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9.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9.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23 전일대비 7.79
《 강세요인 》
○ 주초 물량 증가하였지만, 대학교 개학과 추석 대목장 수요 증가하면서 대부분 부류 오름세
- 지난주말 낮은 시세를 보였던 품목들이 대부분 반등하여 대파, 시금치, 양상추, 배추 등이 크게 상승
- 무도 추석 수요 증가로 상승하였고, 양파는 강보합세 지속중임.
《 약세요인 》
○ 주초 물량 증가한 반면, 우천으로 소비 감소 폭이 큰 열매 채소류가 큰 폭 하락함.
- 오이, 호박은 이틀치 물량 출하로 반입량 크게 증가한데다, 소비도 매우 부진항뎌 하락 폭이 컸음
- 그밖에 아욱, 열무, 미나리, 비름, 양송이도 내림세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7.44 전일대비 -1.27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3.02 전일대비 13.77
◇ 상추 - 내림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87톤으로 전주말 보다 1%가량 증가함
- 적포기 48톤, 청상추 24톤, 적상추 11톤가량 이며, 경기 이천, 용인, 광주, 충남 논산에서 주로 출하
- 주초 물량 증가하였고, 우천으로 소비 부진하여 지난주 후반 이후 시세 내림세 지속
- 추석을 앞두고 대목장 위주 농산물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
- 대목장 수요 적은 상추류는 약세가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72.35 전일대비 -11.66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0.56 전일대비 11.8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3.87 전일대비 5.75
◇ 양파 - 강보합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699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30%가량 증가함
- 대학교 개학과 추석을 앞두고 출하량 증가 추세이며, 소비는 꾸준한 편임.
- 전남 무안 62%, 함평 9%, 해남 4%, 경북 경산 2%, 중국 4%에서 출하됨.
- 추석을 앞두고 물량, 수요 모두 증가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보합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2.39 전일대비 14.57
◇ 피망, 파프리카 - 강보합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53톤가량 반입되었고, 청피망 43톤, 홍피망 10톤임
- 주 출하지는 고성 36%, 인제 34%, 홍천 11%, 평창 9% 등에서 출하됨.
- 주초 물량 증가하였지만, 대학교 개학 및 주초 수요 증가로 보합세 거래
- 파프리카는 25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12톤, 노랑 10톤, 주황 2톤임.
- 전반적으로 반입량이 적고,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106.83 전일대비 1.57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406톤, 전일(328톤)대비 90톤 증가(78%)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8.50 전일대비 +0.89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65톤, 전일(162톤)대비 3톤 증가(102%)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0.80, 전일대비 -1.55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병어, 가자미, 냉동꽁치, 갈치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감숭어, 대구, 명태냉장수입, 참조기, 삼치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81톤 반입, 전일(58톤)대비 23톤 증가(140%)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9.79, 전일대비 +13.37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깐바지락, 동죽, 굴, 홍합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봉지바지락, 가무락(모시조개), 굴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08.14, 전일대비 -3.54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낙지수입, 물오징어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60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4.94,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160톤, 전일(108톤)대비 52톤 증가(148%)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2.13, 전일대비 +1.85
○ 건어류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건멸치 중 건세멸치, 건중멸치
- 건멸치는 149톤 반입 전일(98톤)대비 6톤 증가(152%). 가격은 강세 및 보합세
- 건세멸치는 2kg 하품은 9,000원으로 전일(7,000원)대비 28.6% 상승
- 건중멸치는 2kg 중품은 14,500원으로 전일(13,000원)대비 11.5% 상승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4톤 반입 전일(3톤)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3톤 반입 전일(3)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톤 반입 전일(1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입 전일(3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3. 축산물 : 금일 경락두수 1,215두(전일 805두)대비 410두 증가(151%)
■ 축산물 표준가격지수 : 99.51 전일대비 -0.97
□ 쇠고기 : 금일 경락두수 쇠고기 458두(전일 504두)대비 46두 감소(90%)
◈ 쇠고기 표준가격지수 : 88.64, 전일대비 +0.11
○ 쇠고기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육우 수, 한우지육,
- 육우 수 1kg은 5,670원으로 전일(5,161원)대비 9.9% 상승
- 한우지육 1kg은 14,125원으로 전일(13,636원)대비 3.6% 상승
○ 소고기 전일대비 약보합세(10%미만 하락) 품목 : 유우 지육, 한우 수, 한우 암
- 유우지육 1kg은 3,613원으로 전일(3,812원)대비 5.2% 하락
- 한우 수 1kg은 9,490원으로 전일(9,885원)대비 4.0% 하락
- 한우 암 1kg은 11,719원으로 전일(12,096원)대비 3.1% 하락
□ 돼지고기 : 금일 경락두수 돼지고기 757두(전일 301두)대비 456두 증가(251%)
◈ 돼지고기 표준가격지수 : 142.71, 전일대비 +1.12
○ 돼지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모돈 수
- 모돈 수 1kg은 2,249원으로 전일(2,184원)대비 3.0% 상승
○ 돼지고기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육돈 수
- 육돈 수 1kg은 1,400원으로 전일(3,808원)대비 63.2% 하락
○ 돼지고기 전일대비 약보합세(10%미만 하락) 품목 : 모돈 지육
- 모돈 지육 1kg은 2,633원으로 전일(2,661원)대비 1.1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