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7.1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7.1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0.99 전일대비 -0.83
《 약세요인 》
○ 폭염이 지속되면서 일부 냉 채소류를 제외하고는 소비가 극히 부진함. 따라서 많지 않은 물량임에도
소화에 어려움을 겪어 재고가 누적되고다시 익일에 가격 약세를 유도하는 악순환이 이어짐
- 햇품 출하로 강세였던 고구마가 비교적 큰 폭으로 약세를 보임에 따라 서류가 내림세를 주도하였고
버섯류와 열매채소류도 소폭 내림세
《 강세요인 》
○ 전일 약세였던 품목 일부 오름세로 반등하였으나 반등폭은 제한적임
- 마른 장마로 붉은고추 수요가 증가해 양념채소류가 오름세였고 저가로 가격 부담이 낮은 무가
오름세로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2.18 전일대비 -19.74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0.4 전일대비 3.59
◇ 양배추-오름세
-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출하지가 이동하면서 상품성 호전으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214톤으로 전일대비 4.5$% 감소하였으며 청송 40%, 서산 34%, 괴산 11%,
청원 11%에서 출하됨
- 서산지역이 출하정점이 지남에 따라 반입량이 40%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대신 지난주부터 출하가
시작된 청송지역이 물량이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는 모습임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2,763원, 보통 2,28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5%, 26.4% 상승함
-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출하시기가 늦어지고 고온피해가 나타난 서산은 상품성 하락이 두드러진
반면 이제 출하가 시작된 청송은 상대적으로 상품성이 양호함
- 지역별 평균단가는 청송 2,65원, 서산 1,917원이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9.58 전일대비 -4.1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2.9 전일대비 2.27
◇ 무-내림세
-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가격은 약세가 지속됨. 예년보다 이른 불볕 더위로 소비량이
적은 데다 타 채소류 가격이 워낙 낮게 형성되어 대체 품목도 많은 편임
- 금일 반입량은 339톤으로 전일대비 2.6% 증가하였으며 당진 38%, 예산 22%, 여주 6%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4,403원으로 7.1% 하락하였으나 보통 3,878원으로 3.3% 상승함
- 가격부담이 낮은 저가품은 소폭 오름세였으나 고가품은 약세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줄어듬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3.34 전일대비 4.37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0.35 전일대비 0.53
◈ 버섯류
가격지수 : 89.46 전일대비 -9.12
◇ 버섯류 : 약 보합세 ( 느타리, 양송이 : 보합세, 표고, 새송이 : 소폭 하락세 )
- 반입물량이 165톤으로 전일 182톤의 91% 물량 반입
- 반입량 대비 매기 약세 : 재고누적 및 폭염으로 인한 외부상인 구매력 하락과 내일 지속
적 매기 부진세 우려.
. 느타리버섯은 출하량이 4톤 감소, 시세는 보합세 나타냈고. 당분간 소비지 소비가
증가하여 강보합세 전망.
. 표고는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재고누적으로 소폭 하락세를 보였고, 현재 소비
또한 꾸준히 원활하여 강세 전망.
. 양송이는 전일 강보합세와 달리 보합. 새송이는 소폭 내림세를 보임.
2. 수산물
□ 생선류(선어류) : 금일 반입량 103톤, 전일대비 15톤 감소
◈ 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1.50, 전일대비 +4.89
○ 생선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감숭어(대, 중, 소), 참숭어(대, 중, 소), 꽁치(상품), 대구(중품), 활 넙치(양식)중, 소, 활 넙치(자연) 대, 중, 아귀, 활 돔(자연) 대,중, 소, 홍어 수입(중), 갈치, 고등어, 고등어 수입, 활 우럭(자연) 소, 아귀 냉장 수입, 청어, 임연수어 수입, 활 점성어 수입
《 생선류 강세 요인 》 유가폭등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감소하여 가격은 오름세
○ 생선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병어, 활 우럭(양식) 중, 갈치 냉장 수입(중), 활 농어 수입(대), 가지미(하), 홍어 수입(상)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110톤, 전일대비 42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4.62, 전일대비 -2.38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홍합, 새꼬막, 동죽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하락 품목 : 바지락수입, 가무락(모시조개), 깐바지락
《 조개류 약세 요인 》 고온다습한 찜통 무더위로 인한 국내산 조개류의 계절적 소비 부진 및 대학 방학으로 고정수요처인 급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내림세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09.73, 전일대비 -7.27
○ 연체류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미더덕, 문어, 갑오징어
○ 연체류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물오징어, 낙지수입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3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2.79,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86톤 반입 전일대비 22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0.37, 전일대비 0.03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미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강보합세
- 건멸치는 59톤 반입 전일대비 11톤 감소. 가격은 약보합세.
- 건명태는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