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83 전일대비 2.26
《 강세요인 》
○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데다 주초를 맞아 산지 작업이 활발해 반입량이 지난 주말 대비 22% 증가
반면, 연일 궂은 날씨로 재고가 소진되면서 가격은 오른 품목이 많음
- 생육부진으로 생산량이 적은 열매채소류가 오름세를 주도하였고 주산지 많은 비로 망가진 물량이
많은 서양채소류도 강세
- 품목별로는 쥬키니호박, 양배추, 생표고, 양상추, 가지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짐
《 약세요인 》
○ 지난 주말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과 일부 저장 품목 산지 출하조절로 내림세
- 지난 가격이 상승이 두드러졌던 감자, 고구마가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로 돌아섯고 고단가가
이어졌던 양파의 내림세로 양념채소류 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7.77 전일대비 -8.13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0.35 전일대비 0.77
◇ 배추-보합세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따라 주어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744톤으로 전일대비 72.3% 증가하였으며 정선 34%, 삼척 19%, 평창 18%에서
출하됨
- 주말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데다 비가 그치면 배추 품질이 급격히 나빠져 출하를 서두른
것으로 보임
- 강원지역 저지대 출하가 대부분이었으나 지난주 시세가 급등하자 고랭지 물량이 일부 조기
출하된 것으로 보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637원으로 0.9%상승하였으나, 보통 2,646원으로
1.4% 하락함
- 우중 작업으로 상품성 좋은 물량이 적어 고가품은 오름세였으나 저가품은 내림세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3.6 전일대비 22.3
◇ 오이-오름세
- 연일 궂은 날이 이어지면서 정식기 가격 약세의 영향의 재배면적도 줄어 가격 오름세가 지속됨
- 특히 여름철 소비량이 많은 취청은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해 평년의 2배 이상의 고단가 형성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21톤, 취청 55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9.8%, 7.2% 증가함
- 그러나 금일이 주초로 평일보다 30-40% 많은 물량이 출하되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물량임
- 백다다기는 홍천, 춘천, 상주에서, 취청은 화천, 천안, 진천에서 출하됨
- 지난 주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원지역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1,544원, 취청 50개 27,9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
14.1%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0.14 전일대비 3.21
◇ 무-오름세
- 주초임에도 반입량 증가가 소폭에 그쳐 오름세 지속
- 금일 반입량은 493톤으로 전일대비 44.1% 증가하였으나 소비량에는 미치지 못해 오름세 지속
- 지난주 반입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된 데다 각급하교 방학과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소비량은 크게 증가함
- 지역별 출하비중은 정선 17%, 평창 15%, 당진 13% 순으로 강원지역 뮬량이 대부분을 점유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6,192원, 보통 4,765원으로 전일대비 2.5%, 8.5%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5.46 전일대비 -7.11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0.74 전일대비 13.11
◈ 버섯류
가격지수 : 110.49 전일대비 0.28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93톤, 전일(264톤)대비 29톤 증가(111%)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12.09 전일대비 -1.20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15톤, 전일(136톤)대비 21톤 감소(85%)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0.50, 전일대비 -1.85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95톤, 전일대비 18톤 증가(124%)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29.94, 전일대비 +0.86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새꼬막, 굴, 동죽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일평균 반입량은 9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7kg 상품은 18,500원으로 전일(13,500원)대비 27.6% 상승. 7kg 중품은 17,500원으로 전일(13,000원)대비 34.6% 상승. 7kg 하품은 16,750원으로 전일(12,000원)대비 39.6% 상승.
- 굴은 통영(충무)산이 주 반입. 금일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등급별 가격은 1kg에 특품은 8,600원으로 전일(7,250원)대비 18.6% 상승. 상품은 7,450원으로 전일(6,850원)대비 8.8% 상승, 중품은 7,100원으로 전일(6,350원)대비 11.8% 상승.
- 동죽은 서산산, 장항산이 주 반입. 1kg 상품가격은 2,700원으로 전일(2,300원)대비 17.4% 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봉지바지락, 겉바지락, 동죽살(해락)
- 봉지바지락은 태안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8톤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 5㎏상자에 상품가격은 13,400원으로 전일(20,500원)대비 34.6% 하락, 중품 가격은 10,000원으로 전일(19,500원)대비 48.7% 하락.
- 겉바지락은 안면도산, 고흥산, 군산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8톤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 17㎏망 상품 가격은 45,000원으로 전일(54,000원)대비 16.7% 하락.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중품 가격은 8,000원으로 전일(12,000원)대비 33.3% 하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39.06, 전일대비 -4.74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 품목 : 물오징어
- 물오징어는 일평균 13톤 반입 전일과 같음. 동해안의 속초산, 거진산이 주로 반입. 체장이 작은 편이나 체낚기로 상품성이 우수하며, 동해안 연안에 오징어 서식에 적합한 수온(12-18℃)이 형성되어 어획량 호황으로 가격은 내림세. 6㎏상자 상품가격은 19,000원으로 전일(24,500원)대비 22.4% 하락. 중품가격은 16,000원으로 전일(21,000원)대비 23.8% 하락. 하품가격은 13,000원으로 전일(15,500원)대비 16.1% 하락.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4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17,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83톤 반입 전일대비 32톤 증가(77%)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5.27,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77톤 반입 전일대비 3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미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