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2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2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6.87 전일대비 3.21
《 강세요인 》
○ 소비량이 많은 주초인데다 주말 태풍 ""갈매기""기의 영향으로 츌하작업이 여의치 못해 오름세
- 일기와 영향이 많은 품목 위주로 오름세가 두드러저 열매채소류, 서유, 잎채소류 등이 많이 오름
- 품목별로는 열무, 오이, 부추, 시금치, 아욱 등이 상승
《 약세요인 》
○ 지난 주말 많이 오른 품목 가격부담으로 소비가 둔화되면서 약세로 반전
- 연일 궂은 날이 이어지면서 상품성이 떨어진 서양채소류가 내림세였고 버섯류도 지난주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자 소비가 주춤하여 약세권에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5.31 전일대비 5.43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5.15 전일대비 4.99
◇ 배추-오름세
- 당초 예상과 달리 주산지에 많은 비가 내리지 않아 반입량은 크게 증가한 반면 우중 작업으로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32톤으로 전일대비 1.7% 감소하였으며 정선 41%, 평창 26%, 횡성 11%,
태백 11%에서 출하됨
- 태풍 “갈매기”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으나 경기, 충청 일부 지역에 집중되어 주산지인
강원지역은 상대적으로 작업여건이 양호하였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379원, 보통 1,78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3.5%, 5.1% 하락함
- 우중 작업으로 물기 물량이 많고 결구도 작아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짐
- 비가 그치면서 고온현상이 이어지고 각종 병해충 발병이 예상되는 만큼 작물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4.6 전일대비 16.53
◇ 오이-오름세
- 연일 궂은 날이 지속되면서 수확량 감소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80톤, 취청 67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14.3%, 25% 증가함. 그러나
금일이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 점을 감안하면 많지 않은 물량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백다다기 홍천 24%, 춘천 17%, 연천 9%에서, 취청은 화천 40%, 천안 14%,
춘천 12%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7,378원, 취청 50개 16,54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7.1%,
26.9%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4.09 전일대비 5.2
◇ 무-오름세
- 산지 우천으로 작업여건이 좋지 않았던 데다 지난 주말 출하량이 많아 재고 부담으로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389톤으로 전일대비 31.9% 감소하였으며 예산 15%, 영광 11%, 당진 9%에서 출하됨
- 대풍에 따른 집중호우가 충청, 경기지역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타 품목에 비해 작업여건이 좋지
못했음.
- 노지 작업량이 감소함에 따라 일부 저장물량이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6,295원, 보통 4,58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7.4%, 18.5% 상승함
- 소비량이 많은 주초인 반면 출하량이 적어 가격 오름폭이 크게 나타남
- 그러나 우중 작업으로 물기 묻은 물건이 많아 상품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4.79 전일대비 -3.39
◇ 양파 - 강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690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32%가량 증가함
- 주 출하지는 무안 52%, 중국 11%, 함평 11%, 해남 11% 등지임
- 산지 거래 가격이 높아 강세 지속중이고, 시세 하락 시 출하 조절 가능해 강보합세 유지
- 시장 반입량은 큰 변동없이 일평균 600톤 가량 유지되고 있으며,
- 시세 역시 큰 등락없이 상품 기준 평균 770원 수준에서 변동하고 있음
- 당분간 현 수준 반입량 유지될 것으로 보여 강세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생고추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204톤 반입되어 전주말과 비슷한 수준임.
- 청양 64톤, 일반풋고추 61톤, 꽈리 39톤, 홍고추 19톤, 기타 21톤임.
- 최근 반입량 많지 않아 지난주 오름세 거래가 지속됨
- 일반풋고추와 꽈리는 반입량이 많아 약세이고,청양과 홍고추는 적어 표준가격 보다 높은 시세 형성.
- 내일은 금일 반입량이 많지 않아 시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6.65 전일대비 -6.68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8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34%가량 증가함
- 청피망 33톤, 홍피망 5톤 가량이며, 주초장이나 각급 학교 방학과
-강원지역 출하 대기 물량 많아 내림세 거래.
- 청피망은 고성 25%, 인제 24%, 평창 23%, 홍피망은 진주 45%, 광주 38%에서 출하.
- 파프리카는 57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34%가량 증가함.
- 빨강 34톤, 노랑 19톤, 주황 4톤이며, 진주, 남원, 창원, 인제 등에서 주로 출하
- 역시 반입량 꾸준하고, 주요 소비처인 학교 등 급식업체 수요 감소로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113.27 전일대비 -0.92
◇ 버섯류 : 약 보합세 ( 느타리 : 내림세, 표고 : 약보합세)
- 반입물량이 175톤으로 전일 154톤의 113% 물량 반입
- 반입량대비 매기 강세 주초 상승 출발하였으나 학교방학, 우천 (태풍 “갈매기“ 한반도
전역을 뒤덮음 ) 및 급식 발주 미비로 약세 예상.
. 느타리버섯은 초.중.고방학으로 식자재 감소 및 전국에 우천이 내림에 따라 시세는 하락
세. 당분간 소비가 주춤하여 약보합세 전망
. 표고는 출하량이 조금 증가하였으나, 방학, 우천 등으로 약보합세 형성.
. 양송이는 강보합세, 새송이는 소폭 하락세를 보임.
2. 수산물
■ 수산물 전체 반입량 : 금일 반입량 270톤, 전일대비 30톤 증가(112%)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9.33 전일대비 +0.24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13톤, 전일대비 10톤 증가(110%)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89.33, 전일대비 +1.44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80톤, 전일대비 22톤 증가(138%)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7.08, 전일대비 -8.25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동죽살(해락), 가무락(모시조개),홍합
- 동죽살(해락)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중품 가격은 7,000원으로 전일(3,800원)대비 84.2% 상승
- 가무락(모시조개)은 인천산, 군산산, 목포산이 주 반입. 20kg망대 상품 가격은 92,500원으로 전일(62,500원)대비 48% 상승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새꼬막, 바지락수입, 동죽, 굴, 깐홍합, (겉)바지락, 봉지바지락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일평균 반입량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7kg 상품은 13,750원으로 전일대비 34.5% 하락, 7kg 중품은 13,250원으로 전일대비 34.5% 하락. 7kg 하품은 12,500원으로 전일대비 37.5% 하락.
- 바지락수입은 중국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10톤으로 전일대비 3톤 증가. 20㎏그물망에 상품 가격은 30,000원으로 전일대비 14.3% 하락. 중품가격은 28,000원으로 전일대비 17.6%하락.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2,500원으로 전일대비 16.7% 하락
- 굴은 통영(충무)산이 주 반입. 금일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등급별 가격은 1kg에 특품은 8,650원으로 전일대비 13.5% 하락. 상품은 7,250원으로 전일대비 12.7% 하락, 중품은 6,750원으로 전일대비 5.6% 하락.
- 깐홍합은 여수산이 주 반입. 1kg 상품 가격은 2,400원으로 전주대비 9.4% 하락.
- 봉지바지락은 태안산이 주 반입. 금일 반입량은 10톤으로 전일대비 3톤 증가. 5㎏상자에 상품 가격은 13,500원으로 전일대비 6.9% 하락. 중품가격은 12,500원으로 7.4%하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9.47, 전일대비 +3.57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미더덕, 오만둥이
- 미더덕은 통영(충무)산 및 마산산이 주로 반입. 1kg 상품 가격은 5,800원으로 전일대비 19.6% 상승, 중품 가격은 5,300원으로 26.2% 하락.
- 오만둥이은 마산산, 여수산이 주로 반입. 1kg 상품 가격은 3,350원으로 전일대비 4.7% 상승, 중품 가격은 3,250원으로 10.2% 상승.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68.63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6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3.31,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7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97%)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19.6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강보합세 품목 : 건멸치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70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미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