, 신안산 44톤, 영광 5톤 등 반입
- 주초부터 계속 산지 출하량 감소. 중도매인 재고확보 위한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679원으로 전일대비 2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쪽파 - 약보합세
- 금일 44톤 반입(전일대비 2% 증가). 제주, 당진산 깐쪽파 반입량 증가
- 흙쪽파는 예산 8톤, 당진 2톤, 아산 2톤 등 반입. 흙쪽파 소비수요 감소
-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상품 평균1,000원으로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제주 9톤, 당진 9톤, 서천 2톤, 보령 1톤 등 반입
- 제주산과 당진산 전일 시세 상승영향으로 출하량 증가. 납품업체 주문 감소
- 상품 평균 20,261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7.47 전일대비 0.37
◇ 피망, 파프리카 - 강세
- 최근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며서 전반적으로 물량이 감소한 반면, 소비는 활발하여 강세를 보임.
- 홍피망은 일기불순으로 출하량이 감소한데다 상품성도 좋지 않아, 상품 위주 수요증가로 큰폭 상승함.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전북 익산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과 비슷한 30톤, 파프리카는 54.7% 증가한 11톤이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000원 하락한 35,500원, 홍피망은 15,000원 오른 95,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700원 상승한 25,700원, 노랑파프리카는 1,000원 오른 24,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18%가량 감소한 52톤이며, 소비는 다소 부진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보다 500원 하락한 평균 8,500원에 거래되었고,
- 대부분 서양채소류는 오름세를 보였고, 브로코리는 22,000원, 셀러리 8,500원,
-케일은 11,500원, 파세리는 10,000원선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8.45 전일대비 3
◇생표고-오름세
-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22톤으로 전일 대비 29.8% 감소하였으며 보령 29%, 달성 12%, 천안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4kg기준 상품 22,603원, 보통 13,78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3.8%, 27.5% 상승함
- 천안지역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97.62 전일대비 -2.75
《 강세 요인 》
○ 전국 해상에 강풍으로 산지 작업 여건 악화
- 굴, 병어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저가의 수입 및 냉동물량 증가로 매기 부진
- 갈치, 바지락, 대구, 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오징어, 냉동고등어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37 전일대비 -0.94
《 강세 요인 》
○ 가자미, 병어 오름세
- 가자미는 보령, 인천, 서산산 물량이 산지 강풍으로 조업이 어려워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강보합세 - 병어는 기상여건 악화로 부산산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대형어 위주 거래로 상승세
《 약세 요인 》
○ 갈치, 냉동고등어, 삼치, 일본산 생태 내림세
- 고등어는 월명기로 대형선망조업이 중단되면서 생물거래는 없었음. 일본산 생물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부산산 냉동고등어는 하락세 형성
- 갈치는 연승조업 양호로 제주산 반입량이 다소 늘어났으나 일본산 망갈치 반입이 감소하여 총 갈치 반입량은 줄어들었음. 시세는 일본산 상품성 양호로 매수가 부진하여 내림세
- 삼치는 충무, 부산산 반입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상품성 양호한 제주산이 거래되지 않았고 전일 늘어난 물량으로 재고가 충분하여 하락세
- 전일 강세를 보였던 일본산 생태는 판매가 부진하여 재고량이 늘어나 금일 반입량 감소에도 약보합세
◈ 조개류 113.69 전일대비 -3.51
《 강세 요인 》
○ 굴, 새꼬막, 모시조개 강세
- 굴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통영(충무), 사천(삼천포), 남해산으로 당일 반입품은 거래량 증가로 소폭 오름세, 전일 미판매분은 낮은 가격을 형성. 기온 하락으로 수요는 증가 추세
- 새꼬막은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순천산이 주반입되었음. 요식업체와 급식업체 등 대량 수요처의 소비가 많은 대포장은 오름세에 거래, 소포장은 상품성 하락으로 상등품은 오름세였으나 중하품은 내림세
- 모시조개는 순천,군산산과 중국수입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등급, 품종 간 가격차이가 컸으나 흑모시의 반입으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홍합, 키조개, 대합, 소라 약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국내산 바지락은 남해, 서산, 인천산이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수입산 겉망바지락은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마산,여수산으로 전일 반입량 증가에 따른 미판매분 증가로 중하품은 내림세, 주소비처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가 꾸준하였음
- 키조개는 반입량은 증가. 수요처가 한정되어 매기부진으로 약세. 크기와 선도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음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소라는 서천과 군산산, 중국 수입산으로 반입이 소량이고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이와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하였음
◈ 연체류 103.49 전일대비 -10.31
《 강세 요인 》
○ 미더덕, 오만둥이 오름세
- 미더덕은 마산,여수산 생물이 반입됨. 최근 미더덕의 효능에 대한 방송 보도 이후로 소비량 증가와 산지 가격 상승에 다른 대량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우렁쉥이는 마산,여수산으로 냉동물이 주반입됨. 미더덕 가격 상승에 따른 대체수요 증가로 강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수입낙지,주꾸미, 문어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부산,포항,영덕산이 주반입 되었음.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 감소와 상품성이 낮은 그물오징어 반입으로 내림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전일 반입량 미소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일반 소비 보다는 전문 요식업체의 소비가 많았음
- 주꾸미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국내산은 서천, 군산, 인천산이 주반입되었으나 가격이 높아 미판매분이 증가하였고, 수입산은 국내산의 대체 수요 증가로 강세
- 문어는 포항, 거진산이 소량 반입 되었으나 반입량이 적어 전일 가격이 높게 형성되자 가격에 따른 부담으로 매기부진하여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